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게시판
여성이 재능을 발휘하고 사회에 참여하는 것은 극히 바람직하고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그러나 출산과 가사와 양육과 안살림의 고유 역할이 있는 것이다.
오랜 동안 여성의 덕목을 억압만 했던 것이 아니다.
가족이란 작은 사회를 이끌어 가는 모성은 충분히 존중되었다.
여성의 사회 참여는 적어도 가사와 아이들 양육의 책임을 남성과 공유하며 신장되어야 한다.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정년이란 사회적 협의의 틀에 의하여 일이 없는 부모 세대는 자손들 양육 등 가사 일에 협력하여야 한다.
그렇게 하여 여성에게도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시간을 주어야 한다.
그 정도의 남녀 평등의 변화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는 바는 아니다.
그러나 남녀의 공동 사회를 유지하는 전통 가치관까지 파괴하는 파격으로 남성의 역할이 위축된다면 그것은 모순이 있다.
왜냐면 여성의 지위가 무분별하게 급상승하여 기존의 가치관이 흔들리면 전통적인 질서가 재편성되거나 와해되기 때문이다.
남자나 여자가 가정을 갖지 않아야 할 특별한 일을 하게 되면 그러한 선택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출산 가사 등의 여성의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편의를 원하는 현상이 확산되면 건강한 양육이 이뤄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모성의 자애롭고 인내하는 보호가 빠져버린 양육이 되어버린다.
천박한 정치는 여성의 자유를 여성적 고유 가치를 해체하는 방종의 자유만을 강조하였다.
일종의 지지세력이나 표를 의식한 방편들이다.
그러한 것들을 일일히 나열하지 않아도 모두가 아는 일이기 때문에 거론 할 수는 없지만 전통사회의 질서는 그대로인데 여성에게 법적 동등성을 주게됨으로 가부장적 남성들의 고역을 남겨주게 되었다.
남성의 역할은 책임만 따를 뿐 가족과 주변에 노역과 봉사를 하는 족쇄에 얽매게 되었다.
남성에게 가족을 통솔할 수 있는 권위는 남겨놓아야 한다.
그러한 해체는 결국 물질적 만족을 가져오는 쪽으로 여성이 몰리게 되고 무능과 무관심의 평범한 남성들은 단독자로 남게 되었다.
결국 농촌이나 도시 근로자들은 우리보다 환율이 약한 나라의 처녀들을 사오게 되었다.
즉 여성이 물건으로 취급되는 성매매의 대상이 되는 저열한 사회로의 추락이 이뤄지게 되었다.
그러나 관찰적 관점에서 바라보면 이주 여성의 가정이 더 가부장적이다.
우리의 여성들이 언젠가는 전통사회의 성숙한 여성성으로 돌아오길 바라는 희망을 갖고 있을 뿐이다.
모두들 자기 세대가 젤 힘들다고들 하지만 그래도 내가 속한 세대는 어릴 적에 자연이며 이웃들 사이의 정이며 그런 걸 좀 느끼며 자란 터라 옛날을 생각하자면 행복이랄까 그런 게 있었습니다. 지금이 힘드니 추억 속 과거야 미화되는 법이라 쳐도 말이죠. 요즈음 세대들의 어린 시절이 전반적으로 행복할까 생각을 가끔 해보는데 끔찍합니다. 내 눈엔 많이 불쌍해 보입니다.
딱히 구분을 짓자면 그런 정이 많이 시들고 국가와 공권력이 가족과 마을의 역할을 대신하게 된 시점이 90년대 이후가 아닌가 싶습니다. 가족과 마을이 비공식적으로 맡았던 일들을 생색을 내는 공식 국가 기구들이 하나둘씩 맡게 되면서 품질이 외려 떨어졌다고 봅니다 나는. 그리고 그 경향은 더욱 짙어져 가는 것 같고. 권위와 전문성을 내세우지만 그건 어떤 규모와 위압감, 떠들썩함에서 나오는 것일 뿐 정작 제대로 된 것은 별로 많이 보이질 않습니다. 대리와 자치의 문제인데 일단 돈 있으면 대리가 편합니다.
