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게시판
지난번 글에서 유가족 단체의 주장인 사망자 500명설이 사태의 진실에 가장 가까울 것 같다고, 다시 말해 현재로선 가장 유력한 추산인 것 같다고 말하면서도 그러나 실제 사망자가 이를 상회할 가능성, 심지어 2천명에 육박할 수도 있을 가능성을 완전히 내치기에는 찜찜한 면이 있다고 말했었죠.
제가 그렇게 보는 근거들 중 둘만 여기에 소개하겠습니다.
브루스 커밍스 및 강준만의 책에서 발췌했습니다.
특히 강준만이 전하고 있는 조아라, 아놀드 A. 피터슨의 증언은 상당히 마음에 걸립니다.
참고삼아 한번 읽어보시길.
1.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현대사 (창비, 2004)
5월 21일에 이르러서는 광주지역의 수십만 시민들이 군인들을 도시에서 몰아냈고 그후 5일간 시민들의 수습대책위원회가 이 도시를 통제했다. 이 위원회는 500명이 이미 죽었고 약 960명이 실종되었다고 확인했다. (각주) 이 수치는 하비(pharis Harvey) 목사가 이끄는 미국에서 가장 중요한 감시단체인 ‘한국 인권 감시 북미연맹’(North American Coalition on Human Rights in Korea)에서 1980년 9월에 집계한 것이다. 일본의 텔레비전 방송망은 반란의 전과정을 상세하게 취재하여 최악의 만행장면을 많이 촬영했다. 광주에 관한 좀더 일반적인 저서로는 Clark(1988) 참조. |
2. 한국 현대사 산책 1980년대편 1 - 광주학살과 서울올림픽 (강준만, 인물과사상사 2003)
5.18의 사망자 수는 과연 몇명이었을까? 5월 31일 계엄사령부는 “광주 사태로 민간인
144명, 군인 22명, 경찰 4명 등 모두 170명이 사망했으며, 민간인 127명, 군인 109명, 경찰 144명 등 380명이
다쳤다”고 공식발표했다. 220) 220) 노재현, [청와대 비서실 2] (중앙일보사, 1994), 310쪽에서 재인용. 그러나 이 발표를 그대로 믿는 광주시민은 아무도 없었다. 너무도 많은 사람들이 죽어나가 그걸 일일이 세는 것조차 힘겨웠다. ‘광주민주화운동의 대모’로 불리는 조아라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5.18 때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죽었는지 관을 구할 수가 없었어. 학생들이 두꺼운 베니어 판을 구해다가 그것으로 관을 만들고, 미처 수의를 못 만드니까 당목으로 둘둘 감아서 태극기 한 장씩을 덮어 갖고 묶고 한 것이 도청 마당으로 하나 가득이여. 나중에는 돈 나올 데가 없으니 관 살 돈도 없제, 당목 살 돈도 없제, 그래 교회에서 우선 30만원을 얻어서 감당하게 했제.” 221) 221) 여성신문사 편집부, <조아라 : 나는 아직 광주가 생생합니다-광주민주화운동의 대모>, [이야기 여성사:한국 여성의 삶과 역사 1](여성신문사, 2000), 209~210쪽. 후 일, 오랫동안 집을 떠나 있어 신고가 접수되지 않은 사망수 수까지 합하면 전체 사망자 수는 2천 명에 이를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되었지만 확인할 길은 없었다. 공수부대원들은 처음부터 사상사 수를 은폐하기 위해 사상자가 발생하는 대로 트럭이 싣고 아무도 모를 곳에 파묻었기 때문에 더욱 그랬다. 목사인 아놀드 A. 피터슨은 사망자 수를 8백여 명으로 추정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 그와 내가 최근에 광주에서 일어났던 일에 대해 귓속말로 이야기를 나눌 때, 나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죽었는지를 물어보았다. 그는 그 항쟁 동안 광주에 거주했던 한국군에서 일했던 친구가 있었는데, 그 친구에 따르면 조사당국자들은 사망자 수를 832명으로 확인했다고 했다. 