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로 편집실 - 아크로 주요 논쟁 Archive, 좋은 글 다시 보기
뭐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지 마세요.
민주주의는 피를 먹고 자라지만
앵벌이는 경멸과 증오의 눈빛을 먹고 자랍니다.
어느 시인이 '나를 키워준 8할은 바람'이라고 했던가요?
유시민을 키워준 8할은 소위 '닝구' ㅎㅛㅇ아들의 관심입니다.
늦었지만 이제라도 신경 끄세요.
민주당에서 개무시해버리면 점차로 잊혀져 갈 넘들입니다.
앵벌이는 경멸과 증오의 눈빛을 먹고 자랍니다.
출처(ref.) : 자유게시판 - http://theacro.com/zbxe/?mid=free&document_srl=339738&act=dispBoardReplyComment&comment_srl=339760
by 바람계곡
민주당을 보고 있노라면 그런 생각이 듭니다.
원래 덩치가 큰 주류정당 내부에는 별 넘들이 다 있습니다.
이넘들은 '수틀리면 나가서 딴살림 차리겠다'라는 말을 서슴치 않죠. 가끔 실제로 뛰쳐나가기도하고,
그래도 의연해야 합니다.
당장 지지표가 갈리고 의석수가 줄어도
장기적으로 원칙을 고수하는 것이 (다른 말로 하자면 체신머리 있게 움직이는 것이) 결국은 이기는 길입니다.
한나라당을 보세요.
이회창때의 박근혜 탈당부터 시작해서, 이회창 그룹, 친박연대 등등... 별의 별 인간들이 다 있었습니다.
그런 외중에서도 한나라당의 주류는 뛰쳐나간 사람들에게 개무시 전략으로 일관했습니다.
반면 민주당은 어떤가요?
영남권 표, 진보성향의 표 조금 얻어보겠다고
이리 휘둘리고 저리 휘둘리고.
영남애들은 대가리수가 많아 그 정도 여유는 있다는 말일랑은 하지도 마세요.
이건 태도의 문제입니다.
말씀이 조금 지나치신 것 같습니다.
진보신당을 어제의 동지를 빨갱이로 팔아넘긴 넘이라니!
사실관계는 정확히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진보신당은 민노당의 원칙없는 친북성향, 보편성에 북한 정권만 예외로 두는 이상한 논리, 동지들의 정보를 북한에 제공하는 간부를 제대로 징계하지 못하는 지도부에 반기를 든 것입니다. 동지를 팔아넘긴 넘을 제대로 징계조차 하지 못하고 국가보안법의 장막(핑계)으로 역설적으로 숨어드는 비겁함을 보이는 것이 역겨워 뛰쳐 나온 것이죠.
개인의 정치성향이야 상호 존중해 주어야 하겠지만, 사실관계를 왜곡해서 상대를 비난하는 것은 삼가합시다.
댓글 추가 - 그리고 탄핵 총선 당시 노회찬의 비례대표 순번은 8번이었고, 민노당의 득표 실력으로 봐서 기적이 일어나지 않는한 당선 확률이 전무한 자리였죠. 당시만해도 민노당 실세였던 노회찬의 나름 배수진이었던 셈인데, 탄핵정국에 민노당 지지율이 급상승하면서 김종필을 밀어내고 당선된건 뭐 유명한 이야기고요. 유노빠들처럼 정치인의 진정성에 홀려서 정신 못차리는것도 문제지만, 함부로 의원직에 연연해서 아부를 떠는 위선자 쯤으로 보는 쿨한 태도도 그닥 바람직하지는 않을거 같습니다.
- 저는 노회찬, 심상정 자신의 재선정을 말하지 않았습니다. 자파 인사의 비례대표 등록을 말했습니다.
- 비례대표 8번 순위도 얻기 쉬운 것이 아닙니다.
- 그러니까 피노키오님은 '노회찬은 자신이나 자파 인사의 의원직에 연연해할 사람이 아니다. 그의 탈당은 순전히 정치적 소신에 의한 것이다.'라는 <진정성>을 거론하시네요. 그건 님 개인의 주장일뿐이죠. 그냥 노회찬을 믿어준다는 것과 뭐가 다르겠습니까? 언론에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비례대표를 둘러싼 민노당 양대계파의 갈등에 관해서는 많은 이야기가 흘러나왔습니다. 저는 그런 사실(혹은 주장)에 근거하여 진보신당을 판단하고 있습니다.
