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과학 게시판
컴퓨터를 만들 때 양자역학 이론도 응용된다고 한다. 양자역학에 대해서는 대중서 말고는 읽어본 적이 없는 나로서는 정확히 어떤 식으로 응용되는지 모른다. 어쨌든 양자역학적 우연이 컴퓨터의 작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무언가 조치를 취할 것이다. 예컨대 AND 회로가 항상 AND 회로답게 작동하도록 보장해야 할 것이다. AND 회로가 가끔 OR 회로처럼 작동한다면 그 컴퓨터는 가끔 미친 듯한 행동을 보일 지도 모른다.
그리하여 양자역학적 우연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컴퓨터는 늘 100% 결정론적으로 작동한다. 컴퓨터는 시키는 일을 100% 그대로 한다. 물론 고장 날 때에는 제외하고.
기본 회로의 수준에서 볼 때 AND 회로는 늘 AND 회로답게 작동한다. CPU의 수준에서 볼 때 ADD(더하기) 명령은 늘 정확하게 더하기를 한다. 2에 3을 더하라고 명령을 내리면 늘 5가 된다. 프로그래밍 언어의 수준에서 볼 때 애매한 명령어는 없다. 한국어 같은 인간의 자연어에 애매한 구석이 많은 것과는 다르다. 또한 조금 틀리게 말해도 그냥 넘어가는 일상 대화와는 달리 프로그래밍을 할 때 문법에 조금이라도 어긋나면 컴파일 에러가 나서 프로그램을 작동할 수 없다.
적어도 현재 널리 쓰이는 컴퓨터는 시키는 일을 100% 정확하게 한 치의 틀림이 없이 하도록 설계되었다.
심지어 난수 발생기도 그렇다.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면 아무런 규칙이 없이 무작위로 숫자가 튀어나오는 것 같지만 난수 발생기를 설계한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복잡하기는 하지만 100% 정해진 규칙대로 숫자나 나온다. 그래서 엄밀히 말하면 진짜 난수 발생기가 아니라 유사 난수 발생기다.
양자역학적 우연을 응용해서 진짜 난수 발생기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현대의 기술은 너무나 발전해서 양자역학적 우연을 “증폭”해서 아무도 예측할 수 없는 진짜 난수 발생기를 만드는 것이 충분히 가능해 보인다. 내가 양자역학이나 현재의 기술 발전 수준을 잘 몰라서 이런 허황된 생각을 하는 것일까?
유사 난수 발생기는 컴퓨터에서 아주 요긴하게 쓰일 때가 많다. 그렇다면 진짜 난수 발생기가 쓸모가 있을까? 유사 난수 발생기로는 해결이 안 되고 진짜 난수 발생기로만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있을까? 암호화에 쓰일 수도 있다는 느낌이 들기는 하지만 잘 모르겠다.
어쩌면 진짜 난수 발생기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엄청난 비용을 들여서 투자할 만큼 쓸모가 있는 것은 아닐지도 모른다. 그래서 축구장 만한 요트를 사서 자랑하고 다니는 허영심 많은 재벌의 자랑 거리 이외에는 쓸모가 없을지도 모른다.
물론 이미 누군가 이런 난수 발생기를 만들어서 쓰고 있는데 (또는 그냥 자랑만 하고 있는데) 나만 모르는 것일 수도 있다.
뇌의 경우는 어떨까? 내 짐작으로는 뇌세포 하나만 보더라도 양자역학의 기준으로 볼 때에는 충분히 거시적이어서 양자역학적 우연은 뇌의 작동에 사실상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할 것 같다.
이덕하
2013-09-10
이덕하님 개인은 괜찮을 지 몰라도, 아크로에 오는 사람들을 위해서는 신고를 통해 오마담님 좀 닥치게 해 주시는 것이 맞습니다. 이 게시판만 오면 불쾌해 질 정도니까요.
39님 망했다는 표현 함부로 사용하는 것 아닙니다 ㅎㅎㅎ
운영자로서 망하면 책임이 크잖아요
그런데 조회수나 댓글로 보면 그다지 망해 보이지는 않습니다.
뭐 저도 오마담님에게 모질게 당해보았습니다
그리고 한두번도 아니고 스토킹 수준으로 그러는것 지나친것 맞습니다.
