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게시판
글 수 19,484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395338.html
그런데 내가 왜 좋아하지?
ps - 미국 거주하시는 분들의 설명 부탁해요.
Tweet
그런데 내가 왜 좋아하지?
ps - 미국 거주하시는 분들의 설명 부탁해요.
2009.12.24 16:24:23
현재 직장에서 의료보험을 제공받지못하고 있거나 이미 병에걸린 상황이라 의료보험에 가입을 못하는 사람들은 해택을 받으리라 생각합니다.
문제는 어떻게 유지하는가인데 일단 제원확충은 세금을 더 징수하거나, 현재 건강하여 의료비용을 소비하지 않는 사람들을 가입하게 하거나(하원의 제안), 고용주들에게 비용을 전가하는 방법(고용주들은 증가한 비용을 월급에서 공제할수도 있읍니다) 등이 제안된듯합니다.
아직 상원과 하원의 제안이 합쳐지지 않았지만 어쨋거나 더 많은 사람들이 의료서비스를 소비할게될것이 예상되고 보험으로 처리되는 의료서비스의 질을 낮추지 않는한 전체적인 의료비용은 증가할듯합니다.
비용이 높더라도 생존가능성이 높은 치료법이 의학의 발달로 계속 나오리라 생각되는데 보험 가입자 모두 이러한 고비용의 치료법을 원할경우 제정유지를 위해서는 적절히 거절하는것이 중요하리라 생각합니다만, 사람의 생명에 관계된일이라 쉽지않은 일이 될것 같습니다.
문제는 어떻게 유지하는가인데 일단 제원확충은 세금을 더 징수하거나, 현재 건강하여 의료비용을 소비하지 않는 사람들을 가입하게 하거나(하원의 제안), 고용주들에게 비용을 전가하는 방법(고용주들은 증가한 비용을 월급에서 공제할수도 있읍니다) 등이 제안된듯합니다.
아직 상원과 하원의 제안이 합쳐지지 않았지만 어쨋거나 더 많은 사람들이 의료서비스를 소비할게될것이 예상되고 보험으로 처리되는 의료서비스의 질을 낮추지 않는한 전체적인 의료비용은 증가할듯합니다.
비용이 높더라도 생존가능성이 높은 치료법이 의학의 발달로 계속 나오리라 생각되는데 보험 가입자 모두 이러한 고비용의 치료법을 원할경우 제정유지를 위해서는 적절히 거절하는것이 중요하리라 생각합니다만, 사람의 생명에 관계된일이라 쉽지않은 일이 될것 같습니다.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