- 이 부분은 제가 독해를 잘 못한거 같네요.
- 총선이후 주사파에 완전히 장악당하기 전까지는 노회찬에게 그 정도 파워는 있었다고 봅니다.
- 이 부분은 님의 해석이니까 뭐 어쩔 수 없죠. 양 계파로 갈라져있다보니까 사사건건 충돌을 했고, 이 문제는 비단 비례대표 뿐만이 아니었죠. 사실 양 계파는 서로 화해할 수 없는 이념을 가진 사람들인데 좋은게 좋다고 한 지붕에 살았던거죠. 님은 비례대표 문제가 결정적이었다고 보시는데, 당시 전 과정을 관심있게 지켜보던 저로서는 납득하기 힘드네요. 북핵문제에 대한 시각차때문에 갈등이 있었고, 이어서 간첩사건이 터지자 해당 간부를 징계하기 위한 심상정의 건의안이 대의원투표로 부결되자 서로 갈라선게 팩트입니다. 만약 그 건의안이 통과되었으면 분당까지는 안되었겠죠. 비례대표 선정문제는 흔히 있던 부차적이고 일상적인 갈등의 하나였을 뿐이라고 봅니다. 그걸 확대해서 바라보는건 음모론이 아닐까 합니다.
- PD계열이 반'비지론'의 주축이었다는 점은 다 아는 사실이지만 그것이 곧 노회찬의 지지세력이 민주노동당을 만들었다는 결론으로 이어질 수 없습니다 (그냥 노회찬과 심상정이 깃발을 들었다라고 말하는 것이 옳지요). 그렇게 따지면 권영길은 왜 민주노동당에 남아 있는가요? 단병호도 NL이라서 노회찬에게 붙지 않고 있는 것인가요? 적어도 형식적인 모양은 당비를 내는 '진성당원'이 노회찬 반대편에 선 사람들을 지도부로 선택했다입니다. 이를 '일제히 당원가입하고 지도부를 장악'했다라고 표현하는 것은 당시 민주노동당 당원 대다수를 패거리즘에 따라 움직이는 사람들로 평가절하하겠다는 소리입니다.
- 정파적 이해에 따라 외곽 조직이 집단으로 당원에 가입하거나 투표하는것 자체는 정당활동속에서 익히 벌어질 수 있는 일이니까 그 자체를 나쁘게 보지는 않습니다. 일제히 당원가입하고 지도부를 장악'했다는건 뭐 주사파 본인들도 인정하는 팩트니까 저에게 따지실 문제는 아닌듯합니다. 권영길은 정파에 속했다기보다는 명망가라고 봐야죠. 단지 NL쪽 이해를 더 많이 반영했던거 같고, 단병호는 그 반대 케이스겠죠. 단병호가 왜 노회찬에게 붙지 않는지는 저도 모르죠. 전해듣기로는 더 이상 정치나 노동운동에 나서기 싫어한다는거 같습니다.
어쨌든 민노당에 대해 관망하던 주사파들이 총선이후에 물밀듯 밀려들어와서 기존의 다수 정파를 밀어내서 지도부를 장악하고, 기존 정파가 도저히 수용할 수 없는 결정들을 반복해서 내리는 바람에 진보신당으로 갈라졌다는건, 저의 해석이 아니라 언론들은 물론 그 쪽 동네 대부분이 인정하는 권위있는 견해라는 것만 말씀드리고 싶네요.
- 진보신당이 갈라선 근본적인 원인에 주류 즉 지도부의 독선적 당운영 (여기에는 비례대표 선정도 포함되겠죠?)이 있다는 사실은 님 말씀대로 부인하기 어렵습니다. 저도 Fully 동의합니다. 그렇지만 그것으로 그 뒤에 일어난 모든 일에 대해 정당성을 부여할 수는 없습니다.
- 발단은 갈라서는 과정입니다. 일심회 제명건의 부결은 분명 당지도부의 잘못이라고 봅니다. 그 건은 심상정과 노회찬이 옳았습니다. 노회찬도 그 과정에서 보안법때문이 아니라 (즉, 친북성향이 문제가 아니라) 당 기밀(?)을 누설시킨 죄 ("해당행위")를 묻는 것이라고 못을 박습니다. 심상정도 비슷한 취지의 발언을 여러번 했습니다. 따라서 제명건이 부결되고 분당이 현실화되었다면 그 분당의 명분은 당연히 독선적 당운영에 대한 반대였어야 했습니다.
