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로 편집실 - 아크로 주요 논쟁 Archive, 좋은 글 다시 보기
저는 사실 차칸노르님이나 흐르는강물님의 입장에 좀더 동조하는 편입니다. 특별한 논거라기보다 막연하나마 제가 살아온 경험 또는 나름대로 정리해온 인식의 기본틀을 기본으로 하는 생각입니다.
애초에 차칸노르 님이 사용하신 '국민성'이란 개념이 과연 엄밀하게 과학적으로 성립할 수 있는 개념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토론이 국민성 개념 자체를 놓고 마치 학문적 개념 범주를 논하는 방식으로 가는 것은 좀 위험하다고 봅니다. 차칸노르 님이 하고자 했던 논의의 카테고리를 따라가주는 게 건강한 토론을 위해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그 범주란 것은, 단순히 '문화'란 말로는 규정하기 어려운 공동체 집단의 공통된 사고방식, 행동특성, 가치관 등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게 결국 문화 아니냐고 하실지도 모르지만 저는 문화보다는 좀더 깊은 차원까지 내려가는, 어떤 집단적 무의식이라고 표현할 수 있는 성향이 존재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런 걸 국민성이라고 부를 수도 있지 않을까 본다는 겁니다. 물론 막연한 개념이긴 합니다만...
문화란 것은 어떤 형태로건, 설혹 그것이 무형문화재 같은 것이라 할지라도 사람들이 비교적 분명하게,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실체라고 봅니다. 건축이나 미술 등 외에도 문학이랄지 음악 풍습 예술 등이 모두 여기에 해당하겠지요. 하지만 그러한 건축이나 미술, 문학, 예술, 풍습 등을 형성한 어떤 공통적인 무의식이랄까, 정신적/정서적 메카니즘은 그렇게 간단하게 표현해내기는 어렵다고 봅니다.
아는 게 짧아서 적절한 예를 들기가 어렵습니다만, 가령 한일 양국민을 비교하는 표현에 이런 게 있더군요.
'한국 사람이 처음 일본에 가보면 두 나라가 너무나 비슷한 것에 놀란다. 하지만 일본에서 오래 살면 살수록 두 나라가 너무나 완전히 다른 나라라는 사실에 더욱 놀란다.'
물론 최근의 토론에서도 이런 인상비평식 논거에 대해서는 많은 비판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 대해서 정밀하게 설계된 조사결과나 연구자료가 아직 충분치 않다면 이런 식의 인상비평이나 견문담도 당분간 1차자료로서 나름 의미를 가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한일 양국의 겉으로 매우 비슷하게 보이는 측면이 저로서는 양국의 '문화'라고 규정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사실 한일 양국이 오래 전부터 다양한 문화적 교류를 해왔다는 사실은 누구나 인정합니다. 그런 점에서 양국의 문화에 비슷한 점이 많은 것은 필연적 귀결일 겁니다. 하지만 그 문화를 구성하는 보다 근원적인 정서적 뿌리나 성향 등으로 파고 들어가면 그렇게 쉽게 양국이 '비슷하다'는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워진다는 겁니다. 오히려 그 반대의 결론이 나오기 쉽다는 거죠. 바로 이런 차이를 굳이 표현하자면 '국민성' 또는 그것과 비슷한 개념으로 부를 수 있지 않을까 그렇게 본댜는 겁니다.
이런 문제는 한일 두 나라뿐만 아니라 한중일 세 나라로 범위를 확대해도 비슷하지 않을까요? 세 나라는 동아시아에서 유교문화 등을 주고받는 관계였지만 그 정서적 바탕을 파고들어갈수록 차이점도 무척 많이 발견되는 나라들인 것 같습니다.
