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게시판
안철수 “안랩 경영 손뗀지 10년”이라 포괄임금제 모른다?
등록: 2017-04-26 17:38:06 수정 :2017-04-26 17:39:57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25일 대선후보 TV토론회에서 ‘안랩이 수십년 포괄임금제를 적용하고 있다’는 <한겨레> 보도의 진위를 묻는 심상정 정의당 후보에게 “저는 경영에서 손뗀 지 10년도 넘었다”며 내용은 맞지만 자신의 책임은 없다는 취지로 반박했다. 안 후보는 포괄임금제를 ‘장시간 저임금을 강요하는 변태적 임금제’로 간주하며 법 개정, 근로감독 강화 등을 통해 개선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안 후보의 해명과 관련해 팩트체크 요소는 2가지다. 2007년 전후로 실제 경영권을 포기했는지, 그래서 안 후보의 책임은 없는지 여부다.
우선 안 후보가 포괄임금제에 책임이 없다는 설명은 거짓에 가깝다. 안랩이 ‘연 600시간분의 시간외수당이 포함되어 있다’고 명시해 직원들과 연봉계약을 맺은 건 안 후보가 안랩을 설립해 대표이사로 직접 경영한 1995년~2005년 사이부터다. 안랩은 창사때부터 연봉제를 적용했고, 임금제가 잘 후퇴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포괄임금제도 설립 초기부터 적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2000년대 초중반 입사했다는 한 전직 직원은 “입사 때 연봉계약하며 적은 연봉에 놀라고, 거기에 600시간의 수당이 포함되어 한번 더 놀랐다”며 “당시 인사부서에 포괄임금제에 대해 물으니 ‘원칙이다’는 답변이 돌아왔고 노조가 없어 문제제기도 못했다”고 말했다. 안 후보는 2000년대 출간된 〈CEO 안철수 영혼이 있는 승부〉에서 안랩의 핵심가치 세가지를 적시하며 ‘회사보다 직원 개인의 발전’을 으뜸으로 꼽기도 했다. “단체를 위해 개인이 희생되면 안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회사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포괄임금제와 배척되는 설명이었다.
“경영에서 손 뗀지 10년도 넘었다”는 안 후보의 답변도 거짓에 가깝다. 2005년까지 대표이사, 이후 2012년까지 이사회의장을 맡았으나 2007년 전후 서울대에서 강의를 맡으며 ‘사실상’ 경영에 관여하지 않았다는 설명이지만, 취재 내용과는 다르다. 안랩의 사업보고서를 보면, 대표이사 선임부터 상무보급까지의 인사, 회사 내부조직의 주요한 변경, 중요한 계약 등 경영일반에 관한 사항까지 이사회의 권한으로 지정하고 있다. 안 후보는 실제 이사회의장으로서 2대 대표이사 김철수, 3대 대표이사 오석주, 4대 대표이사 김홍선 선임 등에 직접 관여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경영학과 교수는 “굵직한 경영 현안을 결정하도록 되어있는 이사회의장을 하던 시기에 회사에서 벌어진 일에 대해 책임이 없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무책임한 태도”라고 지적했다.
류이근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글제목하고 내용하고 하나도 안 맞네요.
안철수가 포괄임금제를 모른다가 아니라, 안철수가 안랩에 포괄임금제를 적용했는지 안했는지 모른다가 되야죠. 혹은 관여한바 없다.
경영인인데 바보도 아니고 포괄임금제를 몰라? 말도 안됩니다.
원 기사가 낚시성 제목이라 이것도 낚시성인데, 글이 다분히 낚시성입니다.
참담한 심정이네요. 안철수가 포괄임금제를 악제라고 하며 법안까지 제출 했는데 포괄임금제의 의미를 모르겠습니까.
링크 들어가 보세요. 제목 그대로 가져온 것 아닙니까. 그대로 가져온게 낚시라는건가요?
한글에 재주가 없다면 기사 제목 풀어드리죠.
안철수 "안랩 경영 손뗀지 10년"이라 포괄임금제 모른다? 는 제목의 뜻은
안철수가 주장하기를 안랩에서 경영에 관여한지 10년이 지난지라 안랩의 포괄임금제 관련 내부사항에 대해 모른다
이거 아닙니까. 기사 제목이라는게 지면의 한정으로 축약되어 나오는거 하루 이틀인가요.
저 제목을 어떻게 안철수는 포괄임금제의 개념을 모른다로 해석합니까.
국어교육 이렇게 엉망일수가 있나요.
아무튼 기사의 내용은 안철수의 안랩 포괄임금제 관련 해명이 거짓이라는 겁니다,
그 부분에 대한 댓글을 달아 주셔야 무슨 논쟁이건 할 수 있는것 아니겠습니까?
어찌 기사 제목을 가지고 태클을 거시는지요.
이제 아셨다면 안철수의 거짓해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고견을 좀 들어보고 싶군요,
이 사이트에서 받아 본 최초의 정상적인 댓글이네요. 하지만 글 초반의 비아냥이 사못 걸리는군요. 그래서 간단히 합니다.
포괄임금제의 문제는 노동력 착취에 있죠. 일하는 만큼 돈을 안주는 것 아닙니까. 초과근무 하는데 왜 정당한 댓가를 지불하지 않나요.
모든 회사가 그렇지 않습니다. 이것도 팩트체크 할까요?
문제의식을 가지고 개선하려는 노력에 응원을 보내는 건 맞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요는 그게 아닙니다.
기사는 팩트를 체크한 것이고 안철수 해명에 방점을 둬 알면서 거짓말 했을 확률이 높다는 걸 알린 거죠.
아무튼 과거는 흘러갔고 좋은 정책 추진에 응원은 당연합니다. 그건 그거고 이건 이거라는 뜻으로 받아 들이시면 됩니다.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