- 그러나 정말 믿지못할 일이 분당후에 일어납니다. 노회찬과 그 지지세력들은 민주노동당에 남아 있는 이들 <모두>를 맹목적 친북세력으로 몰아붙이기 시작합니다. 보수언론들은 신이 나서 빨간 페인트를 들이 퍼붓습니다. 일심회 관련자 제명에 반대한 이들 중에는 진성빨갱이도 물론 있었겠지만 신중론자들도 많았을 것입니다. 이런 사람들이 모두 <어제의 동지에 의해> 빨갱이로 몰렸습니다.
- 그 과정에서 노회찬은 이를 바로 잡을 어떤 노력도 취하지 않았습니다. 적어도 제가 관찰하기에는 신생 진보신당의 입지 확보를 위해 이를 즐기고 있지않았나하는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 빨간칠은 우리 정치사에서 특히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진보, 보수를 막론하고 민주를 지향하는 이라면 금기시해야하는 행동입니다. 특히나 빨간칠의 피해를 가장 많이 입은 진보진영에는 더욱 그러합니다. 그런데 이를 자신의 정치적 이익을 위해 써먹다니요. 그것도 뜻을 함께한 진보정치의 동지들에게. 이것이 제가 진보신당을 경멸해마지않는 이유입니다.
- 피노키오님이 만약 현재 민주노동당의 다수 (혹은 당지도부의 다수)가 친북, 종북분자이고 이들이 민주노동당을 움직이고 있다고 판단하신다면 노회찬의 행동은 옳은 것이었습니다. 정말 그렇게 생각하시나요?
- 이건 확실한건 아닌데, 일심회보다는 북한의 핵무기 개발 성공에 대한 민노당 다수 당원들의 태도에 노회찬이 상당히 충격받았던걸로 압니다. 어떤 경우가 되었든 최악의 무차별 대량살상무기인 핵무기 개발을 찬성하는 사람들을 진보라고 볼 수는 없겠죠.
- 저는 민주노동당에 아직도 북한과 물리적 커넥션을 갖고 있는 사람은 없다고 봅니다. 그런데 아무리 좋게 봐줘도 북한의 입장을 무비판적으로 옹호하고 합리화하는 당원들이 상당수 있고, 목소리 높은 그들의 주장을 별 거부감없이 찬성해주는 다수의 당원들이 있다고 판단합니다. 그리고 당 지도부의 다수는 아직 주체사상을 가치판단의 근거로 삼는 사람들이 확실하다고 여기는 입장입니다. 물론 남한을 민족해방혁명의 대상으로 삼는 수준은 벗어났다고 보는데, 그야 뭐 그 사람들 속을 들여다볼 수가 없으니 알 수 없겠죠. 하지만 객관적으로 봐도 아직 전향을 했다고 인정해줄만한 수준도 아닌거 같습니다. 저번 김정은 세습에 대한 민노당의 논평을 봐도 그게 대한민국 사회의 일반적 상식이 허용할만한 논평은 아니겠죠. 핵무기를 찬성하고 최고 권력의 혈통 세습을 용인하는 사람들이 설령 빨갱이는 아닐지라도, 진보라고 불려서는 안되겠죠.
유시민선생의 말씀에 대해 못마땅하신 것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1)마땅한 것은 하나도 없나요?
유시민선생의 견해에 대해 못마땅한 것도 있지만 그 분이 보복부장관시절때 국민연금에 대한 정책은 바람직했다고 생각합니다.
2)못마땅한 것에 대해 여러가지 설명을 주시고 비판을 하셨습니다.
님의 말씀이 맞고 유시민선생의 말씀이 틀리는지 저는 모르겠습니다. 정치인의 말씀에 대해 비판을 하시는 것은 좋습니다.그러나 그 유시민선생의 못마땅한 평가의 글을 쓰시고 저의 글에 그 뉘앙스를 끌어와서 저에게 유시민의 향기가 난다는 말씀은 지나치신 것 아니십니까?
