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게시판
글 수 20,961
아직 민주당을 포기하지않고 (그래도...미워도 내새끼 마음....)
아크로내의 '민주당에 애증' 이 있는 분들에게 질문입니다
민주당은 진보와 좌파적인 정책들을 추구해야 할까요
아니면 온건보수 중도우파적인 정책을 펼쳐야 할까요
그리고 집안내에서 배다른 동생 "친노"와의 재산다툼;;;
'내새끼' 민주당은 스탠스가 항상 흔들려서 고민입니다 어찌해야 될지...
그래도 부모의 마음이라는것이 있을터인데 '못난자식' 민주당 이놈들이 미래앞길 못찾는것에 대한 걱정은 당연하겠지요 ~
Tweet
아크로내의 '민주당에 애증' 이 있는 분들에게 질문입니다
민주당은 진보와 좌파적인 정책들을 추구해야 할까요
아니면 온건보수 중도우파적인 정책을 펼쳐야 할까요
그리고 집안내에서 배다른 동생 "친노"와의 재산다툼;;;
'내새끼' 민주당은 스탠스가 항상 흔들려서 고민입니다 어찌해야 될지...
그래도 부모의 마음이라는것이 있을터인데 '못난자식' 민주당 이놈들이 미래앞길 못찾는것에 대한 걱정은 당연하겠지요 ~

仲尼再生 " 夜 의 走筆 " 취임사
저를 아크로 주필로 추천하시는 회원여러분의 글을 읽고, 오늘 본인은 본인의 향후 거취를 놓고 깊이 망설이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프루스트의 '가지 않은 길'을 끝없이 되뇌며, 다수 회원의 요청대로 아크로 "밤의 주필" 직을 기꺼이 수락하기로 결심했던 것입니다. 내 일신의 안녕 만을 위한다면 봉급 한 푼 못 받는 이 명예직을 수락할 수 없었겠지만, 이미 공인 아닌 공인이 된 몸으로서 이 위기의 시대에 역사가 제 어깨에 지운 이 짐을 떠맡기로, 본인은 이 아름다운 밤 위대한 결단을 내렸던 것입니다.
2013.01.18 23:15:14
밤의주필님/민주당은 보수 맞아요. 단지 지리적으로 왼쪽, 오른쪽 나뉘었고 '진보를 탄압하기 위한 기제'로 민주당=진보=빨갱이=DJ라고 인식시킨 것이죠. 민주당이 진보라니요....... ㅋㅋㅋ
2013.01.18 23:19:04
상대적으로 누가 좀 더 좌/우에 가깝냐는 차이겠지요. 거리차이는 크지 않아 보입니다. 다른 복지국가들을 보면... 한국은 상대적으로 우쪽이긴 하지요.
2013.01.19 00:05:10
민주당은 정책 실천의지가 부족하다. 말바꾸기 한다는 인식이 더 큰 문제라고 봅니다. 정권을 맡기기에 불안하다는 거에요.
매번 선거때 정책 실천의지도 담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중도로 좌로 우로 갈피를 못잡고 선거 질질 끌려다니다가
선거패배후 사실 중도로 갔어야했다란 사후약방문만 늘어놓는거죠.
매번 선거때 정책 실천의지도 담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중도로 좌로 우로 갈피를 못잡고 선거 질질 끌려다니다가
선거패배후 사실 중도로 갔어야했다란 사후약방문만 늘어놓는거죠.
2013.01.19 00:08:58
이무기님/그게 바로 조중동 프레임입니다. 물론, 친노를 포함시키면 님의 말씀이 100% 맞습니다만(그래서 제가 뭔죄인 일당이 무능하다는 것입니다만) 통합 전의 민주당은 개혁법안 많이 제출했습니다. 단, 그런 사실이 노컷뉴스에만 보도되고 하다 못해 한걸레에서도 보도가 안되어서... 맨날 민주당(통합 전의)은 새누리당과 멱살 잡고 쌈박질만 하는 정당으로 인식된거죠.
솔까말, 뭔죄인은 이런 편파적이고 변태적인 언론 토양에서 자란 독버섯 같은 정치인에 불과하죠. 국민이 바라는 정치인이 아니라 '정치공학적으로 탄생한 후보'
2013.01.19 00:17:14
새누리당에 비해 상대적 진보로 분류되지만 동시에 좌파정당과 같이 묶여 인식되지는 않는 스펙트럼을 유지해야죠. 굳이 말하자면 중도.. 인데 그것보다 중요한건 유능한 정당으로 사람들에게 보이게끔 만들어가는거죠.
2013.01.19 01:09:43
편의상 진보, 보수라고 구분하여 쓰지만 이는 상대적인 개념에 불과하기에 이 개념을 정책방향의 기준으로 정하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입장에서 보면, 과거 공산국가에서의 집권 공산당은 명백한 진보성향이지만, 그들 나라에선 이 집권 공산당은 보수정당인 셈이었을 것입니다. 이를 반대한 정당이 진보정당인 것이죠.
따라서 특정의 정당이 이념적 목표를 설정함에 있어 진보냐 보수냐하는 것은 우주 공간에서 위 아래를 따지는 것과 다를 바 없을 것이라 봅니다.
앞으론 안보, 경제 등 몇가지 정책 분야에 대한 구체적인 시행방안을 통해 판단하는 것이 좋을 듯 하네요.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