정치/경제/사회 게시판
글 수 20,974
상대방의 주장을 이해할 때 가능한 선의의 해석을 적용해야 합니다. 이는 바꿔 말해 상대방을 비판할 때는 빼도 박도 못할 확고한 근거를 갖추도록 해야 한다는 원칙과도 직결됩니다.
그런데 덕하님은 이 점에서 실패했습니다. 덕하님의 주장에 따르면 여성주의자 대다수는 <야한 옷차림이 성폭력 발생의 개연성을 높일 리가 없다>고 믿고 있습니다. 만일 이것이 사실이라면 여성주의자들이 이렇다 할 근거없는 믿음을 퍼뜨리고 있다는 비난을 받을만 하죠.
그러나 덕하님이 인용한 여성주의자들의 말을 주의깊게 보면, <야한 옷차림이 성폭력 발생의 개연성을 높인다는 대중적 믿음이 근거박약한 신화>라는 주장을 수사적으로 강조하는 말이라고 이해할 여지가 상당합니다.
1. 야한 옷차림이 성폭력 발생의 개연성을 절대 높일 수 없다.
2. 야한 옷차림이 성폭력 발생의 개연성을 높인다는 속설은 적어도 아직까지 근거없는 속설이다. 또한 이 속설을 의심할만한 증거들이 상당하다.
이 둘의 차이는 대단히 크죠.
반복합니다만, 덕하님이 여러 글에서 보여준 여성주의자들의 주장은 1)이 아니라 2)를 수사적으로 강조한 것이라고 이해할 여지가 꽤 있어요.
따라서 결정타가 못 됩니다.
여기서 기껏 할 수 있는 말은 페미니스트들이 멍청하게도 비과학적 믿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아니라, 대중들의 오해를 불러일으킬만한 방식으로 페미니스트들이 무언가를 주장하고 있다는 지적 정도겠죠.
덕하님은 먼저 대부분의 여성주의자들이 진정으로 주장하는 바가 1)임을 보여줄 증거를 확보하셔야 합니다.
비난은 그 뒤에 해도 늦지 않습니다.
아마 칼도님, 혹은 하하하님도 어느 댓글에서 이와 같은 취지의 지적을 하셨었죠.
우선 '성충동'이 성폭력의 필요조건조차 되지 못한다고 여성주의자들이 믿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를, 덕하님이 가져와야 한다고요.
그러도 나서도 여전히 덕하님이 그 비난으로 인해 아크로에서 다구리를 당한다면, 저도 그 다구리를 당하는 편에 함께 하겠습니다.
(덧)
또 하나 유감스러운 점을 지적한다면, <야한 옷차림이 성폭력 발생의 개연성을 높인다>라고 고려해봄직한 근거들이 빈약했죠. 말 그대로 그럴써한 이야기 외에는 꺼내놓은 것이 없어요.
바로 이 때문에 '소설' 쓴다는 지적이 나왔고요.
2013.07.04 22:56:12
minue622님/참, 고약한 글이군요. 지금 이덕하님이 '다구리 당하는 이유'는 페미니즘을 비판해서가 아니라 '증거를 내놓지는 않고' 주장만 반복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님의 글은 마치 지금 이덕하님을 비판하는 사람들이 '페미니즘 근본주의자들'로 해석하게끔 써놓으셨네요.
2013.07.04 23:04:37
미뉴에님/ 본글 보니까 미뉴에님도 파악하셨지만 일부러 언어를 순화해서 쓰신 것 같다는 느낌이 드는데 ㅎㅎ
이덕하님이 여성주의자에 대해 하시는 비판 중 상당수는 허수아비 때리기에 기초한 것입니다. 굳이 이번 '야한 옷-성폭행' 사안이 아니더라도 말입니다. 그 중 일부에 대한 제 비판을 http://theacro.com/zbxe/special1/860238 에 적어두었습니다.
물론 어떻게 사람이 살면서 상대방의 주장을 100% 원문에 충실하게 옮길 수 있겠습니까만, 좀 심한 왜곡도 있고 하니까 문제를 계속 제기하게 됩니다.
이덕하님이 여성주의자에 대해 하시는 비판 중 상당수는 허수아비 때리기에 기초한 것입니다. 굳이 이번 '야한 옷-성폭행' 사안이 아니더라도 말입니다. 그 중 일부에 대한 제 비판을 http://theacro.com/zbxe/special1/860238 에 적어두었습니다.
물론 어떻게 사람이 살면서 상대방의 주장을 100% 원문에 충실하게 옮길 수 있겠습니까만, 좀 심한 왜곡도 있고 하니까 문제를 계속 제기하게 됩니다.