얘기가 길어졌습니다만, 제가 주장하는 것은 간단합니다. 어떤 현상이 존재한다면 그 현상에 붙이는 이름이 무엇인가를 따지기 전에 객관적인 실체로서 그것의 존재를 인정하고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규명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지 않은가 하는 점입니다. 저는 한중일 세 나라에 단순한 문화적 차이를 넘어선 보다 근원적인 기질/성향 등 무의식적인 차이가 존재한다고 보고 아직 그것을 표현할 적당한 과학적 개념이 없다면 당분간 '민족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해도 괜찮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물론 이것이 어떤 유전적 우열을 따지는 등 인종적인 시각으로 연결되는 것에는 반대합니다. 무엇보다도 인종주의적 우열을 따지는 것은 이미 과학적으로 그 허구성이 입증됐다고 알기 때문입니다.
덧붙여 이 문제와 관련해서 '국민성의 차이를 인정하면 그 연장선에서 영남패권이나 호남차별도 정당화된다'는 논리도 등장하던데, 저는 이런 논리야말로 위험하다고 봅니다.
저런 논리를 그대로 인정하면 '영남이나 호남이나 다르지 않기 때문에 차별은 안된다'는 논리가 자연스럽게 도출됩니다. 자, 어떤 얘기가 연상되십니까? 전에 이 게시판에서 당당하게 '호남도 결국 신라 핏줄이니까 제발 좀 살려주세요'라고 주장해야 한다던 어떤 허접쓰레기의 논리로 귀결됩니다. 만일 호남과 영남이 다르면 당연히 호남은 탄압하고 차별해도 된다는 겁니까?
아무리 국민성의 개념을 부인해도 영/호남의 차이는 얼마든지 찾아낼 수 있습니다. 그런 차이는 몇백 몇천 몇만 가지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당장 사투리가 다르고 풍습도 상당히 다르죠. 정치적 선택은 말할 것도 없구요. 이 아크로에서도 '호남 사투리가 문제가 있고 영남의 사투리는 듣기가 좋아서...' 이런 분이 계셨지요? 그 분 발언의 뒷부분에 생략된 표현이 그겁니다. '그래서 호남차별은 좀 불가피한 점이 있어...' 이거죠.
저런 차이를 근거로 호남을 탄압할 때 어떻게 방어해야 합니까? 저런 차이는 민족성의 차이가 아니니까 탄압의 근거가 될 수 없다고 할 겁니까? 애초에 국민성의 개념을 부인하면서 '다르지 않으니까 차별하면 안된다'는 논리를 사용했기 때문에 불가능합니다. 저 논리는 곧바로 '다르면 차별해도 된다'는 논리의 동전의 양면이니까요. 꼭 국민성의 차이만이 차별의 근거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다르면 차별해도 된다'는 사고방식이에요. 저기서 주어 즉 무엇이 다르냐... 이것은 그냥 편한대로 만들어 넣으면 되는 겁니다.
우리가 주장해야 하는 것은 '다름은 차별과 탄압의 근거가 될 수 없다'는 논리이지 '다르지 않으니까 차별하지 말라'가 아닙니다.
그리고, 종교의 유무가 내세적인 가치관 및 성향과 연결된다는 논리를 펼치는 분도 계시던데, 이것도 말이 안 된다고 봅니다. 그 주장인즉, 북유럽의 종교적 성향이 약하고 남유럽이 더 강한데 어떻게 해서 북유럽이 내세적이고 남유럽이 더 현세 지향적이라고 할 수 있느냐 하는 논리더군요.
종교적 성향과 종교의 유무는 완전히 다른 겁니다. 이 점을 헷갈리기 때문에 나오는 착각이라고 봅니다. 간단히 말해서 우리나라가 세계적으로 종교적 성향(단순히 신자 수가 많다는 점에서) 강하다고 말합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한국 사람들이 내세적인 가치관이 강하다고는 그 누구도 인정하지 않을 겁니다. 자신의 종교적 선택을 통해서 어떤 가치관을 얻으려고 하는지가 중요하지 단순히 신자로 등록했다고 해서 내세적인 가치관을 가졌다고 말하는 것은 심한 착각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현세에서 잘먹고 잘살기 위한 수단으로 종교를 선택하는 경우가 아마 99%쯤 될 거라고 봅니다. 아마 그 이상이었으면 이상이었지 그 이하는 아닐 겁니다. 그래서 유불선 나아가 기독교도 한국에 들어오면 결국 샤머니즘의 변형에 불과하게 된다고 다들 그러는 것 아닙니까?
