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게시판
The Drone That Killed My Grandson (By Nasser Al-Awlaki)
내 손자를 살해한 드론 (나세르 알-왈라키)
* 출처: <뉴욕 타임즈> 여론란 / 2013년 7월 17일
http://www.nytimes.com/2013/07/18/opinion/the-drone-that-killed-my-grandson.html
-----
SANA, Yemen — I LEARNED that my 16-year-old grandson, Abdulrahman — a
United States citizen — had been killed by an American drone strike from news reports the morning after he died.
사나, 예멘 - 나는 그가 죽은 다음날 아침 뉴스 보도를 통해 내 16세 손자, 압둘라만 - 한 명의 미국 시민 - 이 미국의 드론 공습에 의해 살해되었다는 사실을 알았다.
The missile killed him, his teenage cousin and at least five other civilians on Oct. 14, 2011, while the boys were eating dinner at an open-air restaurant in southern Yemen.
2011년 10월 14일 미사일이 그, 그의 십대 사촌 그리고 적어도 다섯 명의 다른 시민들을 살해했다. 소년들은 남부 예멘의 한 야외 식당에서 저녁을 먹고 있던 중이었다.
I visited the site later, once I was able to bear the pain of seeing where he sat in his final moments. Local residents told me his body was blown to pieces. They showed me the grave where they buried his remains. I stood over it, asking why my grandchild was dead.
나는 최후를 맞이한 순간에 그가 앉아있던 곳을 보는 고통을 견딜 수 있을 만큼 시간이 흐른 뒤 그곳을 방문했다. 지역 주민들은 내게 그의 시체가 산산 조각났다고 얘기해 주었다. 그들은 내게 그의 유해를 매장한 무덤을 보여주었다. 나는 내 손자가 왜 죽었을까라는 물음을 던지며 무덤가에 서있었다.
Nearly two years later, I still have no answers.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has refused to explain why Abdulrahman was killed. It was not until May of this year that the Obama administration, in a supposed effort to be more transparent, publicly acknowledged what the world already knew — that it was responsible for his death.
거의 이년이 지났지만 나는 아직도 답을 얻지 못했다. 미국 정부는 왜 압둘라만이 살해되었는지 설명하기를 거부했다. 오바마 정부는 올해 오월이 되어서야 더 투명한 정부가 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며 세계가 이미 알았던 것 - 미국 정부가 그의 죽음에 책임 있다는 것 - 을 공개적으로 인정했다.
The attorney general, Eric H. Holder Jr., said only that Abdulrahman was not “specifically targeted,” raising more questions than he answered.
법무장관 에릭 H. 홀더 주니어는 “딱히 압둘라만이 표적”이었던 것은 아니라고만 말하며 의문 풀어주기보다는 의문을 증폭시켰다.
My grandson was killed by his own government. The Obama administration must answer for its actions and be held accountable. On Friday, I will petition a federal court in Washington to require the government to do just that.
내 손자는 그 자신의 정부에 의해 살해당했다. 오바마 정부는 그것의 행동들을 해명해야 하고 책임을 져야 한다. 금요일, 나는 워싱턴 연방법원에 정부가 즉각 그리 할 것을 요구하는 청원을 할 것이다.
Abdulrahman was born in Denver. He lived in America until he was 7, then came to live with me in Yemen. He was a typical teenager — he watched “The Simpsons,” listened to Snoop Dogg, read “Harry Potter” and had a Facebook page with many friends. He had a mop of curly hair, glasses like me and a wide, goofy smile.
압둘라만은 덴버에서 태어났다. 그는 7살까지 미국에서 살았고 그 후에는 나와 함께 예멘에서 살게 되었다. 그는 전형적인 십대였다 - 그는 <심슨 가족>을 시청했고 스눕 독[의 노래들]을 애청했으며 <해리 포터>를 탐독했고 친구들로 가득한 페이스북을 페이지를 갖고 있었다. 그는 곱슬머리였고 나처럼 안경을 썼으며 바보같이 싱글벙글거리곤 했다.