2013.07.04 23:11:57
(추천:
1 / 0)
미뉴에님 말씀대로 상대방의 주장을 이해할 때 가능한 선의의 해석을 적용해야 한다면
이덕하님의 이번 주장도 그런식으로 해석해야 합당할 겁니다
이덕하님의 그간의 글들의 특징이 비유나 예를 무척 많이 드시는편입니다
논쟁중에도 빵이니, 절도니, 소매치기니 하는 비유들이 많이 나오고요
이번 논쟁의 중요한 키워드인 '야한옷' 역시 자신의 주장을 전달하기 위해 예를 드신 거라고 봐야 하지 않을까요?
좀더 직접적으로 '상대로 하여금 성욕을 높이는 행위는 강간(성추행)을 높이는가?' 이런식으로 표현하시려는 뜻일겁니다
제가 이해 한대로 이덕하님의 의중이 이런것 이라면 전 지금의 이덕하님에게 가해지는 집단적인 공격은 조금 과하다고 생각합니다
2013.07.04 23:20:36
(추천:
1 / 0)

만약에 이덕하님이 야한옷이 성폭행을 증가시킨다는 데이타를 제시한다고 한다면 다음과 같은 일이 생기게 됩니다.
야한옷이 성폭행을 증가시킨다는 데이타와 그렇지 않다는 데이타가 동시에 존재한다. 따라서 어느 것이 맞느냐 하는 문제는 아직 과학적인 방법론으로 검증된것이 아니고 더 연구를 해야 할 문제이다. 즉 양쪽에서 데이타를 모을때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어떤 편견이 작동했는지에 대한 세심한 조사가 필요하고 그것을 보정해서 새로운 연구를 진행시켜서 결과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 전까지 야한옷이 성폭행을 증가시킨다던가 감소시킨다던가에 대해서 과학적인 방법론으로 결론이 난 것이 없는게 되는 겁니다. 따라서 이 문제를 가지고 이야기하는것은 과학이 아니라 정치적인 문제가 되는겁니다. 즉 과학이 어쩌니 해야 할 문제가 아니라 사회규범이나 구성원들간의 약속이니 취향이니 하는 문제로 환원시켜서 논의를 진행해야겠죠. 이덕하님이 원하는 방식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저는 증거를 가져오고 그때도 다구리 당하면 같은 편에 서 주겠다는 이 글이 이덕하님한테 굉장히 뼈아픈 글이라고 생각해요.
야한옷이 성폭행을 증가시킨다는 데이타와 그렇지 않다는 데이타가 동시에 존재한다. 따라서 어느 것이 맞느냐 하는 문제는 아직 과학적인 방법론으로 검증된것이 아니고 더 연구를 해야 할 문제이다. 즉 양쪽에서 데이타를 모을때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어떤 편견이 작동했는지에 대한 세심한 조사가 필요하고 그것을 보정해서 새로운 연구를 진행시켜서 결과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 전까지 야한옷이 성폭행을 증가시킨다던가 감소시킨다던가에 대해서 과학적인 방법론으로 결론이 난 것이 없는게 되는 겁니다. 따라서 이 문제를 가지고 이야기하는것은 과학이 아니라 정치적인 문제가 되는겁니다. 즉 과학이 어쩌니 해야 할 문제가 아니라 사회규범이나 구성원들간의 약속이니 취향이니 하는 문제로 환원시켜서 논의를 진행해야겠죠. 이덕하님이 원하는 방식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저는 증거를 가져오고 그때도 다구리 당하면 같은 편에 서 주겠다는 이 글이 이덕하님한테 굉장히 뼈아픈 글이라고 생각해요.
2013.07.04 23:26:45
오마담/ 덕하님이 애시당초 이런 방식으로 비판했다면 어땠을까 합니다.
<< 여성주의 진영에서 '야한옷차림 성폭력 유발론'을 극구 부정하고자 하는 이유는 충분히 짐작하고도 남는다.
바로 (남성) 대중들이 성폭력의 원인을 성폭력 피해자 책임론으로 바꿔치는 '속임수'를 쓰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실 야한 옷차림이 실제 성폭력을 유발하는지 어떤지에 관해서는 아직 우리가 잘 모르는 점이 많다.
따라서 여성주의진영은, 대중들의 이런 속설이 별 근거 없음을 지적하는 동시에, 성폭력의 원인과 성폭력의 법적, 도덕적 책임은 전연 별개의 차원에서 따져야 함에도 이를 혼동하는 대중들의 무지를 교정하는데 힘을 쏟는 편이 바람직할 것이다 >>
이런 정도의 주장을 했다면...어땠을까 합니다.
홈런은 아니지만 착실하게 포인트는 따내는 작전이죠 ^^
<< 여성주의 진영에서 '야한옷차림 성폭력 유발론'을 극구 부정하고자 하는 이유는 충분히 짐작하고도 남는다.
