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게시판
개인적으로 연고전 참 맘에 안듭니다. 아주 이해를 못하는건 아닙니다. 의도적으로 라이벌 관계를 만들어 자부심과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행사는 어디나 있으니까요. 제가 다녔던 대학에서도 보불 전쟁이라하여 불문과-독문과 연례 체육 대회가 있었습니다.
먼저 마음에 안드는건 연고대 주위에서야 그렇다쳐도 왜 시가 행진을 허용하냐는 겁니다. 국가 행사도 아니고 전국민 대상 스포츠도 아닌데 왜 연고대와 무관한 시민들이 피해를 입어야 하냐는 거지요.
그건 그렇다치고 넘어갑니다. 제일 마음에 안드는건,
연고대의 체육 정책입니다. 체육 특기생 정책을 아직도 고수하고 있다는 거, 이거 정말 마음에 안듭니다. 국민 총동원 시대인 70년대까진 그러려니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 우리나라가 스포츠 전문 인력 양성하여 국위선양해야할 단계입니까?
체육 특기생들이 모여 전적 이기면 그 학교 학생들 체력이 더 건강하다는 지표가 됩니까?
미국의 하바드, 예일 정기전은 모르지만 옥스브릿지 요트 대항 경기를 비롯해 다른 나라의 명문 사학 정기전은 모두 체육 특기생 제도와 무관합니다. 순수한 아마춰 대항전이지요.
대학만 그렇습니까? 우리나라에선 참 이상한 신화가 있습니다. 운동 잘하는 애는 운동만 해서 먹고 살 수 있어야 한다. 그러니까 비인기 스포츠도 모두 밥먹고 살 수 있어야 한다, 그러니 국가가 지원해라.
다른 나라 그렇습니까? 제가 알기로 안그렇습니다. 그건 각자가 책임질 일입니다. 얼마전 대구 육상 월드컵에 출전한 세계적 선수의 직업은 경찰이더군요. 저번 월드컵에 출전한 뉴질랜드의 국가대표 축구 선수 직업은 은행원이었습니다. 제가 아는한 외국에선 당연히 개인의 선택으로 받아들입니다. (다른 이야기인데 전 홍대 인디 밴드들도 음악만 하면서 최소한의 생계를 유지하도록 국가가 지원하라는 주장도 못마땅합니다. 제가 알기로 다른 나라에선 당연히 투잡합니다. 꽤 이름있는 재즈 뮤지션 중에도 투잡 뛰는 사람들 많습니다. 물론 인디 밴드만이 아니라 보편적 복지를 확대하라면 적극 찬성입니다.)
외국의 프로 스포츠 선수들은 어릴적부터 유스팀에서 뛰며 운동만 한다구요? 제가 알기로 법 엄격합니다. 유스팀 뛰어도 받아야할 수업 받도록 법에서 강제합니다. 즉, 운동선수는 운동만 해야 한다는 논리는 오히려 한국에서만 통용되는 논리입니다.
스포츠 밖의 시선으로 볼까요? 서울대 동경대 정기 야구 대항전이 있습니다. 서울대 한번도 못이겻습니다. 그런데 그 이유를 보면 감탄이 나옵니다. 동경대에는 고등학교 시절 야구 선수가 당당히 시험 합격해서 들어오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심지어 동경대 졸업하고 프로 리그에 뛰어드는 선수도 몇 나왔답니다. 서울대는 제가 알기로 지금까지 배출한 유명 스포츠 선수는 황보관 한명일겁니다.
이러니 서울대가 동경대를 못이기는 겁니다.
선진국들은 이렇게 지와 체를 조화시킵니다. 공부할 애는 공부만, 운동할 애는 운동만 잘하면 된다는 논리는 없습니다. 오히려 그 논리는 야구팀 만들어놓고 어찌 양반이 배트를 휘두를 수 있냐며 하인에게 전담시켰던 조선시대 양반의 구닥다리 전통이 박정희 시대의 국민 총동원 이데올로그와 결합된 괴물일 뿐입니다.
제 생각에 연고대가 정말 한국을 선도하는 대학이라 자부심을 갖는다면 더 이상 낡은 스타일 고집하지 말고 연고전을 순수 아마춰 제전으로 탈바꿈해야 합니다.
