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게시판
글 수 20,655
생전의 김일성이는 상당히 명석한 두뇌를 가지고 있으나 조숙하게 항일 운동에 뛰어드느라 배움이 깊지 못하다고 알려져 있었다. 그 결과 복잡한 사안을 단순 명료하게 통찰하고, 현학적이고 난삽한 어휘대신 일상 용어로 상황을 요약 설명하는 재주가 있기로 유명하였다. 박노해의 용어를 빌자면 "현장 지성"이 투철하였다는 것인데, 남조선 적화 통일을 위한 혁명 이론에서도 그의 이러한 장점이 십분 발휘되는 바가 있다.
그의 혁명 이론의 골자는 "중심 고리 이론"과 "갓끈 이론"이라 말할 수 있다.
<중심 고리 이론>이란 여러 개의 열쇠가 하나의 고리에 의하여 묶여 꾸러미를 이루고 있을 경우, 그 중심이 되는 고리만 깨부수면 열쇠들이 각자 뿔뿔히 흩어지게 마련이라는 지극히 상식적인 이야기이었다. 가령 노부모가 생존하면 노부모라는 중심 고리에 의하여 형제간 만남이 유지되지만, 노부모가 다 사망하고 나서 상속 재산 나누고 나면 형제자매간도 만날 일이 그리 생기지 않거나, 심하면 원수가 됨과 같다. 그처럼 미제국주의가 동아시아에서 일본, 남한, 대만 남베트남, 필리핀등을 아우르며 반공 연합 전선을 구축하고 있으나, 미제만 동아시아에서 쫓아내면 나머지 속국들은 중심 고리를 잃었으므로 각개 격파가 가능하다는 것이었다.
<갓끈 이론>은 남한과 관련한 이론으로서, 남조선 괴뢰정권이 조선반도 남쪽땅에 마치 맞지 않는 갓처럼 얹혀져 있는데, 이 갓이 미국이라는 끈과 일본이라는 끈, 이 두 끈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두 끈중 어느 하나만이라도 끊어내면 갓이 인민들의 혁명 열기가 불러 일으키는 바람에 날려 순식간에 땅에 쳐박혀 구른다는 이론이었다.
동서 냉전 시대에 만들어진 위 이론의 현주소를 보자면, 현실적으로 세계 최강대국인 미제를 동아시아에서 몰아냄은 물 건너간 이야기가 되었고, 미제라는 갓끈을 끊어냄 또한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런즉 현실적으로 가능한 작전이란 약한 곳을 집중 공략한다는 것이 될 수밖에 없고, 가장 약한 고리란 바로 남한-일본 관계일 수밖에 없다. 일본이라는 다른 갓끈만 끊어내도 남조선 괴뢰정권은 휙 날아간다는 것이 김일성 주장이었으니, 김일성 주장은 곧 구약성서요, 신약성서요, 탈무드요, 코란이요, 황제내경이요, 동의보감이므로.
남한 빨갱이들이 지난 수십 년에 걸쳐 반일 선전 선동으로 날밤을 지새온 연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러니 일본으로 하여금 남한을 역겹게 여기도록 만들고, 남한으로 하여금 일본에 분개하게끔 만드는, 한일간을 이간질 시키는 대법원의 판결이란 정은이의 복심 재인이로서는 결단코 잃을 수 없는 천재일우의 기회라 아니 할 수 없을 터. 가사 본회원이 정은이나 재인이라 할지라도 이 판결을 위하여 전심전력을 다할 것이라 장담할 수 있다.
(※ 徵이 "부를 징"이다. 강제징발, 강제징병, 강제징수라는 말은 없다. "徵"이 원래 강제이다. 그러므로 강제징용이라는 말도 없다.)
