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게시판
글 수 20,959
세상은 강한자의 의지에 따라 움직입니다
강한자는 수도 적고 이해관계가 분명하기에 이심전심으로 의기투합하고 단합이 됩니다
하지만 약자는 수도 많고 각자 처지나 이해관계도 다르고 그래서 뭉치지를 못합니다
따라서 사회제도나 법등 모든것은 강자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그래도 민주주의 시스템의 투표제도 아래서 강자나 약자나 한표를 행사하는 것과 양심적인 지성이나 언론에 의해 최소한의 견제가 이루어지는 것이지요
이번 종교인 과세를 기타소득으로 하는 것에 대하여 이런 저런 말이 있는데 불교닷컴이 분석한 것을 보니 정부의 꼼수와 고소득 종교인의 묵시적 답합의 산물이더군요
정부는 근로소득세로 과세할 경우 근로 장려금과 기타 근로자에게 제공되는 재정이나 금융등 지원금이 세금 받은 것보다 더 많이 지출되고
고액 소득 종교인은 근로세로 내는 것보다 기타소득으로 납부하는 것이 훨 누진도 안되고 정률세금으로 세율도 낮고 그래서 적은 세금을 내는데다 근로의 댓가가 아니라는 명분도 챙기고 말입니다.
결국 저소득 종교인들은 근로소득세로 과세받는 것이 훨 나은데 강자의 담합의 의해 결국 불이익을 받는 겁니다
http://www.bulkyo21.com/news/articleView.html?idxno=22410
Tweet
강한자는 수도 적고 이해관계가 분명하기에 이심전심으로 의기투합하고 단합이 됩니다
하지만 약자는 수도 많고 각자 처지나 이해관계도 다르고 그래서 뭉치지를 못합니다
따라서 사회제도나 법등 모든것은 강자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그래도 민주주의 시스템의 투표제도 아래서 강자나 약자나 한표를 행사하는 것과 양심적인 지성이나 언론에 의해 최소한의 견제가 이루어지는 것이지요
이번 종교인 과세를 기타소득으로 하는 것에 대하여 이런 저런 말이 있는데 불교닷컴이 분석한 것을 보니 정부의 꼼수와 고소득 종교인의 묵시적 답합의 산물이더군요
정부는 근로소득세로 과세할 경우 근로 장려금과 기타 근로자에게 제공되는 재정이나 금융등 지원금이 세금 받은 것보다 더 많이 지출되고
고액 소득 종교인은 근로세로 내는 것보다 기타소득으로 납부하는 것이 훨 누진도 안되고 정률세금으로 세율도 낮고 그래서 적은 세금을 내는데다 근로의 댓가가 아니라는 명분도 챙기고 말입니다.
결국 저소득 종교인들은 근로소득세로 과세받는 것이 훨 나은데 강자의 담합의 의해 결국 불이익을 받는 겁니다
http://www.bulkyo21.com/news/articleView.html?idxno=22410
근로소득 잡으면 되레 장려금 지급 20일 국회예산정책처가 발간한 ‘2014년 재정운용방향 및 주요현안’ 보고서는 “종교인에게 ‘근로소득세’를 과세할 경우 개신교에서만 저소득 성직자 8만여 명이 EITC(근로장려금제도) 지원 대상에 포함된다”고 밝혔다. EITC는 ‘부부합산 연간 총소득 1700만원 미만’ 등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근로자 가구의 근로 장려를 위해 국세청을 통해 연간 최대 120만원의 장려금을 주는 제도이다. 종교인을 근로소득자로 간주하면 이 제도의 혜택을 줘야한다. 개신교 전체 14만 성직자 가운데 연소득 2000만원 이하자 8만여 명에게 737억원을 지급해야 하는 셈이다. 보고서는 “개신교 교직자 이외에 타 종교인을 포함해 고려한 근로장려금 수급자와 지급액 규모는 이보다 늘어나 세수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개세주의 원칙, 과세의 형평 제고 측면에서 종교인 과세제도 도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즉 정부가 종교인에 대해 '근로소득세'를 적용할 경우 세수 확대는커녕 오히려 근로장려금을 내줘야할 판이어서 종교계 요청을 빌미로 '기타소득'으로 과세키로 가닥을 정함에 따라 두마리 토끼를 잡은 셈이다. |
2013.08.22 13:50:11
저 개인적으로는 종교 역시 회원제 서비스업의 하나일 뿐인 것같고, 오랫동안 성직자들보다 더 높은 권위를 누렸던 스승들조차 자신들을 노동자라고 부르는게 하나도 이상하지 않은 세상이긴 합니다만 종교인들이 스스로를 '노동자'라고 자칭하거나 그렇게 대우받는 것을 못견뎌 할 것 같습니다. 종교라는게 세속적인 것과 분리되려는 것이 본질적 특성인데, 가장 세속적이라 할 '노동자'라는 개념을 받아들이는건 스스로 모순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만약 근로소득세로 했다면 대형교회들 뿐만 아니라 보수적인 교리의 소형 교회의 목회자나 신자들 역시 난리가 나지 않았을까요? 전교조 처음 만들어질 때 '스승이 노동자라니 말이 되느냐!" 라면서 대난리가 났던 거보다 더 엄청난 반발이 있었을 것 같습니다.
물론 제 기준으로는 근로소득세로 하는게 너무나 당연한 것 같지만 그건 그거고;;
만약 근로소득세로 했다면 대형교회들 뿐만 아니라 보수적인 교리의 소형 교회의 목회자나 신자들 역시 난리가 나지 않았을까요? 전교조 처음 만들어질 때 '스승이 노동자라니 말이 되느냐!" 라면서 대난리가 났던 거보다 더 엄청난 반발이 있었을 것 같습니다.
물론 제 기준으로는 근로소득세로 하는게 너무나 당연한 것 같지만 그건 그거고;;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