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로그인

  • 회원 가입
  •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 home
  • 게시판
    • 공지 및 운영회의
    • 추천게시판
    • 정치/사회 게시판
    • 문화/예술/과학 게시판
    • 자유게시판
    • 뉴스 게시판
  • 아크로 史草
  • 담벼락
  • 운영회의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

  • "순 진짜 참기름... 하하하
  • "자유 민주주의"가... 宇宙
  • 빨간 색안경 끼고... 하하하
  • 빨간 색안경이 꼈... 宇宙
  • 빨간 색안경을 끼... 판단력부족
  • 여러 시대를 살아... 하하하
  • 아마도 군사반란이... 판단력부족
  • 이명복이나 이척의... 宇宙
  • 8.15 광복절이 되... 판단력부족
  • 남한은 미군이 지... 宇宙
  • 대부분의 사람이 ... 판단력부족
  • * 미국의 입학 ... 宇宙
  • 말씀하신 부분은 ... 깡뿐이여라
  • 한국은 굉장한 천... 宇宙
  • 한덕수가 고액을 ... 판단력부족
  • 1. 정유라 무죄는... 판단력부족
  • 1. 정유라: 무죄... 宇宙
  • 수명 연장으로 대... 판단력부족
  • 몽텟큐는 「법의 ... 宇宙
  • 민주정이 중우정치... 宇宙
  • 국회가 개판인 것... 판단력부족
  • 수명을 연장하는 ... 판단력부족
  • 2015.1.19~2016.7... 宇宙
  • 우주님/ ' 2015년... 길벗
  • 가능.(듣고, 앉고... 宇宙
  • 우주님/ 저는 정... 길벗
  • 세브란스 병원 재... 宇宙
  • 1. 배점이 얼마건... 宇宙
  • 우주님/ 1. 총 ... 길벗
  • 척추질환으로 2급... 宇宙
  • 서류평가에서만 2... 宇宙
  • 저는 경알못이라서... 판단력부족
  • 소비+투자+정부지출... 宇宙
  • 잘못된 내용이 많... 판단력부족
  • 길벗 님/ 저도 ... 판단력부족
  • 낮에 직장 생활하... 宇宙
  • 판부님/ 주 40시... 길벗
  • 본인이 입시에 관... 판단력부족
  • "기러기 효과"라는... 宇宙
  • 동양대총장상 위조... 宇宙


정치/경제/사회 게시판

글 수 20,959
  • 회원 가입
  • 로그인
  • RSS
  • Skin Info
  • Tag list
  • List
  • Webzine
  • Gallery

1

id: 레드문레드문
http://theacro.com/zbxe/803871
2013.05.18 23:05:46
8270
시사

1

 

이 게시물을...
Tweet
목록
댓글
2013.05.18 23:35:07
id: 한그루한그루
레드문님/통계자료 서른 건... 인용논문 스무건.... 제 깜냥으로는 하루에 도무지 끝낼 수 없어 쉬엄쉬엄 하고 있습니다만 피노키오님과 차칸노르님은 아마 '신제도주의 경제학'을 바탕으로 그런 '사회적 대통합'을 하신거 같아요. 두 분이 의식을 하셨는지는 모르겠지만 말입니다.


혹시, 신제도주의 경제학에 대하여 잘아시면 두 분의 논쟁을 신제도주의 경제학으로 풀어봐 주세요. 그러면 두 분의 '사회적 대통합'의 함정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 것 같네요.
댓글
2013.05.19 00:13:37
id: 레드문레드문

제가 알기론 제도주의는 원래 비주류경제학이었고 그 연원은 리스트에서 비롯되져. 그런데 신제도주의 특히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는 주류에 어느정도 편입되었습니다. 즉 신제도주의 경제학은 80년대 시장주의적 정부개혁이론으로 쓰였습니다. 원래 출발이 경제학이지만 그 쓰임은 행정학에서 열매를 맺었죠.


 

암튼 신제도주의 경제학은 소위 신공공관리(NPM)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고 NPM은 80년대 신보수주의 신자유주의의 이론입니다.


