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게시판
다른 언론은 그렇다치고 미국 정부의 공식적 논평마저 단정적으로 선체이외 다른 요인은 없다라고 했는데
미국이 확실한 근거도 없이 이런 논평을 할 수가 없다는 사실을 생각할 때 이후 한국 정부의 북한 행위설에 따라 미국등의 입장이 바뀌는데 천안함의 열쇠는 미국이 쥐고 있다고 봅니다
당시 미국은 합동 훈련으로 다수의 함정과 통신채널 정보 수집을 열어놓았고 천안함과 2함대 사령부 해군 사령부 합참의 대화내용을 실시간 감청하고 있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그리고 한결같이 함장과 천안함에서는 해경이나 합참에 최초 보고를 좌초라고 하였습니다.
즉 현장에 있던 해군이 아무리 기습을 당했어도 피격이나 폭침이나 좌초를 구분할 수 없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천안함은 합조단 발표 이전에 뭔가 이해가 안가는 일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정부에서는 kinds 기록이나 통화내용만 공개해도 의혹의 상당 부분을 벗을 수 있는데 이미 기밀로서 가치가 없어진 자료들을 절대로 공개 안하면서 불신을 받고 있습니다.
3월 28일자 미국의 논평입니다
제임스 스타인버그 미 국무부 부장관은 이날 워싱턴 외신기자클럽 브리핑에서, 천안함 침몰과 북한의 연계 가능성에 대해 “사고에 그 어떤 나라도 개입했다는 이야기를 들은 바 없다”고 말했다. 스타인버그 부장관은 이어 “내가 아는 한, 그것이(북한이) 침몰의 원인이라고 믿거나 우려할 이유가 없다”고 거듭 언급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한국군이 진상을 규명할 수 있도록 충분한 조사를 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해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필립 크라울리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도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 개입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김 장관의 발언과 관련한 물음에 “그에 대한 판단은 한국 정부당국에 맡겨야 할 것”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선체 자체 이외의 다른 (침몰) 원인을 파악하고 있지 않다”고 말해 사고 원인을 천안함 내부문제로 파악하고 있는 듯한 답변을 했다.
3. Well, we’ll defer to South Korea to make their judgment.
I don’t think we’re aware that there were any factor in that other than the ship itself.
http://www.state.gov/r/pa/prs/dpb/2010/03/139201.htm
선체 이외의 다른 요인은 없다고 본다.
미국무성 발표/ 2010. 3. 29. Philip J. Crowley Assistant Secretary
1. Sinking of South Korean naval ship 'was accident'
http://news.scotsman.com/northkorea/Sinking-of-South-Korean-naval.6186186.jp
침몰군함의 침몰은 "사고"였다-- 영국의 스코트만신문(한국주재기자 이시영). 2010. 3. 28.
2. The sinking may have been an accident, not an attack
http://www.google.com/hostednews/ap/article/ALeqM5jQydsIWmNQZpwRriADac51u5rx8gD9EMHCD80
침몰은 공격이 아니라 사고일 가능성이 농후하다--AP통신(한국주재기자 김현진)
3. Well, we’ll defer to South Korea to make their judgment.
I don’t think we’re aware that there were any factor in that other than the ship itself.
http://www.state.gov/r/pa/prs/dpb/2010/03/139201.htm
선체 이외의 다른 요인은 없다고 본다.
미국무성 발표/ 2010. 3. 29. Philip J. Crowley Assistant Secretary
4. S Korean credibility on the line over probe
http://www.ft.com/cms/s/0/a30d2c9c-3d4f-11df-bdbb-00144feabdc0.html
한국은 현재 신뢰성에서 흔들리고 있다/ Financial Times/ 2010. 4. 1.
5. They are top-quality shipbuilders. The question is what markets are available
http://www.ft.com/cms/s/0/1468bc02-3b49-11df-b622-00144feabdc0.html
최고품질의 선박을 만드는 한국이 현재의 주장을 가지고 세계시장에서 통할지 의문이다/ Financial Times/ 2010. 4. 1.
6. South Korean navy ship sinks; North link played down
http://www.washingtonpost.com/wp-dyn/content/article/2010/03/26/AR2010032602048_2.html
북한의 가능성은 낮다/ Washingtonpost/ 2004. 3. 26.
7. "It's looking more and more like it was just an accident that happens on a ship,"
Carl Baker, an expert on Korean military relations at the Pacific Forum CSIS thinktank
in Honolulu told Reuters. He said North Korea was unlikely to attack the far more powerful
South Korean military.
http://www.guardian.co.uk/world/2010/mar/27/south-korea-navy-ship-sinks
배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고이지 북한공격 같지는 않다/ 영국 가디언지/ 2010. 3. 27.
8. Foreign military observers state that South Korea had to explain why its navy started shooting northwards immediately, risking starting a war
http://en.wikipedia.org/wiki/ROKS_Cheonan_(PCC-772)
http://www.ft.com/cms/s/0/a30d2c9c-3d4f-11df-bdbb-00144feabdc0.html.
왜 전쟁이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서 천안함 구조보다는 함포를 쏘았는지 먼저 해명해야 할 것이다/
Financial Times / Retrieved 2010-04-02
9. There is no apparent evidence to suspect North Korea's involvement in the sinking of a South Korean warship last month near the maritime border between the two nations, the chief of U.S. forces in Korea, said Tuesday.
http://rttnews.com/ArticleView.aspx?Id=1260952
주한미공군사령관(Walter Sharp)의 발언/ 북한과 관련되었다는 명확한 증거가 없다 / RTT news/ 2010. 4.6.