2018.10.31 01:52:46
이건 충분히 있을 수 있는 법리싸움으로 보여요. 일본정부가 식민지배피해보상을 박정희에게 수억불 지불한 것으로 거래는 끝났다고 보는 거랑 피해를 당한 직원이 일개 일본회사에게 배상을 요구하는 거랑 그게 그거인 거냐 회사가 배상을 하는 것이 마땅하냐의 차이인데 원래 법이란 게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잖아요. 일본회사에 배상을 요구한 판결에 대해 일본"정부"가 나서서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하겠다고 하면 끝까지 가보는 거죠.
https://news.v.daum.net/v/20181029185248505 링크는 식민피해가 아닌 침략전쟁피해에 대해 그리스가 독일에 375조원에 달하는 배상액을 요구하겠다는 내용인데 독일은 "1960년에 1억1500만 마르크(현재 시세 약 3000억원)를 전쟁배상비로 그리스 정부에 지급했다며, 현재는 2차 세계대전 배상과 관련해서 어떤 계획도 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고 하네요.
식민피해국으로서 가능한 판결이라 보는데 이보다는 방탄이 원자폭탄투하이미지가 박힌 티셔츠를 입은 게 아마 한일관계에 끼치는 나쁜영향이 더 크지 않을까 싶어요.
(수정) 현 극우정권인 일본국가가 공식적으로는 식민지배에 대한 배상을 한 적은 없고 박정희 때 '경제협력지원금', '독립축하금'의 성격으로 지불한 것일 뿐이므로 배상은 영영 없을 것이라고 주장한다고 해요. 식민지배에 대해 배상한 다른 제국주의국가가 없기 때문에 그런 기조가 유리해서 그렇게 주장하는 건가요? 이에 대해 일본 리버럴과 한국은 식민지배에 대한 배상이 맞다고 하는 거구요. 아니 그럼 배상이 끝났다가 돼서 저 판결이 의미가 없어지나요. 그건 잘 모르겠음.
하나 더, '강제징용'이라는 말은 없다고 하셨는데 전쟁을 위한 징용은 본디 강제적인 성격을 띠지만 나라가 개인을 강제로 사기업에 집어놓고 노동착취하는 건 강제징용이 맞잖아요.
2018.10.31 07:12:15
저 배상은 신일본제철이 할 일이 아니라, 남한 정부가 해야 할 일입니다. 다 퉁쳐서 옛날에 이미 일본 정부로부터 받아냈으니까요. 그런데 남한 정부에 대한 배상 소송의 판례는 소멸 시효가 완성되었다는 각하로 알고 있습니다. 기각도 아니고 각하이었으니, 남한 사법부의 비겁함은 의구합니다.
노동착취라는 말도 이상한 것이, 당시 조선의 공식 실업률 통계가 있겠지만, 농촌에 만연해 있는 잠재적 실업을 고려해 본다면 실제 실업률이 7~8할은 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그 사람들 집에서 쌀 축내며 노는 것보다 탄광에서라도 일하게 해주었으면 '서로' 가치있는 일이었겠습니다. 믿어지지 않겠지만, 그저 밥만 먹여주고 잠만 재워주어도 감지덕지이던 시절이 그리 오래지 않습니다.
2018.10.31 08:51:14
https://news.joins.com/article/23077788
참여정부 당시 이미 그런 결정이 났었군요. 제가 알기로도 강제징용피해자에 대한 한일간 합의는 완성됐고 노무현정부가 이미 강제징용 개인피해자들에 대한 보상은 한국정부의 도의적 책임하에 있다고 인정, 10만 명 안되는 피해자들에게 5500억원 넘는 자금을 전달했어요. 다만 일본군 위안부, 사할린 동포, 원폭피해자에 대한 청구권은 해결 안 된 거라고 노통정부가 주장했다고 기사에 나와 있군요. 요 문제에 한해서는 정권 바뀔 때마다 말바뀌는 게 일본측으로선 기가찰 수도 있겠네요.