그런데...
거꾸로 가더군요. 고대 정신 김연아...
글쎄요. 제가 고대 사정은 알지 못합니다만 지금 상당수 사립대가 연예인 입학시켜놓고 학점 줘서 졸업시킨다는거...공공연한 비밀입니다. 영 이름이 안알려진 대학에서 그러는 거야 이해할 수 있습니다. 나름 절박한 사정이 있을 테니까요. 그런데 연고대 수준의 대학에서 지와 체를 조화시켜 한국을 이끌어갈 인재를 배출할 생각을 하기는 커녕 자꾸 편법으로 기운다는거...
아무튼 지금 연고전 참 마음에 안듭니다. 만에 하나 지금 연고전이 순수 아마춰 제전으로 바뀌었다면 이 글은 바로 삭제하겠습니다.
ps - 죄송합니다만 아크로 최초 오프는 11월로 연기해야할 것 같습니다. 10월 말에 갑자기 일정이 생겨서...죄송합니다. 조만간 관련 공지 올리겠습니다.
오히려 일제시대나 해방직후에는 특기생 제도 없이 공부와 운동을 병행했다고 하더군요. 말씀하신대로 박정희 시대에 스포츠 국가주의, 국민총동원주의가 결합된 괴물이 현재의 제도인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사람들이 터치할 수가 없지요. 저 역시 이런 것에 관심(?)은 많은 학벌주의자라서 말씀인데 '보불전쟁'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시닉스님의 학벌을 감안하면 연고전이건 고연전이건 터치하기 쉽지만, 그 외의 사람들은 많이 힘들지요.
막말로 연고전으로 인한 학교 주위, 시가지 민폐질이 짜증난다고 연고전이고 뭐고 집어치우라고 글 써서 연고대 학생을 열받게 한 친구가 있다고 칩시다. (예컨대 글말미에 "그래봐야 니들이라고 서울대 위도 아니잖아? 뭐 이런다던가) 아마 제가 보장하건대 연고대 학생들이 하나 됭어 이 사람 괴롭힐 겁니다. 만약에 또래에다가 학교까지 속칭 잡대라면 그림이 나오는데요?
강준만이 서울대 비판하자마자 그래도 중상위 대학인 성대에 미국 유학파임에도 불구 서울대 못 나온 한풀이라고 오지게 비아냥을 당했는데 그냥 일반인들은 말할 것도 없습니다. 심지어 진중권 마저도 강준만의 서울대 비판을 저런 뉘앙스로 비꼰 적이 있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리고 어차피 연고전의 목적은 2인자는 우리 둘 중 하나라는 것을 각인시키기 위한 어떤 전략적인 행동이죠. 애초부터 시작이 그거인데 무슨 아마추어 정신 이런게 의미가 있을까 싶네요. 솔직히 이 행사에 언제는 순수함이 있었나 싶어요.
연고전 목적도 이해하는데 제가 보기에 이미 그 인기나 흥행 스코어상 과거의 영화는 다시 안옵니다. 연고전 응원 아무리 화려하게 해도 두 학교 빼놓고 아무도 관심 안가집니다. 오히려 민폐(?)에 대한 짜증만 늘어나죠. 이미 스포츠는 엔터테인먼트(프로 스포츠) 또는 각자 즐기는 것(헬스, 요가 등등)으로 주도권이 넘어가고 있어요. 스포츠를 통한 국위선양, 또는 학교의 자부심을 드높인다 뭐 이런 구호는 이제 유치하게 들리잖아요? 아무리 뭘해도 고교 야구에 전국민 시선이 몰리고 연고전 티브이 중계하는 시대는 다시 안옵니다. 연고대가 시대 바뀐 걸 알았으면 좋겠다는 거죠.
제 말이 그겁니다. 아마추어리즘이 참 좋은 건데, 운동도 상업화 자본주의화 돼서 몸을 축내고 해야 밥을 먹는다는 거죠. 운동선수들이 더 건강하고 더 오래 살아야 하는데 요절하는 경우가 많지요. 무리한 연습과 심지어 약물까지 복용하니까요. 그래서 엘리트 체육이 아니라 건전한 사회체육이 번성해야 하는데 모든 게 돈으로 돌아가는 자본주의에서는 그 반대 현상이 나타나는 거죠.