 

그 특징은 작은 정부, 민영화, 규제완화, 복지 축소구요,


 

차칸노르님이나 피노키오님이 이걸 근거로 합의했다는데 솔직히 좀 그렇네요, 모두 사회안정망에 대해 말하고 있으신 것 같기는 하던데 그걸 가지고 신제도주의로 합의했다는 건 좀. 머 차칸노르님은 리버테리안이라고 하니까 신자유주의 신보수주의를 받아들여도 문제가 없겠지만 피노키오님은 아닌 듯 싶네요.

댓글
2013.05.19 00:52:35
id: 한그루한그루
레드문님/당연히, 피노키오님은 맑시즘이시니 신제도주의 학파는 아닐겁니다. 단지, 거래비용, 그러니까 '시장이 실패해도 정부의 개입이 필요없다'는 것을 응용하시는 것이란 말씀입니다. 즉, 피노키오님은 '불노소득'이 문제를 해결하는 만병통치약으로 제시하셨는데 '불노소득'이 원천적으로 없어졌다고 가정할 때 그 때도 정부의 개입이 필요없을까요? 한국의 경우에는 오히려 불노소득이 해결된 상황에서는(이 불노소득 해결을 위하여 정부가 개입되겠지만) 정부의 개입이 더욱 필요한데 말이죠.


즉, 저는 피노키오님의 경제적 이론의 바탕을 말씀드린게 아니라 합의에 이르는 '방법'을 말씀드린겁니다. 특히, 신제도주의는 중국 모델에 아주 적당하고 베트남의 호치민은 이 신제도주의에 대하여 아주 강하게 찬양(비판도 많이 했는데 그 것은 발전을 위한)했으니 피노키오님이 원용하실 수 있다는게 제 판단입니다. 어쨌든, 흐름이 그래요.
댓글
2013.05.19 03:50:57
ㄸㅂ
포스트 케인지언에 대한 설명을 읽어보니 군사정부 시절의 경제정책과 유사해 보이네요. 그런데 이러한 정책은 지금 한국의 개방도 및 대기업의 사이즈, 대통령의 권력 등 여러 가지 이유로 힘들 듯 합니다. 최악의 경우 외환위기 때 대우같은 파산하는 기업들이 여럿 나올 수도 있구요.
댓글
2013.05.19 04:42:56
id: 레드문레드문

저도 비주류경제학이라 자세히는 모르지만 군사정부 정책은 아닌 것으로 아는데요. 더구나 일부 포스트 케인지안은 마르크스의 영향도 받았구요.

 

더구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분배의 중요성을 강조하구 있더라구요. 

 

포스트 케인지언들의 이론의 특징은 다음 몇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이들의 이론은 경제성장과 소득분배를 양자가 서로 직접적으로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그 결정요인은 공통적으로 ‘투자율’이다. 따라서 신고전학파적 분석의 초점인 상대가격변수 대신에 이들은 투자를 핵심적 결정요인으로 삼는다. 둘째, 비록 이론적인 모델 내에서는 어떠한 결정요인이나 매개변수에 변화가 없다고 가정되더라도 경제는 여전히 어떤 장기에 걸친 성장경로를 따라 진행되는 것으로 묘사한다. 셋째, 이들은 고도의 신용 및 기타의 화폐제도를 갖춘 경제를 묘사한다. 이러한 제도가 동태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신고전학파 모델에서는 실질산출량과 관련해서는 화폐는 문제시 되지 않는다. 단지 장기적인 인플레이션율과 관련해서만 화폐는 문제가 된다. 마지막으로 이들은 현실경제의 동태적 행동을 다룬다. 이들은 신고전학파 이론처럼 가정된 시장조건하의 자원배분 분석에 국한되어 있지는 않다. 그들의 시야는 경쟁시장의 움직임에 국한되지 않음으로써 비경쟁적 시장의 움직임과 또한 비시장적 형태의 자원배분도 포괄하게 되는 것이다.