http://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3233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377442
2018.10.31 09:58:50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006172257195&code=940301&s_code=ah207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유족들이 정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청구 소송에서 패소했다. 유족들은 정부가 1965년 체결한 한일협정 때문에 일본에 직접 손해배상 등을 청구할 수 없게 됐다며 소송을 냈지만 법원은 협정의 타당성을 인정해야 한다고 봤다. 유족들이 일본 정부와 국내 기업을 상대로 낸 소송은 있었지만, 한국 정부에 책임을 묻는 소송을 제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같은 사안을 두고도 2010년에는 한일협정으로 이미 끝났다던 게 2018년에는 일본기업이 배상해야한다로 뒤바뀌었어요. 배상을 해야한다 말아야한다를 논하기 이전에 법이란 게 결국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인 게 뭔가 우습네요. 하나만 하자. 이 때는 이명박정부 시절이지만 참여정부도 입장은 마찬가지였을 거예요. 참여정부 당시 일제강제징역피해자진상규명을 통해 강제징역 피해자들에게 보상을 적극적으로 시도한 건 순전히 "도의적"인 거였어요. 일본이 꾸역꾸역 '배상금'이라는 표현을 회피하고 '위로금'이나 '도의적'이라는 언어로 식민지피해문제에 대처하는 모습이랑 한국정부가 개인피해자더러 박정희가 일본으로부터 받은 자금을 가지고 국가기간산업에 몰빵하고 피해자들을 외면한 것에 대해 협정이 타당하다며 정부는 책임없다고 내빼는 게 좀 닮았네요.

2018.10.31 10:43:23
근데 문재인정부가 반일민족주의성향인 건 자신들의 무능을 감추기에 좋기 때문이거나 야당시절 무능을 감추기 위해 곧잘 써먹던 레토릭을 급작스럽게 뒤집기 겸연쩍어 이중플레이 하는 거지 '위대하신 수령님'의 뜻을 받드는 건 아니져. 우주 님 무난하게 가시다 엽기적인 말씀 넘넘 잘 하심.
2018.11.01 10:59:36
http://road3.kr/?p=9461&cat=121
이우연님의 글입니다.
우리나라 역사하계는 언제 역사를 사실에 입각해 바라보는 양심적인 역사학자들이 지배하게 될까요?
사실을 이야기하면 친일매국노로 매도하는 현실. 불편한 진실을 마주하기에는 우리 사회가 아직 덜 성숙한 것일까요?
2018.11.01 11:26:55
이영훈 씨의 유툽영상을 보면 일본인과 조선인 사이에 임금차별은 있었어요. 드라마틱하게 크지는 않았어요. 좀 불편한 건, 일본제국주의의 피해자는 식민지 조선 뿐만이 아니에요. 일본자국민들도 국가권력의 희생자이기도 했는데 읽다 만 논문에 의하면 전쟁에 패하고 해외의 일본군이 후퇴하면서 현지에 남아있던 일본자국민의 안위는 신경도 안 써줬어요. 일본제국주의는 그들을 가차없이 버린 것과 다름없죠. (이 논문은 조선의 일본인에 관한 것이 아니고 만주던가 여튼 다른 나라의 일본인처우에 관한 거였어요.) 그런 일본이 조선인들에게 잘해줘봤자 얼마나 잘해줬겠나요. 당시 조선인들의 "진짜" 삶을 이해하려면 데이타도 중요하지만 숫자만 보고 간과하기 쉬운 서사를 이해하기 위해 일본군국주의가 해외의 자국민을 어떻게 대우했는지 알아보면 좀 답이 나올 걸요.
2018.11.01 11:40:16
미국에서 [남부 제외하고] 인종 차별보다는 영어 차별이 대부분이듯이,
당시에도 일본어 차별이 있었을 것으로 보이며(일본어가 조선어와 비슷하기는 하나 훈독이 발달되어 있어서 아주 거저먹기는 아닙니다.),
일본인 일반과 조선인 일반 사이의 노동 생산성 및 기관 충성도 차이가 종합적으로 반영되었을 거라고 봅니다.
당대의 대일본제국에서 조선인이라면 2등 국민 대접은 받았습니다. 3등, 4등도 있었으니, 그것을 생각하면 아주 억울할 일은 아니었다고 봅니다. 만보산 사건을 보면 알 조이지요.
이러한 등급은 원제국이 (1) 몽골인, (2) 색목인, (3) 고려인, 금인, (4) 남인(남송인)으로 인민들을 나누었듯이, 제국 통치의 초기에는 자주 보이는 현상입니다.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