In 2010, the Obama administration put Abdulrahman’s father, my son Anwar, on C.I.A. and Pentagon “kill lists” of suspected terrorists targeted for death. A drone took his life on Sept. 30, 2011.
2010년, 오바마 정부는 압둘라만의 아버지, 즉 나의 아들 안와르를 C.I.A와 펜타곤이 죽여 없애야 할 테러 혐의자들 명단에 올렸다. 2011년 9월 30일 드론이 그의 목숨을 앗아갔다.
The government repeatedly made accusations of terrorism against Anwar — who was also an American citizen — but never charged him with a crime. No court ever reviewed the government’s claims nor was any evidence of criminal wrongdoing ever presented to a court. He did not deserve to be deprived of his constitutional rights as an American citizen and killed.
정부는 역시 미국 시민이었던 안와르를 거듭 테러리스트라고 비난했지만 결코 그를 범죄 혐의로 기소하지는 않았다. 지금껏 어떤 법정도 정부의 주장들을 조사하지 않았으며 어떤 범죄 행위 증거도 법정에 제출되지 않았다. 그는 한 명의 미국시민으로서의 그의 헌법상의 권리들을 박탈당한 채 살해당해 마땅하지 않았다.
Early one morning in September 2011, Abdulrahman set out from our home in Sana by himself. He went to look for his father, whom he hadn’t seen for years. He left a note for his mother explaining that he missed his father and wanted to find him, and asking her to forgive him for leaving without permission.
2011년 9월 어느 날 아침 일찍, 압둘라만은 혼자서 사나에 있는 우리 집을 출발했다. 그는 여러 해 동안 못 본 아버지를 찾아 가고 있었다. 그는 아버지가 보고 싶었고 그를 찾고 싶었다는, 그리고 허락 없이 떠나는 것을 용서해 달라는 내용의 짧은 편지를 어머니에게 남겼다.
A couple of days after Abdulrahman left, we were relieved to receive word that he was safe and with cousins in southern Yemen, where our family is from. Days later, his father was targeted and killed by American drones in a northern province, hundreds of miles away. After Anwar died, Abdulrahman called us and said he was going to return home.
압둘라만이 떠난 지 이틀 후, 우리는 그가 안전하며 사촌들과 함께 우리 가족의 출신지인 남부 예멘에 있다는 소식을 듣고 안도했다. 며칠 후, 그의 아버지는 수백 마일 떨어진 한 북부 지역에서 미국 드론들에 의해 표적 살해되었다. 안와르가 죽은 후, 압둘라만은 우리에게 전화를 해 집으로 돌아오겠다고 말했다.
That was the last time I heard his voice. He was killed just two weeks after his father.
그것이 내가 들은 그의 마지막 목소리였다. 그는 그의 아버지가 살해당한지 이주 후에 살해당했다.
A country that believes it does not even need to answer for killing its own is not the America I once knew. From 1966 to 1977, I fulfilled a childhood dream and studied in the United States as a Fulbright scholar, earning my doctorate and then working as a researcher and assistant professor at universities in New Mexico, Nebraska and Minnesota.
그 자신의 국민을 살해한 것에 대해 답변할 필요조차 없다고 믿는 나라는 한때 내가 알았던 미국이 아니다. 1966년에서 1977년까지, 나는 유년기의 꿈을 성취해 풀브라이트 장학생으로 미국에서 공부했으며 박사 학위를 받은 후에는 뉴멕시코, 네브라스카 그리고 미네소타의 대학교들에서 연구원이자 조교수로 일했다.
I have fond memories of those years. When I first came to the United States as a student, my host family took me camping by the ocean and on road trips to places like Yosemite, Disneyland and New York — and it was wonderful.
나는 그 시절을 그리운 추억으로 간직하고 있다. 내가 처음 한 명의 학생으로서 미국에 왔을 때, 내가 방을 얻어 살았던 집의 주인 가족은 나를 바닷가 캠핑과 요세미테, 디즈니랜드 그리고 뉴욕 같은 곳들로의 여행에 데려갔다 - 굉장한 경험들이었다.