 

 

"경제가 완전고용하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상대적 분배분이 안정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상대적 분배분이 안정적이기 위하여 지속적 성장이 보장되어야 한다. 경제가 지속상태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경제가 2계급이 공존할 수 있는 범위에 있어야 한다. 포스트케인지안은 분배모형의 일반화 과정을 통하여, 이자율이 이윤율보다 낮은 현실적 상황에서 투자( )는 자본가가 전체소득을 획득할 경우 발생하는 총저축( )보다 작아야 지속성장상태에 있음을 보였다. 따라서, 자본가의 저축성향( ), 소득( ), 투자( )에 대한 통계자료를 알 수 있다면 실증분석을 할 수 있고, 이런 실증분석을 통하여 가격메카니즘이 아닌 분배메카니즘에 의하여 경제의 안정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금융시스템의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하구요. 금융에 대해 규제를 해야 한다는 주장을 과거부터 꾸준히 해왔구요.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15&articleId=1933285

댓글
2013.05.19 04:59:34
ㄸㅂ
군사정부는 수출기업들에게 유동성 공급 및 최종 대부자 역할로 지속적인 투자를 유도한 것이 그들의 경제성장정책이죠. 또한, 군사정부 시절에서는 금융에 대한 규제가 강하게 이루어져서 유동성 공급은 거진 정부에 의해 이루어졌구요. 이러한 측면에서 유사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댓글
2013.05.19 18:16:41
id: 레드문레드문

너무 과도한 생각이 아닐까요? 박정희 당시 60 70년대는 케인즈경제학이 풍미하던 시기고 모딜리아니(케인지언)의 차입경영이론이 영향을 준 건 사실이지만 기본적으로 박정희 경제의 특징은 중상주의 정책입니다.


http://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10111025100322&Section=02

중상주의시대에 각국 정부는 당시 모든 나라에서 통용되던 화폐인 금과 은을 얻기 위해, 그리고 국가재정자금을 얻기 위해 경제에 깊이 개입하였다. 수입을 억제하고 수출을 장려하는 보호무역주의, 군수산업이나 수출산업과 같은 주요기간산업의 직접경영이나 지원, 특정 사업의 독점적 영업권 부여 등이 중상주의의 일반적 정책수단이었다. 중상주의는 강력한 개입주의였다. 스미스는 "중상주의란 그 본질에 있어서 제한과 통제의 학설"이라고 지적했다.

정경유착과 재벌 중심 경제가 중상주의의 일반적 특징이었다. 정치권력이 경제를 통제하는 중상주의경제에서 정부와 대기업간의 정경유착이 필연적으로 나타났다. 기업으로부터 돈을 받는 대가로 정부가 기업들에게 이권을 부여하였기 때문이다. 정경유착은 소수의 대자본으로의 경제력 집중을 필연적으로 초래하게 되었다. 수많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정부가 밀실에서 흥정하여 결탁할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주요한 산업들에서 정부로부터 영업권을 얻은 소수 대상공인만이 영업을 하게 됨으로써, 정부에 의한 인위적인 독과점이 나타나게 되었다. 인위적 독점은, 기술이나 원료의 독점으로 인한 자연적 독점이나, 시장에서 자본의 집중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적 독점과 달리 정부가 만들어준 독점이다. 소수 대자본과의 정권간의 정경유착과 소수 대자본으로의 경제력 집중은 중상주의의 경제규제의 필연적인 결과였다.

1960년대 이후 군사독재 시절의 우리나라도 이에 해당한다고 생각된다. 이 시기에는 정부의 경제 장악으로 인해 정경유착이 필연적으로 발생하며, 정경유착은 정권과 소수의 대자본 사이에 발생할 수밖에 없으므로 대기업 중심의 경제가 형성되지 않을 수 없다. 대기업이 자본주의에서는 재벌이 되며, 소련과 중국과 같은 사회주의국가에서는 거대 국영기업들이 된다. 군사독재시절의 우리나라 관치경제에서 정경유착과 재벌 비대화가 발생하였던 것도 이의 한 예이다

 