한 가지 덧붙이자면 저는 영남과 호남의 차이도 굳이 감출 필요 없이 당당하게 거론하는 게 좋다고 봅니다. 내가 보기에는 두 지방이 기질이란 점에서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흔히 '종특'이라고 부르는 개념이 꼭 억지만은 아니라는 겁니다. 이런 얘길 한다고 해서 제가 호남을 미화하기 위해 영남을 헐뜯는 거라고 생각하지는 말아주십시오. 저는 영남도 강점과 약점이 있고 호남도 마찬가지라고 봅니다. 다만 양자가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고 봅니다.
어느 분이 '호남이야말로 한국 속의 한국'이라는 말씀을 하시더군요. 좀 많이 공감했습니다. 단적으로 말해서 영남 등이 호남을 향해서 퍼붓는 비난과 혐오, 비하의 핵심 내용들이 옛날(또는 지금도) 일본 사람들이 한국사람들을 욕하던 내용과 판박이라는 사실만 봐도 이 사실을 실감합니다. 믿을 수 없고, 뒷통수 잘치고, 지저분하고, 시끄럽고, 무례하고 등등... Honam, the Heart of Korea('s vulgar nature)라고나 할까요? ㅎㅎㅎ
이런 말하면 또 호남근본주의자라는 비판도 나올 것이고 반대로 어떤 분은 또 호남을 비하한다고 흥분하실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이 문제를 좀더 공개해서 탁 깨놓고 얘기할 시점이 되지 않았나 생각해봅니다.
차칸노르 님의 포스팅을 보면서 그런 생각을 좀 해봤습니다.
1. 백인, 2. 유색인, 3. 한국인
거기서 한국인 학생에 대한 최고의 칭찬이
"아무개는 한국인 학생 같지가 않구나!" 입니다.
무기상 아드난 카쇼기가 남긴 촌평이 있습니다.
"한국인은 친구로는 좋지만, 비즈니스 파트너로는 안 좋다."
Pew 연구 센터에서 미국내 아시안들에 대한 대대적 연구를 하였는데,
한국인이 제 아시안들중 가계 소득 꼴찌였습니다. 학력 수준은 인도와 맞먹는데 말이지요.
가능한 설명은 "한국인은 현금 장사를 많이 한다. 그래서 IRS에 신고한 가계 소득 믿을 수 없다." 입니다.
한국인은 자신을 "전형적인 미국인"으로 보는 비율도 가장 낮았지요. 친구도 한국인들밖에 없고, 다른 그룹들과 잘 못 지내고, 스스로 차별당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몇 몇 그래프를 예시합니다.
http://www.pewsocialtrends.org/2012/06/19/the-rise-of-asian-americans/





링크에 들어가 보면 위의 그래프말고도, 지지 정당이나 낙태나 동성애등 미국에서 중요한 논쟁점에 대한 제 아시안들의 자료들을 접할 수 있습니다.
해외에 유학나간 한국 학생이라면 아마 호남 사람들이 평균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을 것 같은데, 다른 지방 사람들도 외국인들에게 '너는 어째 호남스럽구나'라는 인식을 많이 주나 봅니다.
그런데, 전에 인터넷에서 보니 어떤 인간이 '일본 등 해외에서도 욕 쳐먹는 인간들은 모두 호남 출신이고 한국 사람 망신은 호남 것들이 다 시킨다'고 그래놨더군요. 꽤 나이가 들어보이는 느낌이던데, 혹시 자연님도 아시는 분 아닌가요?
아드난 카쇼기는 청와대 경호실장 박종규로부터 뒤통수 맞고서 그런 촌평을 내놓았는데, 박종규 고향은 창원입니다.
외국인이 볼 때 한국 내에서의 지역성이란 "도토리 키재기"에 불과할 겁니다. 구별하기 힘들지요.
다만 (지금은 많이 희석되었지만) 미국에 유학갔다가 귀국하느냐 마느냐에 대한 속설은 있었습니다.