다시 회고해보면 그 수는 통계적으로도 내 추측과 일치한다. 1980년에 광주 인구는 약 75만명이었다. 그 인구 중 광주의 여러 침례교회에 출석하고 있는 교인들의 수는 대략 2천명이었다. 이들 2천명의 침례교인들 중에서 우리는 두 명의 사망자를 경험했는데, 그 비율은 1,000명 대 1명인 것이다. 만일 그 비율을 광주시 전체에 적용하면 약 750명의 사망자가 된다. 그러나 침례교도들은 일반인보다 더 적은 수의 사망자를 경험했으리라고 추정할 수 있다. 그렇다면 총 832명의 사망자 수는 - 혹은 대략 그 정도의 수는 - 통계적으로 타당한 결론인 것 같다.222) 222) 아놀드 A. 피터슨, 정동섭 옮김, <글을 맺으면서>, [5.18 광주사태](풀빛, 1995), 171쪽. |
솔직이 신군부가 발표한 숫자는 축소되었다고 보는것이 경험칙상 맞을 것입니다
쿠테타와 학살을 일으킨 군부가 사상자 숫자를 정확하게 밝힌다는 것은 믿기지 않는 일이지요
확실한 것은 적어도 군부가 발표한 숫자는 절대로 아닐 것이라는
대충 5-800명선이 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시위 초반에 맞고 끌려간 사람들 그런상태에서 최루탄을 터트려 질식사한 사람들 맞고 사망상태에서 트럭에 끌려간 사람들 각 부대별로 화장으로 처리했을 가능성이 많지요
그런데 정말 세상에 그렇게 많은 군병력이 투입되었지만 지금 공식적으로 자신의 경험을 공개한 사람은 공수부대원이었던 김경남 목사 한사람이라는 것이지요
그위 지휘관 급이나 장교에서는 한명도 없다는 겁니다
더욱 김대중이 집권하고 노무현이 집권했는데도 말이지요
이게 다른나라도 그런지 모르지만 동양이 이런 부분에서는 상당히 주위의 눈치나 자신의 안위를 살핀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권력자들이 함부로 행동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정부의 공식 자료인 검찰의 5.18 사망자 검시조서와 국방부가 5.18 국회 청문회에 제출한 자료 간에도 사실관계가 다른 점이 적지 않을 정도로 5.18 사망자 자료가 부실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5.18이 발생한지 33년이 지났을 뿐인데 성명마저 미상인 5.18 사망자가 9명에 이를 정도로 5.18 사망자에 대한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자료가 없었던 게 사실이다. 이는 80년 5.18 이후 집권한 신군부가 5.18의 진상규명에 나서기는커녕 5.18 가담자를 폭도로 몰고 5.18의 진실을 왜곡하고 은폐하는 데 앞장섰던 것과 무관치 않다는 지적이다.
자꾸 무리를 하시는 것 같습니다.
그냥 서영교의 발언을 잘못 알고 글을 썼다고 시인하면 될 것을 사소한 자존심 때문에 계속 무리하게 자신의 처음 주장을 합리화하려 하십니까?
김대중 정권 시절의 조사와 5.18 기념재단, 유가족회의 자료에 엄연히 나와 있는 것도 부정하시면 어떻합니까?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세요. 5.18 보상법이 제정되고 억단위의 보상금이 지급되는데 사망자 유가족이나 행불자 가족들 중에 심사지원을 하지 않았을 사람이 몇 명이나 있을 것 같습니까? 사망자나 행불자가 있다면 이웃에서 금방 알게 됩니다. 가족 중에 사망자가 있는데도 일부러 신고하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요? 그것도 님의 추정에 의하면 1800여명씩이나?
5.18 기념재단의 통계는 보상받은 사망자(유가족)는 154명으로 나옵니다. 님께서는 광주시민들을 얼마나 더 죽었으면 만족하시려고 사망자가 2천명도 되었을 가능성을 주장하시나요?
제발 억지는 그만 부리세요.
2천명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아하! 이런 것을 두고 합리라고 님은 생각하는 모양이지요. 님의 합리의 기준을 이제사 알았네요.