그리고 박정희 경제정책은 기본적으로 선성장 후분배정책이었고 그래서 노동자임금을 낮게 통제하고 저곡가정책을 유지했습니다. 그 당시 제일제당이나 제일모직을 기반으로 하던 회사가 국가로부터 독점적으로 영업권과 금융특혜를 통해 성장한게 바로 삼성이구요. 현대나 대우 역시 마찬가입니다. 군사정부 말기인 전두환 노태우시절 비디오테이프와 교복사업을 하던 선경그룹이 알짜베기 국가공기업이덨던 유공과 한국이동통신을 가져가서 만든게 SK와 SK텔레콤이구요. 물론 이 과정에서 정치자금이 오가고 그랬습니다. 거기다 군사정권이라서 언제든지 재벌오너에게라도 폭력과 협박을 행사할 수 있었고 하루아침에 거지를 만들수도 있었죠. 국가와 시장 자체가 구분이 안되는 그런 시기였다는 거죠. 금융의 건전성 심사를 강화한다는 것과 금융특혜를 동일시하시는 건 아닌가 하네요.


개인적으로는 포스트 케인지언은 시장은 단기뿐만 아니라 장기에도 불균형이라고 보기 때문에 즉 완전고용국민소득 아래에 생산이 이루어진다고 보게 되고 그애거 정부의 개입을 통해 완전고용국민소득을 달성하자 그런거 아닐까 합니다. 합리적 기대학파에서는 단기에서도 정부 개입이 무의미하다고 주장하면서 대립했거든요. 일반적인 케인지언은 단기에는 효력이 있다고 보는거죠. 특히 불황의 경우(그래서 미세조정). 그리고 포스트 케인지언의 시각에서는 생산과 분배가 상호 선순환을 가져온다고 보기 때문에 소득재분배 이런 측면에서 이론적 서포트가 된다고 보았습니다.

 

그리고 60 70년대는 투자할 곳이 넘쳐나는 곳인데 투자의 불확실성을 말하는 것도 좀 문제같아요. 거기다 내수기반이 아니거 수출기반이니 투자를 통해 생산 할 외국에 팔아서 벌어들인 후에 노동자에게 많이 줄 필요도 없죠. 불균형성장 불균등성장으로 가도 된다가 이론적 기반이죠.

 


 



 

 

 


