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게시판
글 수 20,655
18956 Fiat 와 Crypto
19054 Fiat 와 Crypto 그리고 Plastic
지난 글에 이어 씁니다.
Bitcoin 이외에도 1000 가지 이상의 다른 Crypto 들이 있는데요. Altcoin 은 다른 이들을 통틀어 지칭합니다. 사람들이 관심이 많은 Altcoin 으론 Ethereum, Ripple, IOTA, USDT, ... 등이 있습니다. Bitcoin 보다 한참후에 나왔으니 뭔가 Bitcoin 보다 낳은 feature 또는 technology 등이 있겠죠. 많은 투자가들은 제2의 Bitcoin 을 찾고있습니다.
Fiat 와 Crypto 에서 제가 언급했듯이 Blockchain 에 다른 정보들을 붙여서 사용할수도 있다고 했는데요. 그런 예로 smart contract 란게 있습니다. 이름만으론 그게 뭔지 이해하기가 어려운데요. 보통 contract 라면 한번의 결제로 끝나는게 아니라 여러가지 후속 결제가 상황전개에 따라 뒤따르는 일종의 work flow 를 말합니다. Ethereum 이 시작한 이 smart contract 이란 Blockchain 에 script (일종의 컴퓨터 프로그램) 을 첨부하여 자동적으로 work flow 를 실행한답니다. 그리고 Bitcoin 과는 달리 수요의 제한이 명시되지 않았습니다.
Fiat 와 Crypto 그리고 Plastic 에서는 credit card 결제나 PayPal 과 같은 payment gateway 에 비해 Crypto 를 이용한 push style 의 결제에 대해 언급했는데요. 그 예로 Ripple 이란 회사가 발행한 XRP 란 Crypto 가 있습니다. 우연히도 제가 글을쓰고 나서 지난 크리스마스 때 10배가 튀었네요 ... 이로써 Ethereum 을 제치고 시가총액 2위로 올랐는데요 곧 Bitcoin 도 제친다고 보는사람들이 있습니다. XRP 는 다른 Crypto 과는 달리 Ripple 자체가 이미 모든 coin 을 발행하고 관리한답니다. 현재 시가총액으로 보면 창업자인 Chris Larsen 과 Jed McCaleb 은 Google 의 창업자 Larry Page 와 Sergey Brin 보다 부자가 되었답니다. 그들은 XRP 의 결제 뿐만아니라 다른 Crypto 들의 결제 그리고 Fiat 의 결제 까지할수있는 payment network 을 가지고 2012년 부터 은행 카드회사 등에 기술제공과 network 사용등으로 마케팅을 해왔는데요. 카드회사인 American Express, 한국의 신한은행을 포함해 여러나라의 많은 은행들과 계약을 체결한 상태라고합니다. 지금 사람들은 XRP 시가총액이 USD 총 통화량을 추월할지 못할지에관해 speculation 을 할 정도인데요 ...
USDT 는 제가 지난번에 말씀드린것처럼 fiat-back-crypto 인데요. Tether 라는 회사가 발행하면서 그에 해당하는 USD 를 비준합니다. USDT 는 USD 에 약 0.4% 정도 premium 이 붙어 거래되는데요. 보통 한국처럼 non-deliverable Currency 를 사용하는 나라에서 USD 대용으로 사용합니다. USDT 를 많이 보유하더라도 USD 가 아니라서 외환관리법에 위반되지는 않은가본데요 아마 한국정부가 규제를 하려하겠죠. 아니면 외환관리법에 구멍이 나는거니까요.
IOTA 같은것도 특이한데요. IT 산업에 종사하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IoT (Internet of Things) 란게 IT 산업의 next big thing 입니다. 인터넷에 연결된 device 들 끼리 그에 부착된 censor 등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서로 정보교환을 하고 그 정보를 처리하는 인공지능 까지 부착되어 인간사회를 자동화한다는 개념입니다. 현재 교통정보시스템이라던지 실시간 모니터링이 필요한 건강정보라던지 그런데 기술융합이 되어 사용되는데요. IOTA 는 바로 IoT 를 타겟으로 개발한 Crypto 입니다.
그 밖에 여러가지 Altcoin 들이 있는데요. 이들의 가격이 오르는 이유는 뭘까요? 사는사람이 언젠간 더 많은 돈을 주고 살 사람이 있을거란 막연한 투기심에 이들을 산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아크로에 많이 계신데요. 물론 한국 사람들 투기를 좋아하니까 그런 사람들 분명히 있을거라 봅니다. 하지만 그게 전부는 아니죠.