예전의 방식엔 진심이라는 게, 금전으로 환원되지 않는 생명체에 대한 외경 같은 게 있었는데(이걸 동물성이라고 합니다만), 지금은 자판기에 돈 넣고 서비스를 받는 느낌이 강하게 듭니다. 좀 싼티가 난다고 할까요. 하나 장담할 수 있는 것은 사람들 사이는 갈수록 멀어질 겁니다.
[스캇의 환상적인 글. 도대체 무엇이 우리 문화에서 몸만 어른인 성체를 양산해 내는 것인지 지난 10년간 곰곰 생각해 봤는데요. 범인은 TV인 것 같아요. TV의 힘은 문학, 영화 예술 등의 분야로 흘러들어갔고요. 이런 매개물들이 여성들을 세뇌시켜 맨하탄으로 유인해 모두들 환상에 빠져 캐리 언더우드가 되고 싶어 안달복달하게 만들고 남자들은 서로 ‘bro, bro’(몰랐나 해서 하는 말인데 난 네 형씨가 아냐) 이러고 말이죠, 지난 수세기동안 유지되어 오던, 성인에 걸맞는 격식이나 권위가 무너지고 있어요. 두 사람이 오붓이 한 잔 하는 분위기보다는 무더기의 사무실 직원들이 소풍가는 유치원생들처럼 바에 무리지어 들어와서는 원샷을 외치며 마치 대학생들 MT파티소굴인양 떠들어대기나 하지요. 옛날엔 늘 이렇지는 않았어요. 리얼리티 티비쇼는 최악이에요. 어떤 이들은 대중의 시선을 끌기 위한 노하우들이 마치 성서이기라도 한 양 몰입해서 어린애처럼 관심에 집착합니다. 비판하면 부정적이라고 하고 독립적인 것을 부러워하면서도 의심에 찬 눈초리로 바라봅니다. 내가 하는 말이 구식이고 까다롭게만 들린다면 나란 사람이 그래서 그럴 수도 있어요. 만약 내가 하는 말이 옛날이 지금보다 낫고 더 격조 있고 격식 있었다고 하는 것 같다면 옛날엔 정말 그랬기 때문이에요. 맨하탄은 한 때 성인들의 도시였죠.]
글쓴이가 그리워하는 것이 무엇을 내포하건 간에 여성독자로서 제가 느낀 건 '남자들은 그럴 수 있겠다'란 공감이었죠. 그리고 더 공감이 간 글은 기사에서 언급된, 변질된 문화의 근원을 자본주의의 폐해에서 찾은 다른 기사였어요. 뉴욕타임즈의 댓글에도 나오긴 해요.
[전제하신 내용은 매우 일리가 있어요. 그치만 하나 생략된 중요한 요소는 바로 경제예요. 2014년에 가장 한 명이 한 가정을 오롯이 먹여살릴 수 있는 탄탄한 직장이란 존재하지 않습니다. 여러 산업분야에 걸쳐 거의 항시 고용규모를 줄이고 있는 상황이고 한 직장에 오래 머무는 것은 회사에 자산이 되기 보다 부담만 되죠.
남성의 권위적인 지위는 경제적 안정성이 보장되어야만 가능하죠. 그게 불가능한 시대에서는 그런 권위가 송두리째 말살되는 분위기가 자연스럽게 예술, 남성성, 일반 문화의 속깊은 곳에 스며들 수밖에 없겠죠.]