1. 남자는 귀국 찬성, 여자는 귀국 반대... 한국이 가부장적 권위주의에 찌든 "재미난 지옥"으로 불리고 있음과 관련
2. 차자는 귀국 경향, 장자는 재미 경향... 합가, 봉제사 문제
3. 경상도사람은 귀국 경향, 전라도사람은 재미 경향... 영남패권주의하에서 출세 가능성 여부
위 기사에서 뭐가 오류이어서 "병신같은 기자" 소리를 들어야 하는지 잘 모르겠군요. 저 사람 지금 "유학생" 이야기 하고 있는 건데, J2나 F2등 2자 붙은 비이민 비자를 상정한다면, 뭐 글눈이 어둡구나 하고 이해해 드릴 수밖에 없겠습니다.
시쳇말에 "국어를 배웠으면 주제를 파악하고, 산수를 배웠으면 분수를 알라."는 말이 있지요.

http://sostrinimmigration.com/Services/Green%20Cards
In order to qualify in the EB-11 category as a person of extraordinary ability, you must demonstrate "sustained national or international acclaim and recognition for achievements" and that you have risen to the top of your field. This is a high legal standard, and we will carefully evaluate your credentials before proceeding with the case.
Sustained acclaim can be demonstrated through either evidence of a one-time achievement (a major, internationally recognized award such as the Nobel Prize or an Academy Award) or through evidence of at least three (3) of the following regulatory criteria:
“유대인에서 일본인, 다음에 한국인 그리고 중국인”
미국 필립스 엑시터 아카데미에서 만난 김미라씨는 대뜸 이게 무슨 의미인 것 같으냐고 물었다. 고개를 갸웃거리자 지금까지 미국의 명문 사립학교의 치맛바람을 일으킨 민족이나 국가를 상징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달리 말하면 20세기 이후 미국의 명문 사립학교를 먹여살린 민족이나 국가라는 것이다.
미국의 명문 사립학교는 1960년대까지 유대인들의 치맛바람으로 미국 내 소수민족 가운데 입학생이 가장 많았다고 한다. 명문 학교 어디를 가도 유대인 학생들이 가득했고 치맛바람을 일으키는 학부모들로 북적였다. 유대인에 이어 일본이 20여 년 전부터 미국 명문 사립학교의 치맛바람을 주도했다. 1990년대부터는 한국에서 미국 조기 유학 바람이 불기 시작해 지금까지 한국 조기 유학생과 학부모들로 북적인다. 2000년 이후 중국이 가세하기 시작하면서 앞으로는 중국 학부모들이 미국 내 조기 유학을 주도하는 국가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뉴욕 등 학교 곳곳에서 한국 유학생이나 학부모들보다 중국 유학생이나 학부모들이 이미 그 수를 능가하고 있다고 한다. 되새겨볼수록 일리가 있는 말이었다.
미국 사립학교의 극성 부모들이 유대인-일본인-한국인-중국인 순으로 바뀌어가는 것은 달리 말하자면 세계사를 주도하고 있는 핵심 인재들이 이들 민족에서 나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미국 조기 유학의 국가별 추이를 보면 다름 아닌 세계 경제를 주도하는 국가의 성장 엔진을 보여준다고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기 유학은 또 다른 의미로 재평가할 수 있지 않을까.
그게 좋건 나쁘건 한국사회는 문화적으로 동질성이 높은 사회입니다.
만약 차이가 크게 느껴진다면, 오히려 동질성이 크기 때문에 자잘한 차이가 더 두드러져 보이는 걸 겁니다. 말씀하신 일본과 한국 간의 차이도 그런데요, 일본과 한국은 서구사회에 비하며 서로 비슷한 구석이 꽤 많죠. 서구나 아프리카, 중동 이런 이질적인 문화권에 비하면 사실 일본과 한국은 그 놈이 그 놈처럼 구분도 안될만큼 닮았어요. 비슷한 구석이 많기 때문에, 사소하고 자잘한 차이가 오히려 더 크게 느껴지는 거라고 전 봅니다.
또..., 굳이 기질적 차이를 따진다면 한국에선 세대별, 성별 차이가 지역별 차이보다 훨씬 크고 유의미할 겁니다.