Microsoft 처럼 software 의 코드를 철저히 보안처리하여 노출을 피하고 돈을 받고 파는 경우가 있고요. Free Software Foundation 처럼 코드를 open 하고 사용자들에게 무료로 제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Open source software 라고 하죠. Unix 와 Linux 그리고 그에 딸린 수많은 Software 들이 이에 해당합니다. 그런데 이런 Open source software 들이라고 해서 Software Licence 가 없는게 아닙니다. 그 종류도 다양한데요. 많이 사용되는 것들로 MIT, GPL, LGPL, Apache 등이 있습니다. 이중에 GPL (General Public Licence) 나 LGPL (Lesser General Public License) 등은 copyright 가 아니라 copyleft 라는 신종어를 만들었는데요. 그 의미는 그런 Licence 를 가진 Software 를 누구나 공짜로 사용할 수 있지만 그걸 이용해 다른 Software 를 만들었다면 그것 역시 똑같은 Licence 를 제공해야한다는 뜻입니다. 즉 Open source software 가 되야한다는 말이죠.
Open source software 를 사용하여 상용 software 를 개발 판매할경우 이 제약 때문에 조심해야 하는데요. 예를들어 한국의 한컴이 Ghostscript 라는 postscript 처리하는 open source software 를 돈 안내고 사용하면서 Ghostscript 의 AGPL Licence 를 위반하여 2017년 5월 California 법원에 제소되었습니다. Ghostscript 를 만든 Artifex 란 회사는 한컴에게 수년동안 한컴이 벌어들인 막대한 수익의 일부를 청구했는데요. 미국 연방법원은 Artifex 의 손을 들어줬답니다.
Crypto 들이요 전부다 Open source licence 로 개발되는데요 ... 감 잡으신 분 있으시겠죠 ... Crypto 개발하는 사람들은 Blockchain 에 여러가지 기술을 접목시켜 개발합니다. 만약 그 기능이 채택된다면요 그 가치는 지금 현재 Bitcoin 의 시가 총액을 훨씬 초월할수있다는 계산이죠. 만약 어떤 기관이 Crypto 를 발행할때 그 기능이 벌써 개발된 다른 Crypto 와 동일하다면 다른 Crypto 를 사용하는 방법밖에 없어요. 즉 technology 가 patent 가 된거죠. Bitcoin 의 경우 순수한 Blockchain 이고 MIT licence 라서 patent 로서 가치가 부여된건 아니지만 Ethereum 을 비롯한 많은 경우 copyleft 가 적용됩니다.
Crypto 투자에 관심있으시면 단기 차익에 연연하시지 마시고 그 technology 에 대해 장기적 안목을 가지고 분석해보세요.
2018.01.07 16:00:43
재밌는데 너무너무 어렵고 그런데 또 재밌고 암튼, crypto가 오픈소스 라이센스로 개발돼서 그걸 응용한 다른 crypto로 patent를 걸지 못한다고 해도 XRP 창시자도 그렇고 명목상으로는 엄청난 돈을 긁어모으고 있지 않나요. 오픈소스라 투기라고만 생각하지 않아도 되는 이유가 잘 이해가 안 가요.
2018.01.08 00:02:12
dazzling 님
Bitcoin 은 MIT License 라서 무단복제가능하고 그걸로 다른거 만들어 closed source 할수있는 관대한 Licence 고요. Ethereum 은 GPLversion 3 라서 copyleft 가 적용되기 때문에 Ethereum 을 이용해 다른거 만들면 그 software 는 코드 공개하고 GPLv3 Licence 를 발행해야합니다. Ripple 의 XRP 는 open source 이지만 모든 권리를 원칙적으로 Ripple 이 보유하는 독자적 Licence 라서 Ripple 이 결정하기 나름입니다.
Ripple 은 이미 한정부수 XRP 를 모두 발행한 상태인데 그 일부는 시중에 대부분 나머지는 창업자가 보유하고 있습니다. XRP 는 Ripple 이란 회사의 주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비슷할것 같네요. 주식처럼 시중에서 팔리는 값하고 발행 총량을 곱하여 시가총액을 구하는데요 이렇게 계산했을때 창업주들이 가지고 있는 XRP 전부를 따졌을때 구글의 창업주들이 구글주식 가치보다 높다는거죠. XRP 의 결제확인은 Mining 이 아니고요 때문에 Mining 으로인해 추가로 발행되는 코인도 없습니다.
Chris Larson 은 angel (early stage venture capital) 출신으로 business 감각이 뛰어난 사람같아요. 일찍부터 은행들과 교섭하러 다니고 많은 계약을 체결했는데요. 벌써 5년전에 credit card 를 대체하려고 준비를 많이한것 같아요. 다른 Crypto 들은 주로 nerd 들이하는데 이건 투자전문가와 프로그래머 합작이라 좀 다르겠죠.
예전에 그럴듯한 인터넷 domain 들 미리 다 사놓고 터무니 없는 가격에 팔던 사람들 있었잖아요. 그런식으로 Blockchain 에 기술 접목해서 나중에 그 기술이 꼭 필요한 사람에게 높은 가격에 팔 수있다는 개념인데요. 얼마전에 Bank of England 가 올해 Crypto 발행 준비중이란 기사가 있었고든요. 명색이 중앙은행인게 남들이 다 개발해놔서 Licence fee 내고 Crypto 쓸수는 없잖아요 ... 어짜피 해야할거면 빨리 시작하는게 좋겠죠.
