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게시판
글 수 20,959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13650.html
Tweet
조계종의 주지급 승려 10여명이 지난달 28일 밤 10시께부터 다음날 아침 7시께까지 충남의 한 불교 연수원에서 밤새 술판을 벌이고 있다. 김봉규 선임기자 bong9@hani.co.kr
조계종의 주지급 승려들이 일반인에게도 개방돼 있는 불교 연수원에서 밤새 ‘술판’을 벌였다. 승가대 동기들로 알려진 10여명의 승려들은 지난달 28일 밤 충남의 한 불교 연수원 레크리에이션룸에서 다음날 아침 7시께까지 큰 소리로 노래를 부르며 술을 마셨다. 조계종 총무원이 2009년 ‘불교식 수행’의 대중화를 목표로 설립한 이 연수원은 불교 관련 기관 외에도 정부·기업·학교 등 100여개 기관들이 연수 장소로 이용하고 있다. 승려들의 노랫소리는 일반인 이용자들이 묵고 있는 인근 숙소에까지 들릴 정도로 컸다. 이 연수원에선 일반인 이용자들에게는 구내에서 술을 마시지 말 것을 권유하고 있다. 승려들이 술을 마신 레크리에이션룸은 30인석 규모로 노래방 시설이 갖춰져 있다. 술자리가 끝난 레크리에이션룸에는 승려들이 마시고 난 1박스 분량의 소주병과 3박스 분량의 맥주캔, 먹다 남은 문어 숙회와 과일·오징어포 따위의 안주가 남아 있었다. 불교에선 불교도이면 모두가 지켜야 하는 기본 생활 규범인 ‘오계’에서 ‘술을 마시지 말라’고 규정하고 있다. 승려들 중에는 3선의 조계종 중앙종회 의원도 있었다. 아산의 한 사찰 주지인 이 승려는 지난 10월 실시된 조계종 총무원장 선거에서 재선에 나선 자승 스님 캠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맡기도 했다. 이 승려는 <한겨레>와의 전화 통화에서 “20년 만에 도반들이 모여 소식을 나누는 자리였다. 종단 소유 시설이라 편하게 생각했던 것 같다. 죄송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조계종의 한 승려는 “승려로서 말이 안 되는 행동을 했다. 특히 외부 사람들에게는 금주를 권하면서 자기들은 마셨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종단에서 철저히 진상을 조사한 뒤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불교시민단체 관계자도 “있어서는 안 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조계종의 주지급 승려들이 일반인에게도 개방돼 있는 불교 연수원에서 밤새 ‘술판’을 벌였다. 승가대 동기들로 알려진 10여명의 승려들은 지난달 28일 밤 충남의 한 불교 연수원 레크리에이션룸에서 다음날 아침 7시께까지 큰 소리로 노래를 부르며 술을 마셨다. 조계종 총무원이 2009년 ‘불교식 수행’의 대중화를 목표로 설립한 이 연수원은 불교 관련 기관 외에도 정부·기업·학교 등 100여개 기관들이 연수 장소로 이용하고 있다. 승려들의 노랫소리는 일반인 이용자들이 묵고 있는 인근 숙소에까지 들릴 정도로 컸다. 이 연수원에선 일반인 이용자들에게는 구내에서 술을 마시지 말 것을 권유하고 있다. 승려들이 술을 마신 레크리에이션룸은 30인석 규모로 노래방 시설이 갖춰져 있다. 술자리가 끝난 레크리에이션룸에는 승려들이 마시고 난 1박스 분량의 소주병과 3박스 분량의 맥주캔, 먹다 남은 문어 숙회와 과일·오징어포 따위의 안주가 남아 있었다. 불교에선 불교도이면 모두가 지켜야 하는 기본 생활 규범인 ‘오계’에서 ‘술을 마시지 말라’고 규정하고 있다. 승려들 중에는 3선의 조계종 중앙종회 의원도 있었다. 아산의 한 사찰 주지인 이 승려는 지난 10월 실시된 조계종 총무원장 선거에서 재선에 나선 자승 스님 캠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맡기도 했다. 이 승려는 <한겨레>와의 전화 통화에서 “20년 만에 도반들이 모여 소식을 나누는 자리였다. 종단 소유 시설이라 편하게 생각했던 것 같다. 죄송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조계종의 한 승려는 “승려로서 말이 안 되는 행동을 했다. 특히 외부 사람들에게는 금주를 권하면서 자기들은 마셨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종단에서 철저히 진상을 조사한 뒤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불교시민단체 관계자도 “있어서는 안 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仲尼再生 " 夜 의 走筆 " 취임사
저를 아크로 주필로 추천하시는 회원여러분의 글을 읽고, 오늘 본인은 본인의 향후 거취를 놓고 깊이 망설이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프루스트의 '가지 않은 길'을 끝없이 되뇌며, 다수 회원의 요청대로 아크로 "밤의 주필" 직을 기꺼이 수락하기로 결심했던 것입니다. 내 일신의 안녕 만을 위한다면 봉급 한 푼 못 받는 이 명예직을 수락할 수 없었겠지만, 이미 공인 아닌 공인이 된 몸으로서 이 위기의 시대에 역사가 제 어깨에 지운 이 짐을 떠맡기로, 본인은 이 아름다운 밤 위대한 결단을 내렸던 것입니다.