번호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운영진 아크로 성격에 대한 운영자 입장 6
운영자2
2012-02-28 2063955
공지 운영진 정치사회 게시판의 성격
id: 운영자4운영자4
2012-12-20 2174583
공지 운영진 준회원 승급에 대한 안내 말씀
id: 운영자4운영자4
2013-04-29 2114457
공지 운영진 단순링크나 독백식의 글 이동조치에 관해 (18.03.12 수정)
id: 운영자4운영자4
2013-06-29 2031310
공지 운영진 유투브 동영상 삽입방법입니다 imagefile
id: 운영자3운영자3
2017-03-08 947634
11839 정치 단독'5·18 계엄군 발포', 중학 교과서엔 없다 2
id: 새롬이새롬이
2013-05-22 8534
11838 사회 일베의 성격 분석
id: 흐르는 강물흐르는 강물
2013-05-22 4885
11837 기타 일베에 관련된 문제에서 왜 아크로에서 경상도, 전라도 싸움이 나냐면... 17
id: minue622minue622
2013-05-22 6197
11836 정치 일베에 관련된 문제에서 왜 경상도 전라도 싸움이 날까? 11
id: 봄날은 간다.봄날은 간다.
2013-05-22 6928
11835 정치 정말 궁금해서 묻는 겁니다. 9
id: 봄날은 간다.봄날은 간다.
2013-05-21 4604
11834 기타 일명 '김대중 모욕 사건'과 닭무현 패러디가 같은 차원이라고 우기는 스카이넷 '일베충' 1
id: minue622minue622
2013-05-21 5243
11833 기타 일베, 올바르게 대응하기 9
id: 어리별이어리별이
2013-05-21 5168
11832 정치 1 125
id: 레드문레드문
2013-05-21 8731
11831 사회 예전보다 지금의 대중이 정치에 더 민감해진 것일까. 16
id: 비행소년비행소년
2013-05-21 8225
11830 시사 미국 혐오트윗(hateful twits) 분포도 9 imagefile
id: 한그루한그루
2013-05-21 5736
11829 시사 . 2 secret
264589
2013-05-21 2736
11828 사회 최근에 생긴 강력한 신흥종교 둘을 소개합니다. 1
id: 흐르는 강물흐르는 강물
2013-05-21 5049
11827 정치 좌파는 절대로 일베를 이길 수 없습니다 8 imagefile
id: 어리별이어리별이
2013-05-21 7114
11826 시사 '닭'무현과 '성'근혜. 내가 하면 패러디고 너가 하면 모독이라는 뻔뻔한 '노빠들' 3 imagefile
id: 한그루한그루
2013-05-20 6353
11825 기타 피노키오님의 경우를 어떻게 봐야 하나? 21
id: 주시자의 눈주시자의 눈
2013-05-20 7746
11824 기타 오돌또기님의 품앗이 13
id: minue622minue622
2013-05-20 5310
11823 기타 일베충의 닭무현 사진 16 imagefile
id: minue622minue622
2013-05-20 7006
11822 시사 행복주택 부지 7곳 선정, 박근혜판 보금자리?
id: 나브라틸로바나브라틸로바
2013-05-20 8507
11821 사회 교회 전도사 등 성직자도 근로자…産災로 인정해야
id: 새롬이새롬이
2013-05-20 7904
11820 정치 박근혜의 '국민 대사기극' 15 image
id: 한그루한그루
2013-05-20 4765
11819 시사 강운태 시장 "5·18 왜곡, 주말까지 삭제 안하면 법적 대응"
id: ® 밤의 주필® 밤의 주필
2013-05-20 4656
11818 정치 미국의 대규모 예산감소는 필연적으로 일본의 재무장을 부른다 1
id: 확인의결과확인의결과
2013-05-20 5076
11817 정치 청와대 참모진이 문제인가? 수첩 대통령이 문제인가? 2
id: 흐르는 강물흐르는 강물
2013-05-19 4892
11816 시사 1 3
id: 레드문레드문
2013-05-19 6047
11815 시사 썰전과 나꼼수: 이철희와 강용석 13
id: 하킴하킴
2013-05-19 8673
11814 정치 일베충 VS 노생충 승자는 누구일까요? 2
id: 봄날은 간다.봄날은 간다.
2013-05-19 4657
11813 정치 김한길 민주당대표 노빠들에게 봉변 -명불허전- 11 image
id: ® 밤의 주필® 밤의 주필
2013-05-19 4786
11812 정치 마르크스가 부끄러운 한국의 사민주의자들 20
id: 에노텐에노텐
2013-05-19 6012
11811 정치 좌파가 망한 이유 15 imagefile
id: 어리별이어리별이
2013-05-19 5288
11810 정치 홀로 피켓든 고교생…"'일베', 5·18정신 부정말라" 2
id: 새롬이새롬이
2013-05-19 4828
11809 기타 . 1
jjj
2013-05-19 5118
11808 시사 518학살은 육사교수들 책임 8 image
id: 한그루한그루
2013-05-19 5299
11807 시사 빤수 퍼포먼스, 법적 처벌 대상일까? 11 image
id: 한그루한그루
2013-05-18 5369
시사 1 7
id: 레드문레드문
2013-05-18 8270
11805 기타 외국학생들이 만든 " 대한민국 김대중 " movie
id: ® 밤의 주필® 밤의 주필
2013-05-18 4851
11804 기타 盧팍에 계신 어느영남노빠의 한말씀 ㅋㅋㅋ 2
id: ® 밤의 주필® 밤의 주필
2013-05-18 5172
11803 기타 전염병, 일본, 일베, 개독 없는 세상을 꿈꿉니다 *^^* 2
id: 새롬이새롬이
2013-05-18 4850
11802 정치 미국 공화당의 시다바리로 전락하여 남북긴장 조장하는 박근혜, 제 정신인가? 7
id: 한그루한그루
2013-05-18 5078
11801 정치 윤창중 대변인님 빤스 사왔어요 87 image
id: 레드문레드문
2013-05-18 8596
11800 정치 이정희, 변희재, 그리고 종북 주사파 30
id: 이덕하이덕하
2013-05-17 6563
목록
쓰기
첫 페이지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끝 페이지
검색 취소

Contact us via email
application/rss+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