After returning to Yemen, I used my American education and skills to help my country, serving as Yemen’s minister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and establishing one of the country’s leading institutions of higher learning, Ibb University. Abdulrahman used to tell me he wanted to follow in my footsteps and go back to America to study. I can’t bear to think of those conversations now.
예멘으로 돌아온 후, 나는 예멘의 농수산부 장관으로서 봉직하고 그 나라의 선도적인 고등교육 기관들 중 하나인 입 대학교를 설립하면서 내가 미국에서 받고 익힌 교육과 기술을 조국에 보탬이 되도록 이용했다. 압둘라만은 내가 걸은 길을 따라 미국에 돌아가 공부하고 싶다고 내게 얘기하곤 했다. 나는 지금 차마 그 대화를 떠올릴 수 없다.
After Anwar was put on the government’s list, but before he was killed, the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and the Center for Constitutional Rights represented me in a lawsuit challenging the government’s claim that it could kill anyone it deemed an enemy of the state.
안와르가 정부의 명단에 올라 살해당하기 전 까지 미국 자유연맹과 입헌 권리 센터는 그것이 국가의 적이라고 판단하는 어는 누구든 살해할 수 있다는 정부의 주장에 맞서는 법률소송에서 나를 대변해 주었다.
The court dismissed the case, saying that I did not have standing to sue on my son’s behalf and that the government’s targeted killing program was outside the court’s jurisdiction anyway.
법원은 내가 내 아들을 대신해 고소할 자격을 갖고 있지 않으며 어땠든 간에 정부의 표적 살해 프로그램은 법원의 관할권 밖에 있다고 말하며 소송신청을 기각했다.
After the deaths of Abdulrahman and Anwar, I filed another lawsuit, seeking answers and accountability. The government has argued once again that its targeted killing program is beyond the reach of the courts. I find it hard to believe that this can be legal in a constitutional democracy based on a system of checks and balances.
압둘라만과 안와르의 죽음 후, 나는 답변과 책임을 추궁하면서 또 한 번 소송을 제기했다. 정부는 또 다시 그것의 표적 살해 프로그램은 법원의 관할 밖에 있다고 주장했다. 나는 견제와 균형의 체제에 토대한 입헌 민주주의에서 이것이 합법적일 수도 있다고는 상상도 할 수 없다.
The government has killed a 16-year-old American boy. Shouldn’t it at least have to explain why?
정부는 한 명의 16세 미국 소년을 살해했다. 적어도 왜 그랬는지 해명은 해주어야 하는 것 아닌가?
--
Nasser al-Awlaki, the founder of Ibb University and former president of Sana University, served as Yemen’s minister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from 1988 to 1990.
나세르 알-왈라키는 입 대학교의 창립자이자 사나 대학교의 전 총장이며 1988년에서 1990년까지 예멘의 농수산부 장관을 역임했다.
자연/이런 식의 댓글, 정말 불쾌하군요. 풀을 자를 때 뿌리까지 제거하라... 는 겁니까?
드론에 살해된 소년이 자기 아버지의 행위와 얼마나 연관되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저런 식으로 정식재판도 없이 정부가 사람 쏴죽이는 게 '후환을 없애는 개념' 정도로 이해될 수 있다는 게 경악스럽습니다.
제가 아크로에서 이런저런 토론도 하고 다투기도 했습니다만, 이렇게 잔인하고 야비한 댓글은 처음 보는 것 같습니다.
"그렇게 해야 한다"는 주장이 아니라 그냥 현상에 대한 지적이라는 변명은 하지 않을 것이라 믿습니다.