노동도 마찬가지입니다. 나는 육체노동과 정신노동, 그리고 놀이와 휴식이 균형 잡힌 삶을 살아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자본주의 체제는 그걸 허용안하죠. 오로지 풀타임으로 전문적(말이 전문직이지 사실은 단순 반복적) 업무를 강요하죠. 그러니 돈은 벌지는 몰라도 좀비가 되고, 스트레스, 운동부족으로 몸과 정신이 망가져 당뇨병 이나 암 등 현대병 발병율이 높습니다. 병원 가서 사망선고를 받으면 그때 가서야 욕심을 버리고 자연으로 돌아가는데 너무 늦은 겁니다. 현대인들은 도대체 왜 사는지 자성해봐야 합니다.
제가 원시시대를 자꾸 언급하는 이유가 인류사에서 자연 속에서 건강하게 살았던 때가 수렵채취하던 원시시대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문명은 목적이 있으니 부품이 하나만 빠져도 휘청거리며 결함이 나타납니다. 또 그 개체가 부품역할을 해줘야 댓가를 지불해 먹고 살게 해주고요. 그러니 문명 사회에서 부품이 안 되면서 사는 게 쉽지 않은 일이죠. 수렵채취로 살고 싶어도 이미 생태계가 파괴돼고 먹이사슬이 살아졌으니 불가능하고요.
온전한 자연은 구성원들에게 역할이나 댓가를 안 바랍니다. 그져 자연의 순리에 맞게만 행동하면 별 탈 없이 살게 해주죠.
부시맨들의 평균수명을 조사해보니 65세가 넘는데 이것은 역사상 존재해왔던 대부분의 농경사회는 물론 현대의료기술이 발달하기 이전의 서양인들보다도 높은 것입니다. 지금 같은 아프리카에서 65세까지 건강하게 살다 죽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이것은 사실이지만 그들의 임신 간격은 체질상 현대인들 보다 훨씬 깁니다.
현대 사회기 때문에 생기는 병과 부상 장애인이 되거나 죽는 경우에 비하면 훨씬 적습니다. 참고로 현대사회에서 교통사고 사망율은 1위입니다.
ㅎㅎ 이것도 이유가 되나요. 미신은 어느 사회나 생기고 없어집니다. 과학이 아무리 발달해도 못 밝히는 현상은 무한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과거의 미신들이 정체가 밝혀져 현대에서 사라지는 경우도 있지만 그 수 못지 않은 미신이 새로 생겨납니다. 따라서 현대의 미신이 과거의 미신보다 수가 많습니다. 체계화되고 제도화된 미신인 종교도 지금이 그때보다 종류가 훨씬 많지요.
학문이 꼭 필요한 건가요. 원시인들은 나름대로 현대인들보다 생각이 깊습니다. 예술이나 오락도 나름대로 많습니다. 적어도 현대인들보다는 거기에 종사하는 시간이 길었습니다. 현대인들은 하는 사람들만 하지요. 아무튼 그들의 삶의 만족도가 훨씬 높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실제로 수렵채취시대에는 전쟁 자체가 훨씬 적었습니다. 전쟁도 농업이후 정착생활이 생기고 인구가 늘어서 생긴 현상입니다. 씨족이나 군족사회기때문에 개인간 다툼도 익명사회인 지금보다 훨신 적습니다. 대체로 수렵채취인들은 농업이나 산업사회인들보다 훨씬 평화적입니다.
세상에는 우리가 들어본 사실보다 못 들어본 사실이 더 많으니 놀라실 필요는 없죠.
제가 없는 얘기를 만들 수는 없고요, 제 기억으론 실제로 부시맨과 함께 몇년간 생활한 인류학자 Richard Lee가 편집한 Man The Hunter라는 책으로 알고 있는데 제가 밖에 나와 있기때문에10월중순 집에 가면 자료를 올리겠습니다.
검색해보니 아래 참고할 만한 자료는 있네요.
Societies, Networks, and Transitions: A Global History--Volume I ... - Google 도서 검색결과
books.google.com/books?isbn=0618386122...