타인의 글에 대한 비판은 좋지만 그 헤아림에 대한 근거는 충분해야하는 것 입니다. 저역시 그러한 점이 부족하지만 님도 부족하신 것 같습니다. 한방에 대해 이해의 폭을 넓히시기를 권고드려도 될까요?
3)한방을 하다보면 풍수나 관상에 대해서 저절로 관심이 가게 됩니다. 바람계곡님은 이러한 것에 대해 모두 미신이나 근거없는 것으로 폄하하시겠지요? 그러나 사람들은 업소를 고르거나 사람을 사귈때 이러한 것에 근거를 두고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실제 아파트라든지 묘자리의 장소를 고를때 풍수를 고려합니다. 사람을 사귈때도 관상을 봅니다. 사람보는 것은 이러한 경험이 집약되어 나이가 들수록 실력이 커집니다. 이러한 경험을 모은 것이 관상입니다. 무시하기에는 너무나도 큰 학문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유 장관은 "공무원 연금과 국민연금은 시기상으로나 내용상으로나 같이 개혁하는 게 옳다"며 "당사자들(공무원들)이 반발한다고 고치지 못하면 대한민국 전체가 현재 있는 자리에서 그대로 서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http://news.hankooki.com/lpage/economy/200701/h2007013007430021500.htm
공무원연금과 군인연금을 손을 못댄 것은 맞습니다.
그러나,국민연금만 가지고 해택을 줄이려고 하지 않았습니다.
팩트확인에 소홀하신 것 같습니다.
말로만 그렇게 하고 나서 행자부 장관과의 설전에서 바로 꼬리를 내린 사실은 기억하지 못하시나보네요?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389968)
말은 누가 못합니까? 장관 자리를 걸고 (그것도 실세장관인데) 버티지 못할 바에는 차리리 말을 말든가...
2.행자부장관의 권한에 해당되는 것을 보복부 장관이 언론에 거론한 것 그 자체는 문제가 있나요?
3.유장관의 업무에 해당되는 개혁을 했는데 하지 못한 부분의 개혁은 유장관의 업무에 해당되지 않았는데 왜 유장관이 유장관의 권한이 아님에도 유장관이 잘못했다고 해야하나요?
링크글 올리시기만 하시고 읽지는 않으시가 봅니다.
공무원연금, 군인연금은 손도 못대고 제일 만만한 국민연금만 가지고 혜택 줄이려고 한 일 말이죠? 그게 '정책'입니까?
공무원연금은 손도 못대고라는 말 속에 "시도조차 안해보고"가 포함되어있고,"권한이 있음에도 하지 못함"이라는 의미가 포함되어있지요?
유시민이 언론에 자기권한도 아닌데 왜 알렸습니까? 그것은 시도이고요. 권한이 없음에도 한 것은 실세니깐 월권을 한 것이죠.
국민연금이 제일 만만하기는 한 것 입니까?
연금개혁하다가 수상이 갈린 유럽나라이야기는 모르시나요? ㅎㅎ
ㅎㅎ
일반 회사에서 월급을 지급하는 부서가 어디입니까? 경리부입니다. 월급 줄 돈을 관리하는 부서는요? 경리부입니다. 규정에 따라 급여를 책정하고 그와 관련된 직원 불만들을 처리하는 부서는요? 인사부입니다. 그럼 월급은 누가 <결정>할까요? 급여체계의 <개혁>은 누가 할까요? 사장의 의지에 따라 보통 기획관련 부서에서 하게 됩니다.
제가 분명히 연금 <개혁>이 보복부 장관의 소관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연금의 지급과 연금기금 운용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연금의 지급업무와 운용은 국민연금관리공단, 공무원연금관리공단 등 독립된 단체가 수행하며 보복부, 행자부 등의 <주무 부처>로 되어 있습니다. 저기서의 주<무>는 개혁업무가 아니라 정해진 방침 (법률)에 따른 운용 업무입니다. 따라서 공무원연금개혁과 행자부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오히려 관련이 있으면 안됩니다. 이해당사자에게 '앞으로 (국민의 세금으로 지출되는) 너희가 받을 연금을 너희가 정해라'라고 하는 나라가 세상에 어디 있습니까?