자연님/
자연님의 코멘트는 부적절합니다
설마 단순히 미국의 행동을 표현하는 문장은 아니겠지요
설령 그렇다하더라도 그렇게 남의 일보듯이 하는건 아닙니다
16살짜리가 폭탄에 맞아 죽었어요
그것도 미국에 의해 미국 시민권자가
아무런 혐의나 설명도 없고 보상도 받을 수 없고
이게 그냥 길가다가 고양이가 차에 로드킬 당했다고 말 하는 것처럼 말 할 수 있는 사건인가요
성경을 잘 인용하던데 말입니다
아래 말씀을 드립니다
로마서 12:15 즐거워하는 자들로 함께 즐거워하고 우는 자들로 함께 울라
신 27:19 객이나 고아나 과부의 송사를 억울케 하는 자는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 모든 백성은 아멘 할지니라
잠 18:5 악인을 두호하는 것과 재판할 때에 의인을 억울하게 하는 것이 선하지 아니하니라
애 3:36 사람의 송사를 억울케 하는 것은 다 주의 기쁘게 보시는 것이 아니로다
애 3:59 여호와여 나의 억울을 감찰하셨사오니 나를 위하여 신원하옵소서
말 3:5 내가 심판하러 너희에게 임할 것이라 술수하는 자에게와 간음하는 자에게와 거짓 맹세하는 자에게와 품군의 삯에 대하여 억울케 하며 과부와 고아를 압제하며 나그네를 억울케 하며 나를 경외치 아니하는 자들에게 속히 증거하리라 만군의 여호와가 말하였느니라
테러이후 부시정부에서 추진된 대 테러방지 대책이나 법률은 민주주의의 근간을 허물고 있고 국가 절대주의 ( 권력자 절대주의) 지요
벌써 법원이 관할 밖이라고 하는 것 보세요
그런데 본래 미국이 그런 국가였는데 911 이후에는 자국민들에게 조차 외국에서 하던 짓을 한다는 것이지요
과거 cia 가 했던 남미나 아프리카 등 외국에서 했던 암살 정권전복등 소련욕하기가 민망하지요
이번에도 무슨 권리로 예멘의 영토에 드론으로 공격을 하나요?
예멘 정부를 협박하고 테러분자 제거라는 명분으로 했는지 모르지만 그럴바에는 차라리 예멘 정부와 동행해서 체포하는 것이 맞지요
아마도 과거 안기부처럼 실적을 위한 예산을 지키기 위한,자신의 존재감을 과시하기 위한 그런 작전이었을 가능성이 높네요
살해된 사람의 아버지가 장관출신이라면 말이지요
둘중 하나겠지요
아버지가 정말 테러 집단 가입자라서 그 아들이 아버지 복수한다고 나설까봐서 미리 싹을 잘랐다
아버지도 혐의가 없고 그래서 아들이 미국시민권자라서 미국에 와서 떠들고 소송할까봐서 죽였다
후자일 가능성이 높은게 할아버지는 소송 자격이 없다고 한 걸 보면 말입니다.
어느경우든 말도 안되지요
미성년자를 미국이 어떻게 보호하고 미성년자 대상 범죄를 처벌하는지 알 것입니다
그런데 체포도 아니고 드론으로 살해를 하다니
오바마 역시 한국의 노무현인듯 합니다
솔직이 오바마 되고 대외정책에서 달라진게 있어야지요
그의 아버지가 알카에다라고 해서 아들이 죽어도 되는건 아니지요
더욱 미국 시민권자라면 법에 의해 처벌을 해야지요
성경 에스겔서18장에도 아비가 신포도를 먹었다해서 아들의 이가 시지 않다는 말이 있고 각 사람은 그의 죄로 인하여 죽는다고 되어있고 민주주의의 근간인 법치주의에 있어서도 개인의 책임을 가족에게까지 묻지 않는 법입니다.
더욱 미국은 그 아이에 대해 아무런 설명도 못하고 오바마는 결국 잘못을 시인하였습니다.
