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게시판
백이숙제는 "以暴易暴"를 남겼고 한그루는 "以寂易騷"를 남기고 간다.
저는 차칸노르님이 자신의 의견자체는 나름 체계적으로 잘피력했다고 봅니다만
저역시 아래 차칸노르님 원문에대한 댓글에서 언급햇듯 파시즘 적 분위기 역시 상당히 풍긴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데 하나 여기서 궁금한건 과연 한국에서 리버럴의 실체를 무엇이라고 볼것인가입니다
여기서 여기서저는 진보진영에서 자유주의를 접근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문제가있다고봐요
이들은 계약 (정치적이든 사회문화적이든 경제적이든)에 너무 촛점을 맞추어 자유주의본질을 오도한다고 보는 게 제생각입니다
진보는 계약에의한 개인의 권한을 사회전체의 관점에서 늘평가합니다 이는 진보의 사회주의 가치를 긍정하는 근거가 늘 되어왓고
소위 진보라는 사람들이 리버럴을 이런식으로 평가하고 이용해서 진보의 카테고리에 학문적으로 묶어온게 사실입니다
하긴 요사이는 좌파들이 그러질않긴 하더군요 리버럴에 신자유주의랄 합쳐 성행을 하니 선을 그으려는 면이 다분해보이긴 해도 이제껏 그래왔죠
어찌됐던 그렇게 정치적으로 이득이될만한 취할건만 취하고 어느정도 선을 긋는 자신의 진영의 확장을 꾀하기 편하기 때문이었겟죠
그렇지만 과연 사회계약이 자유주의였을까요?
결국 로크는 홉스를 부정하지않습니까?
리바이어던 역시 결국 공동체의 공리성을 자유주의근간으로놓고 이후 공동체문화로서의 개인의 자유를 민주주의근간으로 삼게되는데
진보는 자신의 진영적 목적을 위해 너무 리버럴을 오도해서 한국사회에 끌어들인것이라고 봅니다
사실 자유주의는 공동체 윤리가잇어야 존재할 근거가되는 것이지요 개인과 공동체의 조화에서 자연상태의 개인주의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리버럴의 지향점인데
진보는 좌파이데올로기로서 입장으로 리버럴을 너무자신에게 유리하게 노동이나 사회주의적 관점에서만 강조해 이용하기만 했고
보수는 공동체 책임윤리없는 리버테리안만을 강조하여 리버럴을 이용하는 것 같습니다
이러니 정작 우파에서도 리버럴을 덮어쓰면 늘 실제로 수구보수주제에 자유주의인척해서 결국 기득권에의한 경제적 지배권을를 옹호하기 위해 일부러 저런다는 파시즘의 일종의 이라는 비난을 듣게 된다고봐요
미국처럼 리버럴이 책임 윤리를 구현하는 제대로된 정치세력화하기엔 한국사회는 너무 유럽식 보수진보의 논리가 강하다고봅니다
그렇다고 문화적 테제-인종차별이나 소수인종의 인권문제 이런것도 그닥 없어요
그러니 한국에서 리버럴을 논할때는 늘 이런 문제가 벌어지는 것이지요
일단 한그루님도 아시다시피 전 한국에서 말하는 보수파가아닙니다
한국에서말하는 보수파라고 자신들을 포장질하는 세력은 주로 진짜 보수파도아닌 쿠데타 수구꼴통들이 보수주의를 팔아먹기때문에 저같은 사람은 애초 한국형 보수파는 될수도없고
제가 원론적으로 버크가 씨부린 보수주의를 평가절하하므로 본질적으로도 보수주의할수없는 사람이에요
그러니 제성향은 한그루님이 곡해하지 않으실거고
저는 진보는 절대 될수없으며 자유주의에 가까운사람이나 그렇다고 리버테리안 같은 신자유주의자는 아니에요
형식적 민주주의가 완성된후 신자유주의를 YS DJ이후 20년을 해봤지만 남은게 양극화라는 건
소위 경제적 자유주의에서 하이에크에 가까운 논지를 펼지던 공병호같은 인간들이 반드시 생각해봐야할 것이지요
제가 윗글에 정치적 사회문화적 경제적 이렇게 문장에 언급한 부분이있는데
경제부분은 요즘 갑을 문제로인해 할말이 많지만 넘어가고
우리의 관심사는 정치이니 정치문제만을 한정해서 보자면
한그루님 말이 맞아요 한국에 수구세력이 쿠데타나 해놓고 정권을 유지하려다보니 자유주의를 슬쩍 끌어들여 왜곡시킨면이 많고
그것이 현재 리버럴이 우파니 좌파니 좌우논쟁에서 각진영에 이용되고 있는 일말을 보이고있지만
원론적으로 자유주의는 보수주의 진보주의와는 전혀다른 하나의 사상이고
저는 정치적 자유주의에서 반드시 공동체 윤리가 선행되어야한다고봅니다
그러면 자연히 공리주의로 갈것이고 공리주의에 바탕을 준 개인주의는 정말 민주주의 근간으로 좋은 모델이될겁니다
사실 이념논쟁은 제가 써놓고봐도 추상적이고 공허허지만
인간사가 모두 하나의 틀로 해결이되지못하니 추상적일수밖에 없지않을까싶네요
사실 보수나 진보는 이데올로기 측면에서 전체주의나 사회주의 의 극단을 마치 본질인척 왜곡하여 자신의 주장을 강화하려는 움직임들은 다분히 있다고봅니다 어느진영에서나요
이런 것만 피한다면 좋은 것을 차용해서 공공에게 이익이되는 한 전 개인주의 자체가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