<정치>를 제외한, 일상생활에 관련된 <가치관>, <문화적 취향>이 지역별로 나눌 때 유의미하게 갈리는가 생각해보면 간단하죠 (쉬운 예를 들어, 뽕짝에 대해 호불호가 그렇습니다).
세대별, 성별로는 이게 갈릴 수 있습니다만, 지역은 이렇다 할 변수가 못 됩니다.
(덧) 제 개인경험에 국한하자면, 한국인의 경우 기질 면에서 어떤 차이를 만들어낸다고 느껴졌던 건 연령, 성, 소득, 학력수준 정도였습니다. 이런저런 지역사람들 접해봤습니다만, 지역적 기질에 관한 이래저래 떠도는 '말'이 아니라, 실제 제 피부에 와닿을만큼 느낌이 뚜렷한 지역별 기질차를 본 적은 여지껏 한 번도 없습니다.
인류사를 통틀어보면 대부분의 경우 혈연으로 엮인 부족이나 민족 단위의 공동체를 구성하고, 공동체에 속하지 않는 타 집단을 말살해야할 적 또는 정복해야할 대상으로 여겼던 것 같습니다. 심지어는 사람으로 여기지 않고 동물의 한 종류로 인식하기도 했구요. 힘의 우열이 대등하거나, 공격하고 정복해봐야 얻는 이득이 작을때에 잠시 공존이 가능했을 뿐이죠.
따라서 오랜기간 <다름>이란 곧 "같은 공동체의 구성원이 아니다"라는 무시무시한 의미였고, 적대시하며 차별과 탄압을 해도 무방한 조건이었습니다. 인류가 <다름이 차별과 탄압의 근거가 될 수 없다> 라는 현대적 인식에 도달한 것은 불과 몇십년이 채 안되는 최근세이고, 그마저도 일부 선진국들에 국한된 일입니다. 상당한 수준에 이른 민주적 시민의식과 교양이 있어야만 도달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것이죠.
그래서 가령 미국의 흑인민권운동 역시 두가지 입장에서 진행된 것이 사실입니다. 첫번째가 <백인과 흑인은 피부색말고는 다르지않다. 그래서 차별하고 탄압하면 안된다> 였고, 두번째가 말씀하신 것처럼 <설령 백인과 흑인이 다르더라도 차별하고 탄압하면 안된다> 였습니다.
물론 두번째가 가장 올바르고 지향해야할 목표이지만, 첫번째 입장 역시 아직 유효성을 잃은 것은 아닌 듯 합니다. 아직 한국은 그 정도의 시민의식이나 교양이 보편적으로 자리잡은 사회같지는 않습니다. 그 정도 수준에 이르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다름을 어필하는 것이 자칫 차별해도 좋다는 신호로 여겨질 수 있지 않을까요?
그런데 저는 사실 두가지 입장이 반드시 서로 상반되고 충돌하는 것 같지는 않아요.
<모든 인류 사이에는 차별과 탄압을 해도 무방할 정도의 다름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그 안에서 조금씩 다를 뿐이다>
우선 찾아볼 수 있는 압도적인 환경의 차이라면 자본주의 공업화의 정도가 다를 것 같습니다. 이것은 영남이 <자본주의가 요구하는 인간형>에 좀 더 가깝고, 호남은 좀 더 멀 수 있다는 추측을 가능케합니다. (물론 한국사회에서 그런 인간형에 가장 가까운 사람들은 수도권에 사는 사람들이겠죠) 제 추측이 맞다면, 공업화로부터 비켜나있는 농촌지역의 영남인과 호남인은 사투리나 지지정당등을 제외하면 거의 차이를 찾아보기 어려울 것이라는 이야기도 되겠죠.
제가 겪어본 바 호남에서 살고 계시는 분들은 좀 더 자본주의적 인간형으로 바뀔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마땅히 사람 사이의 정이나 의리등은 당연히 칭송해야할 덕목이지만, 점점 자본주의 고도화로 치닫고 있는 한국사회에서는 핸디캡이나 손해일 수 있겠죠.
추천게시판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