제가 왜 이런 댓글을 쓰냐면요 글쓴이가 남성적이고 가부장적이던 그 시절을 그리워하면서도 여자탓을 하지 않아요.
http://www.nytimes.com/2014/09/14/magazine/the-death-of-adulthood-in-american-culture.html?_r=0
http://www.salon.com/2014/09/12/the_death_of_adulthood_is_really_just_capitalism_at_work/
MCS
New York 11 September 2014Fascinating piece Mr. Scott. Having been in a decade long ponder over what exactly has changed in the culture that has created this pervasive "child adult". I can only point to television as the culprit. Its power has steamrolled literature, film, and art. It has brainwashed, literally, hordes of women to move to Manhattan to be Carrie Underwood, often to their disillusionment, countless men to refer to each other as "bro" (I'm not your bro if you don't know") and a general informality towards all the great rituals of adulthood that have been around for centuries. Two colleagues meeting for a drink, has now become the entire office staff walking to a bar like children on a field trip, proceeding to pound shots and behave as if a bar is the den of a frat house. It wasn't always this way. Reality TV has brought out the worst in us, and for some has become a bible for how to gain the most attention in life through behaving like a child with an attention disorder. Critical is now called "being negative" and individuality is looked upon with enviable suspicion. If I sound old and cranky it's because I am. If it sounds like I'm saying things were once better, more sophisticated, of a higher standard, it's simply because things were better. Manhattan was once a city of adults.
Ryan
DC 11 September 2014The premise makes a lot of sense, but the piece is missing a crucial economic element. The reliable, hard-working career job that a man could expect to keep his whole life is virtually non-existent in 2014. With near-constant downsizing across different industries, staying one place too long makes an employee a liability rather than an asset.
The authoritative male figure thrives on stability. In a time where that's no longer possible, a sense of uprootedness naturally makes its way into art and masculinity and general culture.
그 아이는 그런 생각을 왜 했을까 아니 우리는 아이가 보고 있는 우리 사회의 심각성을 간과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우리 성장 시대에는 경험해 보지 않은 너무나 심각하고 무서운 사건들이 우리 주변에서 쉽게 일어나고 있는 것들의 근본적 요인들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는데, 물론 직접적인 관계는 적더라도 다분히 우리 생활 문화의 파괴가, 이를테면 한국 여성의 인내와 희생 자애 같은 덕목들이 빠져나가면서 오는 현상일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농촌과 도시 근로자는 다수이기도 하지만 오늘날의 한국이 있기까지 많은 것을 키워낸 강줄기의 수원지 같은 귀한 의미를 갖고 있는 삶의 지대인데 그들의 거의 3할 정도의 남성들이 연령도 맞지 않고 소통도 되지 않고 이질적 문화의 여성 더구나 거래에 의해 사온 일종의 결혼 노예와의 조건 인연의 삶을 안타깝게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제가 사는 곳이 농촌이라서 비자를 위해 위장 결혼 하는 경우도 있는 등 반 이상의 다문화 가정이 파산되는 것을 목격합니다. 일정한 기간을 살고 아이를 하나 둘 낳아 양육 할 때쯤 여자의 도주와 이혼 등의 일이 벌어집니다. 물론 잘 살아가는 가정도 있습니다.
그것으로 부터 파생되는 문제는 결혼 전보다 더 심각합니다. 결손 가정이 되고 가난하고 늙은 아버지에 양육되어야 하는 혼혈 2세들의 앞날이 심각합니다.
그러한 일들을 어느 정권 때 기획된 농촌 혼인 정책이었습니다. 앞으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를 고려해 보지도 않고 우리 문화의 변화와 퇴락에 대한 고민이 없는 정책이었다고 봅니다. 사실 그들도 어쩔 수 없는 고육지책이었겠죠.
그뿐이겠습니까. 수도 없이 쏟아지는 사회문제 범죄또 앞으로 발생될 혼돈 등은 더욱 증폭될 것입니다 . 터키로 떠나 살벌한 투쟁과 살육의 현장에 뛰어 든 어린 학생이 저는 정신병자로 혹은 자폐아로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그가 던진 메세지도 상당히 중요한 것을 시사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