10. South Korea and the U.S. are trying to blame it for the incident.
http://online.wsj.com/article/SB10001424052702303720604575170421018022464.html?mod=googlenews_wsj
미국과 한국은 북한에게 침몰의 책임을 전가하려 한다/ Wall Street Journal/ 2010. 4. 8.
11. N.Korea denies involvement in S.Korean ship sinking
http://news.yahoo.com/s/ap/20100410/ap_on_re_as/as_skorea_ship_sinks_1
http://www.washingtonpost.com/wp-dyn/content/article/2010/04/09/AR2010040906320.html
북한은 남한 군함침몰과 관련성을 부인했다/ AP / 2010. 4. 10.
12. Carl Baker, an expert on Korean military relations at the Pacific Forum CSIS think tank in Honolulu, said that if North Korea was involved in the Cheonan sinking,
it was probably an accident due to something like a drifting mine. He said a torpedo attack - though not impossible - is highly unlikely and even if it happened would have presumably been an unsanctioned act not planned by the country's leadership, which would be loathe to anger key ally and investor China.
www.seattlepi.com/national/1104ap_as_skorea_ship_sinks.html
어뢰공격가능성을 일축/ 시애틀/ By KELLY OLSEN- ASSOCIATED PRESS WRITER / 2010. 4. 16.
제가 링크한 외신들은 주로 참고자료 용이지요
그들이 하루나 이삼일만에 무슨수로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거나 책임있는 보도를 하겠습니까
다만 당시 분위기가 외신 기자들은 북한의 공격으로 보지 않았다는 이야기고 이명박 대통령도 북한의 소행이라는 점에 대해서 신중해야하고 아직은 단언 할 수 없다고 말하였습니다
제 발제의 핵심은 미국의 공식 논평에 있습니다.
사건 하루만에 그러니까 사실상 12시간 조금 지나서 미국이 선체의 문제로 보인다라고 말한 것을 어떻게 해석을 해야 하는 것인가 하는 문제지요
미국이 한국에서 초계함이 침몰하여 반토막나고 50여명이 넘는 장병이 숨진 사건에 대해서 24시간도 지나기 전에 단정적으로 선체외에 다른 요인으로 보지 않는다라고 말 한다는 것은 그들이 확증이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정치적으로는 지방선거를 앞둔 이명박 정권이 이것을 정치적으로 북한에 대한 압박용과 선거용으로 사용하지 말도록 쐐기를 박은 것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지요
실제로 우리 군 당국과 미국이 사건의 실체를 가장 잘 알 수 있는 사람들입니다
미국은 당시 침몰지점 해역에서 합동 훈련을 했었고 천안함의 교신내용을 감청 할 수 있는 상황이고 또 한국에 천안함 침몰에 대한 진상을 알 아볼 수 있는 채널을 가진 국가입니다.
보기에 따라 흐르는 강물님이 생각하시는 바처럼 보일수도 있겠으나, 제가 보기에는 기뢰나 암초, 또는 다른 함선과의 충돌등 외부적 요소(factor)가 원인이었다고 알려진바가 없으니(I don't think we are aware) 그렇게 말할수 밖에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더더군다나 미국입장에서 증거없이 북한의 소행이라고 주장할수는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오히려 well, we'll defer South Korea to make their judgement라고 한 대목이 보기에 따라 한국정부가 결론내는대로 따라가겠다라고 하는 것처럼 들릴수도 있는데, 뭔가 이상하다고 느껴집니다. 물론 일상적인 외교적 수사(일단 슬쩍 한발 빼고보는)일수도 있습니다.
미국이 어떤 나라이고 한국과 어떤 관계입니까?
우리나라 외교부도 함부로 논평을 안하지만 초강대국 미국이 세계에서 가장 위험도가 높은 남북 대치상황에서 군함이 두동강나고 50명이 사망한 사건에서 다른 증거를 캐취못했다고 선체 이외에 다른 요인으로 보지 않는다라는 단정적인 표현을 사용할까요?
이런경우 통상적으로 침묵을 지키지요
아니면 그냥 애도를 표현하고 조속히 사건의 진실이 밝혀지기를 바란다는 외교적 수사로 마무리하는 것입니다
그도 아니면 시간을 두고 좀 더 자세하게 돌아가는 상황을 보고 하는것이 정석이지요
그런데 단 하루만에 단정적으로 침몰의 원인을 거의 확정해서 말하였습니다
이것은 미국이 이미 침몰 원인을 파악했다는 것이고
이것을 단 하루만에 단정적으로 표현했다는 것은 한국 정부가 이 사건을 북한과 긴장관계로 가져가는 빌미로 이용하지 못하도록 쐐기를 박는다는 뜻이라고 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선체 외에 다른 요인으로 보지 않는다는 즉 천안함은 함정 자체의 문제라는 이야기지요
즉 함정 내부 폭발이나 좌초로 인한 침몰이라는 이야기이고 사실상 이것이 지금까지 드러난 모든 정황에 가장 들어맞는 시나리오입니다
합조단 발표를 포함한 어떤 시나리오도 허점이 많습니다
그러나 선체 노후로 인한 좌초가 그래도 가장 합리적이고 모든 상황에 맞아 떨어지는 시나리오입니다.
1. 견시병의 목격담
2. 함장의 지휘나 좌초 보고
3. 해경의 구난활동이 좌초로 보고받고 시작했고 활동역시 그에 준한 활동
4. 당시 인근 해역이나 합참의 대응태도 역시 기습공격에 대한 대응이 아니라 좌초에 준한 대응
5. 선체 스크류의 모양
6. 사망한 장병들의 시신형태등
7. 기타등등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