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게시판
1. 어떤 사람들은 녹조 현상과 유속이 상관관계가 있다고 주장하고,
또 어떤 사람들은 상관관계가 없다고 주장한다.
2. 이게 참 알쏭달쏭 애매한 문제다.
과속과 교통사고는 상관관계가 있을까, 없을까?
3. 물이 많으면, 모아 놓은 영양염류가 많으니, 그만큼 녹조 현상이 더 많이 생길 듯하다.
물이 많으면, 모아 놓은 물이 많으니, 그만큼 온도가 덜 올라서 녹조 현상이 약화될 듯하다.
어느 쪽의 영향이 더 우세할까?
4. 물이 빠르게 흐른다면, 영양염류가 하류로 더 빨리 내려가니, 눈에 보이는 녹조 현상이 덜할 듯하다.
물이 느리게 흐르거나 거의 정체 상태라면, 영양염류가 그대로이니, 눈에 보이는 녹조 현상이 더할 듯하다.
그런데 이걸 '상관관계가 있다'고 표현하는 게 맞는 걸까, 틀리는 걸까?
이런 답변 댓글도 있습니다.
민주통합당의 장하나 의원은 8월 10일 녹조와 관련하여 2011년 환경부가 작성한 ‘함안보 수역 조류 발생 대응방안’이라는 회의문서를 공개하였다. 이 문서를 보면 “4대강 사업 이후 하천 형상이 호소형으로 변형되었다. 낙동강 하류는 호소보다 영양염류의 농도가 3배 이상 높은 실정이며 고수온기에 일부 구간에서 정체수역이 생길 경우 남조류 발생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한편, 댓글 답변에 보면, 한강의 경우를 들어서 체류 시간이 녹조 발생과 무관하다는 반론이 나옵니다. 유속이 관련이 있다는 주장에 대한 반증이지요. 그래서 저는 아직 알쏭달쏭합니다... 혹시 다른 원인이 관련된 것이 아닐까 의심도 하고요...
검색해 보니, 남조류가 번식하는 속도가 좋은 조건에서는 2일에 한 번 꼴이라고 하네요... 신문 기사라서 함부로 믿을 수가 없지만서도..
https://news.joins.com/article/21876848
이렇게 한 번 사고 실험을 해 보겠습니다. 어떤 오류가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실험실 수조에서 영양염류를 넣어서 남조류를 키우면, 1일마다 한 번씩 번식합니다.(가정입니다.)
1일 1마리, 2일 2마리, 3일 4마리, 4일 8마리, .....
이 상태로 180일간 계속 번식하면, 어쩌면 지구를 다 덮을 분량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 ㅋㅋㅋ
하지만 영양염류가 제한되고, 햇빛이 제한되므로, 어느 순간이 되면 한계치에 도달할 것입니다.
2. 낙동강 수원지에서 남조류 1마리가 빗물에 섞여서 강으로 유입됩니다. (낙동강보가 없었던 시절)
영양염류가 제한이 없고, 햇빛이 매일 내려 쬔다는 전제하에
1일 1마리, 2일 2마리, 3일 4마리, 4일 8마리, ..... 13일에는 4096마리, 14일 바다로 유입(18일에 바다로 유입될 수도 있습니다. 제 기억이 불확실해서....)
3. 낙동강 수원지에서 남조류 1마리가 빗물에 섞여서 강으로 유입됩니다. (낙동강보가 만들어진 이후)
영양염류가 제한이 없고, 햇빛이 매일 내려 쬔다는 전제하에
1일 1마리, 2일 2마리, 3일 4마리, 4일 8마리, ...... 180일에는 음,.... 이건 실제로 측정하는 것 외에는 결과를 알 수가 없겠네요.
이 사고 실험의 결과로 보아서 '체류 시간'(유속)이 녹조 현상과 관련이 있을 듯합니다.
녹조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한강의 수수께끼는 추가로 풀어야 할 수수께끼이고요....
저는 남조류에 대해서도 문외한인데요, 문득 이런 생각이 떠오르더군요.
'사람의 경우 2차 성징이 나타나야 비로소 임신이 가능하죠.. 그렇다면 남조류도 이와 유사한 시간 조건이 있는 게 아닐까요?'
영양염류가 있다고 해서, 햇빛이 있다고 해서, 온도가 높다고 해서 바로 번식을 시작하는 게 아니라, 어떤 조건이 더 충족되어야 번식을 시작하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양파의 세포 분열을 관찰할 때, 모든 세포가 동시에 분열하는 게 아닌 것처럼 말이죠....
소양강 물의 경우는 영양염류 공급이 적어서 그렇다고 치고,
서울 도심을 흐르는 한강에 1억 톤의 물이 갇혀 있다시피 하는데, 왜 녹조가 발생하지 않을까? 유속으로는 설명이 안 되겠죠. 그렇다면 영양염류나 수온이나 햇빛으로 설명해야 할 것입니다. 제가 추측하기로는 강물이 워낙 더러워서 햇빛이 부족한 게 아닐까 싶습니다.....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