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게시판
글 수 20,669
돌아오지 않는 다리가 있다. 판문점 가는 길에 있는데, 일반인들은 임진각에서 멀리 구경할 수 있을 뿐이다. 이 다리를 건너 북한으로 가면 다시는 남한으로 되돌아 올 수 없기에 그런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일종의 미늘톱니(ratchet)같은 것이다.
Tweet
땅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도 돌아오지 않는 다리가 있다. 예컨대 어미 뱃속에서 한 번 나와 버리면 도로 태아가 될 수는 없는 노릇이다. 학교 졸업했으면 다시 그 학생이 될 수 없음도 마찬가지이다.
인간의 몸뚱이만 그런 것이 아니라 마음 또한 그러하다.
좌파이다가 우파가 되는 경우는 있어도, 우파이다가 좌파가 되는 경우란 없다. 만에 하나 있다면 우리는 이것을 "치매" 혹은 "약(藥) 빨았다"고 부른다.
우파(右派) vs 좌파(左派)
부유(富裕) vs 빈곤(貧困)
이 둘을 결합하면 네 종류의 인간이 나온다.
(4% 인중인(人中人), 16% 인중민(人中民), 16% 민중인(民中人), 64% 민중민(民中民)이라는 네 종류와도 어느 정도 통한다.)
제1: 부유 좌파 (富裕 左派) (브라만에 해당)
제2: 부유 우파 (富裕 右派) (크샤트리아에 해당)
제3: 빈곤 우파 (貧困 右派) (바이샤에 해당)
제4: 빈곤 좌파 (貧困 左派) (수드라에 해당)
어차피 정권은 (1)의 손에서 (2)의 손으로, 다시 (2)의 손에서 (1)의 손으로 오간다. 혁명이라도 일어나면 (3)이나 (4) 출신이 잡기도 하는데, 잡는 즉시 (1)이나 (2)가 되니 별 다를 것도 없다.
문제는 이 둘의 정치 행태가 판이하다는 점이다.
(1)이 정권을 잡았을 때, 이들은 최대한 (4)의 숫자를 늘리려고 노력한다. 돌아오지 않는 다리 이론에도 불구하고 (3) → (4) 전환까지 시도한다. 집값을 올리고, 실업률을 올리고, 의료비를 올리고, 세금을 올리고, 식료품값과 밥값을 올리고, 빈부 격차를 올리고... 그래야 자기네들이 영구 집권 할 수 있다고 믿는다. 실제로 김일성-김정일-김정은 삼대까지는 성공하였다.
(2)가 정권을 잡았을 때, 이들은 최대한 (4)의 숫자를 줄이려고 노력한다. (4)를 (3)으로 만들려 시도하는데, 그 방법은 (1)의 행태의 정반대, 거울 상이다. 물론 이것이 뭐 (4)가 예뻐서는 아니다. 다 자기네들 영구 집권을 위한 계략이다.
좌우파 각각의 계략은 그렇다치고, 대관절 (4)에게는 (1)이 도움이 되는 존재인가, (2)가 도움이 되는 존재인가? (4)로 사는 게 과연 행복할 수 있는 일인가? 누군들 (4)로 영원히 살고 싶겠나? 빈곤 탈출을 하려면 (1)을 골라야 하는가, (2)를 골라야 하는가?
지구인들의 어리석음이 서글프다. (4)에게 (1)이란 알고 보면 날강도같고 기생충같은 사기꾼 놈들인데; 이런 놈들을 은인으로, 스승으로, 지도자로, 애국자로 잘못 알고 무조건 선거에서 찍어주니 말이다.
2019-12-21
2019.12.21 22:29:05
'돌아오지 못하는 다리'가 일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의 모든 다리는 한번 건너면 다시는 돌아오지 못한다는 것이 맞음. 잠시 후에 그 다리로 돌아오려 한다고 해도 이미 시간이 흘렀으므로 그때와 같은 다리는 아니기 때문에...
"만물은 유전한다(Panta rei). 우리는 동일한 강물에 두번 들어갈 수 없다" (헤라클레이토스)
엔트로피(entropy) : 열역학적 계의 유용하지 않은 (일로 변환할 수 없는) 에너지의 흐름을 설명할 때 이용되는 상태 함수. 열역학 제2법칙에 따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한다.
"좌파이다가 우파가 되는 경우는 있어도, 우파이다가 좌파가 되는 경우란 없다." ?????
결국 좌파보다 우파가 엔트로피가 높다는 뜻이니 좌파에 대한 이 이상의 찬사는 없다고 할 수 있군... ^^
2020.01.06 16:05:10
사실과 다름.
좌파니 우파니 그루핑하는 기준도 지극히 유동적이려니와
유동적이기 까지 한 기준을 미시적으로 쪼개면 순간의 성정의 발현도 그루핑으로 포섭할 수 있을 터...
한 노년이 시간이 아까워 평소와 달리 그것의 진행을 풀가동해서 재촉하는 경우는 좌파라 할 수 있으니... 이 경우는 치매가 아니라 유한이라는 절실한 자각을 토대로 한 적응인지라....
그리고
본디 가진자가 대개 수구보수적인데 브라만을 부유우파라고 해야 하지 않우? 크샤트리아를 부유좌파라고 하고... 그들은 드높은 곳을 향하는 권력의지가 있을터이니까...
게다가 바이샤는 인도에선 평민도 아닌 천민인데 조금 무리한 그루핑 아니겠수?
기실 인간의 분류는 참으로 난해한지라... 사회 분류도 마찬가지고...
현대 심리학이 모래위에 지은 집이라서 더욱...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