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게시판
글 수 20,654
저번 달에 직원 하나 뽑았는 데.
Tweet
고향이 충남공주입니다.
이 직원이 이명박하고 노무현은 이를 갑니다.
이유를 들어보니
이명박은 물가때문에 살기 힘들어서 싫다고 하더군요.
노무현은 집값때문에 살기가 힘들었다고 합니다.
정치적 입장이 다르고 일장일단이 다 있겠지만 이분이 느낀 감정이 이렇다는 겁니다.
발전이 더니고 보수적이었던 공주가 그래도 예전에는 월세나 전세값이 무척쌋다고 합니다.
하지만 전국에 혁신도시 행정도시 만들어지면서, 공주시내의 땅값, 집값,전세값,월세값은 수직상승했다고 하네요.
월급은 그대로고 일자리도 늘어난게 별로 없는 데 부동산 값이 폭등하니 살기가 힘들고, 부동산 값이 오르니, 기본적인 식표품값은 영향이 별로 없었지만, 음식값,학원비등 문화생활에 관게된 비용을 부동산 상승과 맞물려 올랐다고 하더군요.
땅이 있고, 집이 있는 사람들, 있는 사람들은 행정도시 혁신도시가 생겨 재산도 늘고, 문화 시설도 늘고 좋아졌지만 오히려 없는 사람들은 늘어난 일자리가 눈에 띄게 증가하지 않는데다가 살기는 더 힘들어졌다고 하더군요.
아마도 이게 전국적인 현상 같습니다.
없는 사람들은 차라리 혁신도시나 행정도시 그런게 생겨 위화감이 조성되드니, 공장이 생겨 일자리가 늘어나는 것이 더 나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이게 노무현이후 저소득층의 새누리지지세가 확산되고 강남좌파로 대변되는 비교적 젊은 부유층의 친노지지와 연관되는 점이 있지 않나 하는 생각도 듭니다.
2012.11.08 04:33:20
봄날은간다님/바로 부동산 문제에 있어 노무현 정권에서는 '심리적인 폭등', 이명박 정권에서는 '실물경제에 반대되는 폭등'이라고 표현할 수 있겠지요.
이명박? 취임 초기인가? 라면값 운운할 때 얼마나 실물경제를 개판으로 운영할지 걱정이 되더군요. 뭐, 아가리가 고급이라 라면을 먹지는 않겠지만 그건 라면을 자주 먹느냐 여부가 아니라 '감각'이고 '나름 이론적 기초'입니다. 그런데 너무 부실하더군요. 그러니 현대건설 말아 처먹었겠지만.
2012.11.08 05:20:39
대부분의 정책이 그런 이중성이 있는거죠. 집가진 사람과 없는 사람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정책은 존재하기 어렵고, 그래서 정책이란 늘 신중하게 만들어야하는걸테죠. 사실 근본적으로는 이 세상 자체가 그렇게 대립적으로 이중적으로 나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지, 정책 그 자체가 이중성을 가졌기 때문은 아닐겁니다.
가령 최저임금을 인상하면 가장 고통받는 사람들이 다름아닌 불쌍한 자영업자들이죠. 최저임금자들을 가장 많이 고용하고 있는 사람들이 바로 그 사람들이니까요. 88만원 청춘 세대들을 눈앞에서 착취하고 있는 사람들은 바로 이렇게 커피숍사장같은 자영업자들입니다. 그런데 정말로 그 자영업자들을 조지면 88만원 세대 문제가 해결될까요? 그건 또 아니라는 것에 어려움이 있는걸테죠. 이럴수도 없고 저럴 수도 없는 이 사회의 어떤 근원적 모순이 문제인건데, 다들 외면하고 있는거라는 생각을 합니다.
가령 최저임금을 인상하면 가장 고통받는 사람들이 다름아닌 불쌍한 자영업자들이죠. 최저임금자들을 가장 많이 고용하고 있는 사람들이 바로 그 사람들이니까요. 88만원 청춘 세대들을 눈앞에서 착취하고 있는 사람들은 바로 이렇게 커피숍사장같은 자영업자들입니다. 그런데 정말로 그 자영업자들을 조지면 88만원 세대 문제가 해결될까요? 그건 또 아니라는 것에 어려움이 있는걸테죠. 이럴수도 없고 저럴 수도 없는 이 사회의 어떤 근원적 모순이 문제인건데, 다들 외면하고 있는거라는 생각을 합니다.
2012.11.08 05:31:44
피노키오님/원론적으로는 님의 주장이 맞습니다. 맞고요.... 문제는 정책의 이중성에서 살펴볼 수 있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얼마 전에 있었던 '부가세 논쟁'과 같은 맥락인데 개발이익금 환수제도에 대한 노무현 정권과 이명박 정권의 입장 차이가 바로 그렇죠. 물론, 원안과 개정안을 비교하여 실제로 얼마나 '부자들에게 혜택을 주었는지는' 제대로 검증을 해야하겠습니다만 '시장 평가'로는 '좀 심했다'라는 것입니다.(물론, 이 심했다...라는 표현은 개발이익금 환수제도를 찬성하는 사람에 한해서죠)
직접적으로 거론해보죠.
정권이나 정당은 자신들의 지지자들의 정치적 욕구에 충실한 것이 계급의 실현일겁니다. 그리고 가급적이면 더 많은 사람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정책을 새우는 것이 맞죠.
그런데 님도 언급하셨듯, 이명박 정권(크게는 새누리당)의 지지자는 부자들이나 또는 빈곤한 반호남정서의 사람들입니다. 반호남정서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그렇다면 새누리당은 누구에게 더 충실해야하는가요? 새누리당 지지자들 중 소수인 부자들? 아니면 다수인 '빈곤층'?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