다만 보니까 오마담님은 자신이 보기에 아니라고 생각하면 인정사정 없더군요
자기 확신이 너무 강하고 그런거지요
오마담님의 거친 스토킹과는 별개로 솔직이 이덕하님이 과학의 이름을 걸고 쓰는 글은 문제가 있습니다
그냥 에세이나 하고싶은 말이라면 오마담이나 다른 사람도 비난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런데 과학자 과학이렇게 내세우니까 시비가 붙는 것입니다.
뭐 그러나 저러나 이덕하님의 이런 글도 반론을 통해서 ( 허기는 지금까지 많이 반론했어도 달라지지 않았지만 ) 아니면 무시하고 넘어가는 것이 맞는데
오마담님은 저같이 멍청한 사람이 넘어갈까 봐서 걱정이 되어 저런 것이지요
즉 이덕하님이 과학아닌 것을 과학이라고 하는 주장에 잘 모르는 대중들이 넘어가는 것이 화가 나는 것이지요
오마담님의 종교에 대한 태도도 마찬가지고요
우선 이덕하 님이 항상 바쁘다고 하시는데 전 이덕하님의 개인사정을 몰라서 함부로 단정지은 것도 있습니다. 그건 미안합니다,
그런데 이덕하 님이야 자기 명성을 앞으로 쌓으려는 분 아닙니까?
정작 과학계에 종사하는 사람은 아무도 알아주지 않고, 기껏해야 까페에서 추종자를 조금 데리고 계신 분이
'몇 번은 응답해 드라겠다'고 말하는 것은 모양새가 좋지 않아보입니다.
요즘이야 글의 주제가 다양해져서 그건 좀 낫다고 생각하는데,
이덕하 님이 페미니즘이나 사ㅚ학의 주장을 제대로 알지도 못하고 엉터리 비판을 하신 걸 보면 참 허탈하ㅏㄴ 말이죠.
저런 엉터리 글 쓸 시간은 있으면서 간단한 질문 하나 대답을 못해주나? 싶은 의문이 절로 든다는 겁니다.
디즈레일리 /
“당신 글은 개판이다”라는 식의 말을 먼저 하는 사람에게 저는 모양새 좋게 말할 생각이 없습니다.
님도 “기껏해야 까페에서 추종자를 조금 데리고 계신 분”, “제대로 알지도 못하고 엉터리 비판을 하신 걸”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렇게 말해 놓고 제가 곱게 답해 주길 바라십니까?
제 글에 불만이 있으시면 내용을 비판하십시오. 정곡을 찌른 비판이라고 생각되면 인정할 것이고, 터무니 없는 비판이라고 생각되면 조롱하거나 무시할 겁니다.
그리고 제가 운영하는 카페의 회원들이 “덮어놓고 이덕하를 추종하는 사람들”인 것처러 이야기하시는데 그런 말 하시려면 제 카페에 가서 직접 말해 보십시오. 왜 제 카페의 회원들을 여기서 모욕합니까? 그 분들이 다 바보 같습니까? 그 분들이 다 생각 없이 이덕하 얼굴만 바라보는 사람들 같습니까?
이덕하/
님이 평소에 남의 글을 공격하는 방식이 '당신의 글은 개판이다'로 시작하는 것 아니던가요?
그리고 저는 이전에 이덕하님 글의 내용을 몇번이나 비판했습니다. 님이 시간없다고 도망치고 답변을 하지 않아서 그렇지.
님은 제가 단 비판 댓글에도 '수준이 떨어지네' 운운하지 않았나요? 그러면서 남이 자신의 글에 대해서 똑같은 태도를 취해주면 이렇게ㅡ방어적이 되나요?
이런 이중잣대가 어딨어요,
이덕하님은 좀 상습적이에요. 비판할 거 있으면 해보라고 해놓고, 막상 비판하면 상대더러 제대로 알지도 못하느니, 대답할 가치가 없다느니 하는 것 말이지요.
그리고 난 다음 아이디가 없어서 아이디 파고 당신 까페에 가서까지 당신이나 회원들을 공격하고 싶은 마음은 없지만, 솔직히 인정할 건 인정합시다.
거기 회원 중 이덕하님의 글을 근본적으로 비판하는 사람이 몇이나 됩니까? 열에 하나는 됩니까?
그냥 이덕하님이 얘기하는 거 듣고 맞장구치고 사소한 거나 하나씩 덧붙이는 분들 아니에요.
문화/예술/과학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