2013.12.03 23:23:32
이게 노무현 정부에서 120억 지원해서 지은 연수원입니다
금년도 매출 20억 수익을 예상한다던데
그런데 속세의 인연을 끊고 풀가한 출가자들이 동창회하고 문중 만들어서 패거리짓고 하는 것 보면 인간이라는 것이 뛰어봤자
부처님 손바닥 안이라는 말을 벗어나기 어렵습니다
2013.12.03 23:27:52
이명박때 장로라는 점을 악용하여 정부의 종교편향시비로 불교가 엄청나게 많은 예산을 삥뜯었습니다
템플스테이예산 120억에서 200억으로
그리고 국제 선센타 400억짜리 짓는데 땅만 제공하고 정부에서 200억
구인사가 단양에 100억짜리 선센타
참여정부때 부여 백제역사재현단지에 200억짜리 궁사짓고 조계종 위탁운영
원불교는 400억짜리 지을려다가 익산 기독교계의 반발로 무산
그외에 조계종 청사인 불교 역사문화 박물관 이것도 정부예산 수백억 들여서 박물관은 지하 하나만 사용하고 나머지는 총무원 청사로
국제 선센타도 공연장 대관 회의실 대관하고 나머지는 사찰로 운영
실제 국제 선을 보급하는 기능이나 역할은 10%나 될까
2013.12.03 23:33:46
중요한 포인트는 아니지만,
오계중 "술 마시지 말라"라는 건 구마라습의 오역입니다. "취하지 말라"가 맞죠. 즉, 원시 불교에 나와 있는 계율에 의하면, 술을 마셔도 괜찮습니다. 다만, 취하지만 않으면 됩니다.
조계종 승려 모두, "술 마시지 말라"는 계율을 받을 것이니까 계율을 어긴 건 맞죠. 하지만, 술 마시는 것 자체는, 스님 스스로가 생각할 때 취하지만 않고, 술에 중독되지만 않으면 괜찮다 싶으면 저는 문제제기할 생각은 없습니다.
단, 노래를 불렀다는 것에 저는 주목합니다. 스님들은 노래 부르면 안 되거든요. 세계 어느 주요 불교 전통에서도 노래는 부르면 안 됩니다. 그건, 이유 막론하고 비난받을만 합니다.
2013.12.04 11:09:10
이 사건이 기사가 된 것은 승려들이 술을 먹었다는 것보다 밤새 술먹고 고성방가하여 다른 투숙객들에게 민폐를 끼쳤다는 것이지요
승려들이 술 먹었다는 것이 내부적으로는 몰라도 무슨 기사거리가 되겠습니까
그런데 한겨레가 단독보도를 했는데 그때 그 연수원에 기자들이 있었던 모양입니다
처음에 시끄러우니 자제해 달라고 했는데 아침 7시까지 퍼 마셨다는
그리고 연수원장이 최근 임명된 바로 승가대 12기 출신이라는
동창회겸 축하겸 모였는데 너무 심하게 놀아버린 것이 사단이고 그런데 이 12기가 과거에도 전력이 좀 화려하다는군요
비구니 스님들까지 기어있었다니 ㅎㅎㅎㅎ
그런데 왜 노래는 못하게 하나요
가톨릭은 금주 금연이 없습니다
신부는 물론 신자들도
다만 수사나 수녀는 금주 금연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슴
개신교도 미국이나 유럽의 보수주의나 근본주의 계통은 금연 금주를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상관 안한다는
우리나라는 선교사들이 근본주의 출신들이 들어온데다 당시 한국 사회에 담배와 음주로 인한 폐혜가 너무 심해서 금주 금연을 교리화하여 지키는데 지금 신자들의 금주는 거의 무너졌다고 봐야하고 진보적인 목회자들은 상당수가 음주를 한다는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