Craig A. Lockard - 2007 - History - 424 페이지
Kung life expectancy is similar to that in many industrialized countries. Since they spend only about fifteen to twenty hours a week in maintaining their livelihood, ...
http://books.google.com/books?id=yJPlCpzOY_QC&pg=PA17&lpg=PA17&dq=kung+life+expectancy&source=bl&ots=ri-7xmnkqN&sig=OyrN0Z4UI7iy8Ne5cr_li6bkwgs&hl=ko&ei=dOJ3TtKBIujSiAKrsqTYCg&sa=X&oi=book_result&ct=result&resnum=10&sqi=2&ved=0CHcQ6AEwCQ#v=onepage&q=kung%20life%20expectancy&f=false
그리고 허탈한 점은 걔들은 직업이랑 병행하면서 운동해도 금메달 잘도 딴다는 사실. 아니, 우리보다 더 잘땁니다.
올림픽 금메달에 목숨걸 시대도 아닌데 왜 국가총동원 엘리트시스템으로 예산 낭비 + 선수들 인생 낭비 하는지 이해 불가에요.
오버트레이닝으로 건강 해쳐, 공부안해 머리 굳어... 왜 이런 멍청한 짓을 하는지...
일본만화 H2나 슬램덩크를 보면 학원스포츠 시스템이 참 부럽다는 생각이 들죠. 그나마 그런 모습을 보이고 있다니 다행이긴 합니다만.. 입시교육은 대학부터 변해야 하는 것이 맞다고 보지만 엘리트체육인 개념은 아래에서부터 변화되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해요. 사실 연고대에 들어간 체육특기생들은 이미 수업을 따라가기 힘든 수준이라고 봐야되니까요. 여튼 연고전이 아마추어 체전으로 바뀌는 것엔 적극동의.
미국 정도만 되도 합리적이죠. 제가 잘 알진 못하지만 고교 축구의 경우 일부 학교에서 시범적으로 그렇게 하고 있다는군요. 수업 빠지면 안되고 일정 성적 이하면 축구부 자격 박탈, 코치가 책임지고 학업 관리. 그리고 고교 축구 대회도 컵대회 지양하고 수업에 참여할 수 잇도록 주말 리그 중심으로 운영한다 그러고요. 그래서 그 학교 축구부 출신 하나는 아이비 리그 대학도 진학했다 그러고.
한국에서 가능할 지 모르겠지만 사실 공부 성적 좀 떨어져도 운동이나 예능으로 쌓은 경력있으면 그런 학생의 경쟁력이 더 큰 것 아닌가란 생각도 듭니다. 공부 병행하며 축구부로 전국대회 우승했다, 혹은 국가 대표로 세계 대회 나갔다 그런 경험 정말 큰 거니까요.
있는데 요즘 잘 나갑니다. 독일가곡으로 제일 잘 나가는 음악가 중에 하나인데요, 이 양반은 옥스포드 대학에서
<마녀>에 관한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박사, 그것도 옥스포드 대학에서... 칼 M 줄리니는 의사였다가
지휘자가 되었죠. 외국 유명 연주가자 지휘자 중에는 문학사나 의사 (그러나 공학박사는 아직 보지 못했네요..)하다가
전공을 바꾼 분들이 더러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없죠, 어릴때부터 거의 서커스 식으로 훈련하니까 그런 인문교육 자체를 쓸데없는 뻘짓
이라는 의식이 강합니다. 그러다보니 음악적으로는 매우 우수한 재능을 보이지만 음악에서 한발자욱만 나가면 영
한심한 소리를 하는 겁니다. 그래서 최동원이 의미를 가지죠. 그 나이에 선수노조라는 생각을 누가 할 수 있겠습니까 ?
우리 정명훈 선생도 이전에 한심한 이야기를 했죠, "못살 때 미국이 한국을 도와주었는데 살만하니까 미국에게 대든다. 배은망덕하게..."