바로 (남성) 대중들이 성폭력의 원인을 성폭력 피해자 책임론으로 바꿔치는 '속임수'를 쓰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실 야한 옷차림이 실제 성폭력을 유발하는지 어떤지에 관해서는 아직 우리가 잘 모르는 점이 많다.
따라서 여성주의진영은, 대중들의 이런 속설이 별 근거 없음을 지적하는 동시에, 성폭력의 원인과 성폭력의 법적, 도덕적 책임은 전연 별개의 차원에서 따져야 함에도 이를 혼동하는 대중들의 무지를 교정하는데 힘을 쏟는 편이 바람직할 것이다 >>
이런 정도의 주장을 했다면...어땠을까 합니다.
홈런은 아니지만 착실하게 포인트는 따내는 작전이죠 ^^
2013.07.05 09:55:28
minue622 /
전에도 밝힌 적이 있는데, 타이젬 5단보다는 조금 강하고 6단에는 못 미치는 실력입니다.
한게임이나 넷마블처럼 약한(?) 사이트에서는 7, 8단이고요.
옛날로 따지면 아마추어 1단 정도는 되는 듯합니다. 잘 하면 2단이고요.
제가 대마 사냥을 즐기는 기풍은 아닌 듯합니다. 하지만 저는 프로 바둑을 TV에서 보고 공부했기 때문에 흉내를 내다보기 다른 사람들보다 두텁게 둡니다. 남들이 워낙 엷게 두다 보니 대마를 잡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 같습니다. 실력이 제 수준인 사람들은 프로보다 훨씬 엷게 두는 것 같습니다.
2013.07.04 23:34:51
디즈레일리님/뭐, 이 정도로만 논지를 전개하셨어도 '진화심리학'에 문외한인 저까지 나서지 않았겠죠.
다는 아니겠지만, 여성주의자들의 주장은 과도한 것들이 있었다. 이런 여성주의자들의 과도한 주장에 대하여는 여성주의를 옹호하는 분들도 어느 정도는 인식을 하실 것이다.
이런 현실은 여성주의자들의 주장의 진위에 대하여 '회의를 느끼게 한다'. 따라서 나는 여성주의자들의 주장을 진화심리학을 사용하여 과도한 것임을 증명하고 싶고 내 증명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왜냐하면, 내 증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은 여성주의자들의 과도한 주장들에 대한 반성의 분위기를 만들어 보다 더 설득력 있는 주장들이 여성주의자들에게서 나오는 계기가 될 것이고 그 것은 결국 여성인권 신장에 도움이 될 것이다.
2013.07.05 06:54:01
아래 글도 그렇게 해석할 수 있을까요? 제가 보기에는 이수정 교수는 무관하다고 확신하고 있어요. 게다가 제가 비판했듯이 그 근거가 가관입니다.
이 교수는 지난 28일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열린 한국 성폭력상담소 개소 20주년 기념토론회 ‘성폭력 정책, 현장에서 듣다’에 참가해 “야한 옷차림이 성범죄를 유발한다는 것은 잘못된 이야기”라고 지적했다.이 교수는 “정상적인 남성이라면 야한 옷차림의 여성을 보고 성욕이 생기는 것은 당연하지만 범죄를 저지르는건 성욕이 아니라 억제력에 달린 문제다”라며 “야한옷차림은 성범죄와는 무관하다”라고 말했다.‘야한 옷차림’이 성범죄를 유발한다고?http://www.fnnews.com/view?ra=Sent1201m_View&corp=fnnews&arcid=111129150759&cDateYear=2011&cDateMonth=11&cDateDay=29
야한 옷을 입으면 지하철에서 성추행을 당할 가능성이 높아질까?http://cafe.daum.net/Psychoanalyse/NSiD/465
이수정 교수는 허경영에 대해서도 한 마디 했더군요.
허경영이 과대 망상에 빠졌다고? - <그것이 알고 싶다>를 보고http://cafe.daum.net/Psychoanalyse/83fZ/117
어쩌다 보니 야한 옷 이야기를 여러 번 했지만 제가 주목하고 싶은 것은 “강간은 섹스가 아니다”입니다. 그게 이론적으로 중요합니다. 연구가 거의 없는 야한 옷에 대해 떠들어봤자 서로 자기 직관을 이야기하는 수준을 넘기 힘듭니다.
그리고 잘 보시면 제가 몰카의 경우를 제외하면 “야한 옷을 입으면 성범죄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 나의 직관이다”조차도 상당 부분 철회했습니다.
이런 반박에는 “성욕은 성범죄와 무관하다”는 가정이 필요하지 않다. 그리고 이런 반박이 대한민국의 내로라하는 범죄심리학 박사라고 하는 이수정 교수의 반박보다 훨씬 더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http://cafe.daum.net/Psychoanalyse/NSiD/465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