그러므로 행자부 장관의 입에서 나온 '행자부 장관이 주무장관'이라는 말이야말로 월권입니다. 이것은 마치 어느 회사의 인사부장이 '왜 이 회사 월급에 대해 기획실장이 나서서 거론하는거야? 당연히 내가 맡아서 해야지.'라고하는 어이없는 소리와 다를 바 없습니다.
그리고 유빠인 님의 표현처럼 '유시민이 월권했다'는 사실과 다릅니다 (유까인 저도 유시민이 결코 월권하지 않았다고하는데 오히려 유빠인 님이 나서서 유시민이 월권했다고하니... 이거 참...). 공무원연금 및 군인연금의 개혁은 분명 대통령 노무현으로부터 위임받은 장관 유시민의 권한이었습니다. 유시민이 노무현에게 질책을 받은 이유는 월권을 해서가 아니라 공략의 순서를 국민연금 -> 공무원/군인연금으로 한다는 의사결정권자의 전략지침을 어기고 촉새처럼 입을 나불댔기 때문입니다.
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0612/h2006120618360721950.htm
개혁이 보건복지부 장관의 소관이라고 말씀하셨는데 그 근거는 월급을 누가 결정하느냐에 대해 사장의 의지에 따라 기획관련부서가 한다는 논증,연금을 어떻게 설개할 것인가에 대한 개혁을 주관하는 것은 보건복지부 장관의 소관이라고 하시면서 기획관련부서는 사장의 의지에 따른 보건복지부장관임을 말하시는 논증,공무원개혁과 행자부는 아무런 관련이 있으면 안되며 그 이유는 이해당사자가 너희가 받을 연금은 너희가 정하라라는 논리는 있을 수 없음을 말하는 논증으로 행자부 소관이 아님을 말씀하셨는데 행자부소관이 아니라면 행자부소관이 아닐뿐임을 논증한 것이지, 그것이 보건복지부 장관의 소관임을 에노텐님이 논증한 것이 아님은 분명하다.
행자부산하 공무원연금제도발전위원회가 개혁의 주체다. 공무원연금제도발전위원회는 행자부산하이기는 하나 독립된 기관임은 분명하다.로 사실을 제시하면서 에노텐님의 논증에 대하여 반박과 동시에 사실을 설명한다.
유시민이 월권했다는 사실과 다르고 그 이유는 공무원연금 및 군인연금 개혁은 분명 대통령 노무현으로부터 위임받은 장관 유시민의 권한이라고 하는데 님이 제시한 링크글의 사과는 행자부장관이 제시한 것이고 국무회의의 주관은 국무총리이며 노무현총리의 복심인 한명숙총리가 주관한 것이었다. 만약 위임받았다면 한총리가 그 장소에서 행자부장관에게 유시민의 언론플레이에 대해 제안으로써 받아들이라고 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국무회의의 결과는 유장관의 사과로 마무리되었음이 보도되었음은 자명하다.
유시민이 행자부장관에게 질책을 받은 이유는 공략의 순서를 국민연금을 한 이후 공무원/군인연금으로 가야되는것이 통치철학인데 그에 반하여 행동하는 것이 적절치 못함 과 보건복지부장관인 유시민 장관의 부적절한 언론에 대한 의견표명에 대한 지적이고, 개혁에 대해 자신이 해야할 일외에 다른 연금개혁에 대한 언론의 언급에 대하여 행자부에서 해야하는 일이라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으며 이는 유장관의 행위는 시스템을 강조하는 노무현대통령의 통치철학에 부합하지 않음으로 봐야할 것 같다. 유장관은 대통령의 통치철학을 모르는데 어떻게 유장관이 연금개혁에 있어서 공무원연금/군인연금에 대한 기획의 주체인지 저는 도무지 알 길이 없다. 순서를 지켜라라는 것이 통치철학이었는데 유장관은 동시에 이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발언을 언론을 통해 흘렸다. 결코 참여정부에 덕이 안되는 것이고 이유는 정부부처내의 이견이 있음을 보이는 것으로 인함이다. 월권으로 보는 것이 맞다.
빠라고 보는 근거는 유시민의 잘한 점도 있음을 쓴 것외에 아무것도 없는데 특정 정치인의 공과 과는 누구나 있다. 과를 지적하면 유빠가 아니며 공을 지적하면 유빠라는 논리는 이해하기 어렵다.
추천게시판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