국제 질서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사회는 힘으로 돌아가는 것이 맞지만 인간사회이기에 반드시 힘이 정의가 되지도 최후의 승리자가 되지도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기에 부도덕하거나 불의한 일이 나중에라도 드러나서 심판을 받고 또 어떤 일은 실행이 저지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인류가 이만큼 온 것이고요
자연님
일정부분 힘이 정의라는 것이 사실이라도 당위를 인정하는 것은 다른 문제가 그것은 개인의 실존적인 선택의 문제인데 자연님은 결국 강자의 논리에 굴종하고 순응한다는 이야기로 들리는데 자연님이 자연님보다 더 강자에게 억울하게 힘으로 당해도 그런 생각을 할 수 있을지 심히 궁금합니다
그리고 북한이 왜 나옵니까
북한이든 미국이든 이런일은 용납이 되어서는 안되는겁니다
북한은 스스로 독재국가이고 남에게 자신이 인권을 옹호하고 개인의 자유를 보장한다고 선전하지는 않지만 미국은 인권과 자유를 무기로 다른나라의 내정이나 인권에 간섭하고 미국식 민주주의를 퍼트리는 것을 사명으로 생각하는 나라이니 비난 가능성이 더 큰것입니다
미국과 북한을 동격에 놓고 비판하는 건 미국에 대한 진정한 모독입니다
1. 님의 선의 인정 (미국의 의도도 자연님의 추측이 맞다고 봄 )
2. 민주국가와 알카에다 독재국가의 차이 그리고 우리가 민주국가를 선택하는 이유는 법치에 있슴
미국은 이번 사건으로 알카에다 같은 폭력집단에 불과하다는 것을 입증
3. 북한이야기는 나올필요가 없슴
북한은 프로레타리아 독재국가에다 수령주체국가로서 자타가 공인하는 독재 미국은 스스로 자유민주주의를 퍼트린다는 사명감과 인권과 자유를 무기로 타국에 간섭하는 국가이므로 비난가능성이 비교할 수 없슴
4. 미국과 북한을 비교하는 자체가 미국에게는 수치러운 일임
5. 성경에 에스겔 18장에 아비가 신포도로 먹었다고 아들의 이가 시지 않는다 각자의 죄로 죽는다
이게 민주주의의 원리이기도 함
6. 국제 사회에서 힘이 정의인게 맞지만 당위는 아니고 인간은 당위를 따라 살려는 몸부림이 있을때 인간적이 됨
그리고 결국 정당치 못한 힘은 나중에 드러나서 심판받고 비난받으며 스스로의 양심에 고통을 받고 인생후회
또한 인간은 힘이 정의가 아니라는 외침을 하고 있으며 그로인하여 힘을 숭배하는 사람들의 행동이 저지되고 그 결과 더 많은 사람들이 과거보다 억울한 일을 덜 당하고 있음
7. 자연님은 자연님보다 더 강한자에게 당할 일이 없을듯 하지만 인생은 모르는 것이고 그럴때도 힘이 정의니 순순히 받아들일 것인가요?
문제는 16세의 손자가 핵심입니다
그의 아버지가 알카에다든 미국에 적대적이든 그건 그것대로 법적으로 처벌해야 할 것이고
( 빈라덴정도 타격을 입혔다면 이해는 갑니다마는 구체적인 테러행위를 했는지도 확인이 안되고 )
다 양보해도 16세 소년이 왜 죽어야 했는지를 미국은 소명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그리고 신사도가 안통하는 것과 우리가 그것을 비판하는 것은 다른 것입니다
자연님은 북한을 비난하거나 주사파 또는 반 한나라당 사람들을 비판하거나 비난하는 것이 그들을 변화시키기 때문인가요
자연님 입장에서는 그것이 옳지 않다고 생각하기에 주장하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적어도 16세되는 혐의가 입증되지 않는 아이를 드론으로 죽인건 있어서는 안되는 일이라는 것은 동의할 것으로 믿습니다
그마져 동의 안한다면 대화불가능이고요
전쟁때 이런식으로 죽이면 전범처벌 받습니다
테러와의 전쟁이라니까 미국 정부의 명령권자와 실행한 자는 전범으로 재판 받아야 합니다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