님의 주변에는 5.18 희생자(사망자)를 154명으로 정확히 아는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 모르지만, 제 주변에는 거의 없습니다. 심지어 80년대 초반 학생운동을 한 제 선후배, 동기들도 대부분 수천명 정도로 아직 아는 사람이 대부분이고 제가 154명이었다고 그러면 믿지 않는 사람이 더 많아요. 서영교처럼요. 이런 사람들은 님의 기준에서는 모두 똘아이를 넘어 인간도 아닌 사람이겠군요. 아마 지금 자칭 진보주의자라는 과거 운동권 사람들은 모두 똘아이라 불러야겠습니다. ^*^
님이 틀린 말은 한 것 같진 않습니다. 지금 진보진영에는 똘아이들이 많으니까. ^^
그때 경상도 군인들이 광주사람들 씨말리려고 간 것이라고들 하지 아니하였던가요?
격한 감정에 감정이 부풀어 그렇게 이야기한 사람들이 있었죠. 원래 소문은 쉬이 확산되는 법이라서.
그런데 저 두 가지는 80년 광주의 피해가 정말 힘겨운 곡절을 거쳐 법치의 대상으로 떠오를 즈음 일시적으로 더 증폭되었다가 곧바로 꼬리내린 것으로 압니다(이건 어차피 그 시절을 겪지 않은 그 얼마 후 세대의 시각으로 하는 말입니다. 체험자는 아니지만 그 간접 파장 안에 들었던 이들. 임철우 씨가 한국내전을 겪지 않고서 그 후세대 시각에서 소설을 썼듯이. 눈길을 주어야 할 동기가 없는 사람들에게는 사전적으로 해석할 경우 님의 말이 의미가 있겠습니다.
질문 님 그간 성향으로 보아 이건 영어권에서 말하는 I'm not in the mood of talking ... but you're in the mood 류의 차이에서 나오는 표현으로 보이는데요, 그렇게 받아들이면 되겠죠? 그런 곡해는 흔하니까요.
뭐 내가 좀 맹하긴 합니다만 님이 하하하 님에게서 저 정도 댓글 받을 정도의 격은 아니라고 봐서요.
길벗 /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헛소리 만발이군요.
1. 김대중 정권 시절의 조사와 5.18 기념재단, 유가족회의 자료에 엄연히 나와 있는 것도 부정한다?
""" 5.18 관련 단체의 추정이 사태의 진실에 가장 가까운 추정치일 것으로 봅니다. 최저하한선이 얼추 200명고 실제 사망자의 수는 500~600 사이에 걸쳐 있을 거라고 봄. 다만 1,000 명을 상회할 것이라고 보는 쪽의 근거도 (다음에 소개하겠지만) 완전히 무시하기는 좀 어렵습니다. """
5.18 관련 단체의 추정이 십중팔구는 사태의 진실에 가장 가까울 추정이라고 보고 있다. 그러나 그 이상 1000명을 상회할 지도 모를 가능성이 적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무시할 정도로 (이를테면 0.1% 미만) 적다고 보지도 않는다란 말입니다
길벗님. 팩트를 챙기시려면 우선 초등수준의 한국어 이해능력 정도는 갖추시길 바랍니다.
2. 사소한 자존심 때문에 계속 무리하게 자신의 처음 주장을 합리화한다?
제 처음 주장은 <사망자 200명, 사망자와 부상자를 합한 사상사 2,000명>입니다.
따라서 저는 지금, 제 처음 주장이 일부분 틀렸을 가능성이 아주 높으며 (5.18 관련 단체의 사망자 500~600명설이 십중팔구 사실....)
또한 더 심하게 틀렸을 가능성 (심지어 1,000 명 이상)도 일단 열어놓겠다고 주장하는 겁니다.
처음 주장을 부정하고 있는 것이지요.
다시 말씀드리지만 길벗님. 팩트 챙기시려면 우선 초딩 수준의 한국어 이해능력과 닭 수준의 기억력은 갖춰놓아야 합니다.
혹시...., 이미 노망이 들만큼 들어 벽에 똥칠하고 다니시는 분이라면야 제가 이해합니다만...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