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게시판
글 수 20,290
일본에서도 무바라크 퇴진 운동이 상당기간 동안 뉴스의 메인 이슈였다. 지난 주...뉴스 와이드 같은 프로그램을 봤더니, 무바라크의 퇴진에는 재밌는 아이러니에 관한 내용이 소개됐었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이집트 민주화 운동은 무바라크의 자승자박이다. 아크로에서는 그 얘기가 없는 것 같길래 간단하게 소개.
Tweet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이집트 무바라크 대통령은 제2차 중동전쟁의 영웅이고, 친미파로 알려져있다 (저는 그렇게 알고 있는데... 틀리다면 지적바람) 대표적인 친미파인 관계로 아랍권 내부에서도 이집트 무바라크에 대한 시선이 곱지 않았는데, 미국의 이라크 전쟁으로 인해(친미파 무바라크에게 발생한 첫번째 아이러니), 이집트의 관광수입이 급감했고, 왜인지는 잘못들었으나, 인구구성에서 상당수를 차지하는 젊은 층 인구(약50%에 육박?)의 상당수가 실업으로 고통받았다고 한다. (청년 실업률이 25%) 그래서 사회불안이 심해지자, 무바라크 정부가 선택한 것은 IT산업의 육성. 그런데, 독재자 무바라크가 IT산업을 육성하고 민중들의 결집이 불안하니까, 서버를 통해 정보통제를 상당히 했던 모양. 이렇게 청년 실업을 해소하여 사회불안을 잠재우고 정보통제를 통해 독재정권을 유지해오려고 하던 중 IT산업 육성으로 구축된 네트워크로 sns 미디어인 페이스북의 활용이 높아졌던 듯. 주요 서버는 모두 통제하고 감시하면서 관리했지만, 개인간 네트워크 서비스는 감시하지 못했던 것. 결국, 이번 반정부 시위의 주요확산과 강한 압박이 이 페이스북 을 통한 시위대의 정보유통과 결집이었다는 것. IT산업 육성이 결국 무바라크 자신의 목을 죄는 상황이 된것. 나중에 구속되었다가 풀려나 이집트 민주화의 영웅이 된 와엘 그호 구글 마케팅 담당 임원이 바로 젊은 인터넷 세대. 이번 시위의 완벽한 상징이라고 볼 수 있을 듯. 혁신의 공간적 확산과정이 그러하듯, 인접지역으로의 반정부 민주화 운동의 확산도 기대해볼 수 있는 상황.
무바라크는 이런 상황을 예측하지 못했겠지... 삶이란 아이러니의 연속이란 생각을 하고 있을 듯.
또 하나 북한 주민들도 이집트 민주화 운동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다고 하니... 북한의 변화가 언제 어떤 식으로 이루어질지도 궁금하다.
2011.02.15 12:13:34
미국에서 촉발된 금융위기는 유럽 국가의 재정위기와 경기침체를 가져왔고 튀니지 경제에 직격탄이 됐다. 재정위기에 빠진 유럽의 각 나라들이 씀씀이를 줄이면서 의류 등 튀니지의 주력 수출산업이 어려움에 처하게 된 것이다.
결국 이들 두 나라의 민주혁명의 직접적 원인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미국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지난 2008년 미국의 서브프라임 사태로 빚어진 세계경제 위기가 유럽을 거쳐 이들 두 나라 경제에도 영향을 미쳤고, 미국의 양적완화 조치가 물가폭등에 기름을 부었다.
- 미디어 오늘 기사 인용요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93780) -
2011.02.15 12:30:22
별 설득력이 없는 기사군요.
- 우선, 국제금융위기의 여파가 그 두나라에만 집중된 것은 아니지요. 만국 공통입니다. 뭔가 다른 요인을 찾아야할듯.
- 경기침체가 기층민중의 불만을 낳고 이는 민주화 혁명으로 이어진다는 주장은 그냥 끼워맞추기에 불과하다는 느낌이 듭니다. 같은 논리라면 불만 정도가 아니라 아사 직전에 이른 경제파탄국은 왜 조용할까요? (봉기할 힘도 없어서 그러나...?) 또한, 경기가 호황을 지속하면 소득이 올라가서 중산층이 확대되고 이는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민 혁명으로 이어진 사례도 많습니다.
- 우선, 국제금융위기의 여파가 그 두나라에만 집중된 것은 아니지요. 만국 공통입니다. 뭔가 다른 요인을 찾아야할듯.
- 경기침체가 기층민중의 불만을 낳고 이는 민주화 혁명으로 이어진다는 주장은 그냥 끼워맞추기에 불과하다는 느낌이 듭니다. 같은 논리라면 불만 정도가 아니라 아사 직전에 이른 경제파탄국은 왜 조용할까요? (봉기할 힘도 없어서 그러나...?) 또한, 경기가 호황을 지속하면 소득이 올라가서 중산층이 확대되고 이는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민 혁명으로 이어진 사례도 많습니다.
2011.02.15 12:49:39
잘 모르지만, 에노텐님의 논리 풀이에만 끼어들자면, '경기침체가 시민의 불만을 낳고, 민주화 혁명으로 이어진다는 주장'이 그리 억지 같아보이지는 않습니다.
아사 직전에 이른 경제파탄국은 서브프라임 사태가 아니더라도, 이미 만성화되어 있죠.
국제 금융위기의 여파가 전세계로 퍼져나갔다고 하더라도, 각국의 대응방식이 다르죠. 다 같이 똑같은 영향을 받는게 더 이상합니다.
그리고 그쪽의 청년실업은 고질적인 문제죠. 이슬람 과격세력이 이용하고 있는게 종교가 아니라,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청년들의 내적불안을 이용하고 있다는 강의를 들은 기억이 나네요. 가물가물...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