하하... 이런 정도의 시각은 요즘 초딩생들에게도 보기 힘든 "순수한 마음"인데요.. 그런 소리듣고나서는 정명훈 음반은
듣지 않았습니다. 그의 성품으로 볼 때 그 발언의 진의는 수꼴적, 이데올로기적 발언은 아니지만, 자신에게 부과된 삶을
대자적으로 보지 못하는 전형적은 즉자적 관점인거죠. 순진한 발언인데요,그런데 그런 발언은 어릴때 하면 그런 소리
순진하다도 치장이 되지만 나이들어 그런 소리하면 멍청하다는 소릴 듣게 됩니다.
인문학적 교양이 잘 준비된 사람의 연주는 확실히 뭐가 달라도 다릅니다. 백건우가 그런 경우라고 보는데요, 그의 소리는
그가 가진 다양한 인문학적 소양에 기인한 점도 있다고 봅니다. 지금 잘나가는 한국 젊은 연주자들, 교양쌓는일 등한시하고
곡마단 광대같이 일년내내 연주여행다니며 박수소리에 목을 매면 1.5류를 면하기 힘들겁니다. 장영주를 보면 그런 생각이 좀 듭니다.
유명하게 사는 것도 좋지만 훌륭하게 사는 것, 또는 가치있게 사는 것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요약: 운동선수나 예술가나 (인문학을) 공부해야한다. 왜냐하면 사람답게 살기 위해서
사실 제가 나이가 있어서인지 연고전 하든 말든 별로 관심도 없고 (그리고 연고대 출신 아니면 제 주변 모두 예전에 비해 거의 관심없는 듯. 저 초등학교땐 공중파 티브이에서 전 경기 중계도 했는데) 학교 주변에서 축제로 즐기는 것도 젊은 시절의 낭만으로 보이고 지하철에서 노래부르고 그런 것도 심하지만 않으면 한때다 싶어 너그러이 넘어 갑니다만...
프로팀 생긴 이후로 대학 스포츠 자체가 시들하고 그렇지만 아직도 대학 입학 수단으로 운동만 하는 경향이 남아있고 그 경향엔 연고대 책임이 가장 크지 않냐, 뭐 이런 문제의식입니다. 뭐 연고대가 체육 특기생 제도 폐지한다 그러면 당장 고등학교 운동부 학부모들이 교문 앞에서 데모할 것 같긴 합니다만. - -;;;
축구 주말리그 2년째 중간 점검… “영재반 학생도 축구부 가입하더라”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3562352&cp=nv
초중고 주말 리그 6개월, 한국 축구의 뿌리를 바꿨다
http://blog.daum.net/hallo-jihan/16157667
중학교 야구투수들에게 커브 특히 역회전은 못던지게 합니다. 어깨가 금방 나가거든요.
고등학교 주말제는 그야말로 탁상공론입니다. 에이스만 줄창 나옵니다. 에이스는 에이스대로
망가지고 재능있는 다른 선수들은 더 가려지고..
고등학교 야구 투수들은 이닝수를 제한해야 합니다. 그게 공평합니다. 이전에 양상문 선수는
고등학교때 150 가까운 공을 던졌습니다. 거의 노예 부려먹듯이 했죠. 대학에 가서도 그랬다고
알고 있습니다. 특히 고연전...(고대 친구들에게 맨날 듣다보니 제 입에는 고연전이 익었네요 ㅎㅎ)
그러다 정작 돈을 벌 수 있는 직장인 프로와서 바보되었죠. 양상문은 고등학교때 시험쳐서 간 사람이죠.
그 당시로 봐도 아주 머리가 좋은 친구였죠. 아까운 사람입니다. 아마 박찬호가 고등학교때 제구가
잡혔다면 아마 엄청 혹사당헤서 병신되었을 겁니다.
고등학교 야구부 코치는 성적이 밥그릇이라 선수를 무슨 썰매개 부리듯이 혹사를 했습니다.
무자비하게 시킵니다. 애들 병신만들죠, 제 밥그릇을 위해서.. 뭐라고 하기도 힘듭니다. 이것은
제도로 막아야 합니다. 고등학교 공식게임에서 투수당 이닝수는 충분히 제한을 해야 합니다.
전국대회라면 3번의 full 게임 기준으로 27 이닝 정도가 어떨까 합니다. 이것도 사실 많습니다...
그렇게 혹사당해서 인생망친 투수 여럿있습니다. 이것은 제도적으로 막아야 합니다.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