2018.01.08 02:53:57
우와 어렵지만 또 무지 재밌고 동시에 또 무지하게 어렵군요. XRP는 채굴하는 게 아니란 말씀이죠. 글구나. 오픈 소스라도 독자적으로 소유하는 것도 있네요. 글구나. XRP는 송금시간이나 송금비가 되게 빠르고(4초) 저렴하다고 하더라고요. 비트코인은 이체(?)하는 데 한 시간 넘게 걸린다는데 '쯔쯔, 넌 짜져라' 싶었어요. 명색이 전자화폐인데 뭐 그리 오래 걸리나요. XRP가 인기좋은 이유가 나름 있긴 있는 것 같더라고요. 오픈 소스 어쩌고는 그니깐 오픈 소스코드를 이용해 만들었으면 새로운 암호화폐코드도 공개해야 한다는 건데 공개해도 돈 버는 사람은 돈을 버는 거군요. 돈 벌고 싶으면 오픈된 코드로 나도 화폐 하나 만들어버리면 되는 머 그런 건가 봐요.
2018.01.08 00:20:03
알트코인에 대해서 잠깐 공부해볼때 놀랐던게, 알트코인의 수가 생각보다 엄청나게 많다다는 것에 놀랐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들 나름의 기술문서(?)라고 해야 하나, 아무튼 기술적 차이점이나 장점을 기술해놓은 문서를 보다보면 비전문가 입장에서 뭐가 특별한지에 대한 이해는 한정될 수밖에 없더라구요.
덧붙여 따라오는 질문이 이 많은 알트중에 거래소에 상장되는것은 소수일텐데, 상장의 여부를 결정짓는게 무엇일까 하는 궁금증도 생기구요. 관련된 내용을 찾아보면 정량적이지는 않은걸로 보여서 혹시 그런 상장에 어느 부분이 중요한지도 아신다면 그 부분에 대해서 간략하게라도 설명을 들을 수 있으면 감사할것 같네요.
덧붙여 따라오는 질문이 이 많은 알트중에 거래소에 상장되는것은 소수일텐데, 상장의 여부를 결정짓는게 무엇일까 하는 궁금증도 생기구요. 관련된 내용을 찾아보면 정량적이지는 않은걸로 보여서 혹시 그런 상장에 어느 부분이 중요한지도 아신다면 그 부분에 대해서 간략하게라도 설명을 들을 수 있으면 감사할것 같네요.
2018.01.08 08:39:19
안티노님
어려운 질문을 하셨는데요. Crypto 거래소에 증권거래소들 처럼 명확하게 상장조건을 명시한게 아니라서 제가 생각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말씀드립니다.
거래소 입장으로 생각할때 먼저 기술적인 측면으로 Crypto 의 결제가 얼마나 안정적으로 진행되는지, 그 protocol 이 거래소에서 실행가능한지, Crypto 를 다루는 tool 즉 API 에 거래소가 필요로하는 모든 function 이 제공되는지, 등을 확인하고 테스트하겠죠. 그리고 기술적인 문제에 하자가 없다면 거래소의 수익성을 보는데요. 거래소 수익은 체결건수에 비례할테니 인지도가 높은 Crypto 를 우선할거라 생각합니다.
그럼 거래소에 상장된 것들이 blue chips 고 상장이 안되었으면 junk 인가라는 가설을 생각할 수 있는데요. 그게 좀 애매한것 같습니다.
Nasdaq, CME , ICE 등 기존의 대형 거래소들이 시작한게 아니라 Crypto 거래소들 모두 새로 창업한 경우라서 규모가 작습니다. CME 는 시가총액 USD 50B 인데 Crypto 거래소중 거래량이 제일 많은 Gdax 의 경우 여러차례 대규모 funding 을 받았는데도 상장될 경우 가치가 USD 1.6B 정도라고 합니다. 새로 창업하는 경우 USD 1M 정도 funding 받고 시작하는 거래소들도 있습니다. 이런 거래소들이 처음부터 많은 종류의 Altcoin 들을 제공하기는 부담이너무 크겠죠.
지금 거래소들 현황을 보면 여러 tier 가 있는데요.
제일 위에 Gdax, Kraken, Bitstamp, itBit 등에서 Crypto 와 Fiat 을 교환합니다. 하지만 상장된 Altcoin 은 극히 일부분이죠. BTC 와 ETH 의 거래량이 제일 큰 Gdax 에서는 그 둘 이외에 LTC 와 BTH 가 전부이고요 Kraken 과 Bitstamp 는 좀더 많지만 그래도 열개 내외정도입니다.
그 밑에는 Fiat 없이 BTC, ETH, USDT 등과 다른 Altcoin 을 교환하는 거래소들이 있는데요. Fiat 가 없어 거래소 여는데 필요한 조건이 훨씬 적다고 합니다. 순수 투자자들 경우 매수가 일방적으로 많기 때문에 어느정도 물량을 확보할 능력이 있어야 되는데요. 1400개나 되는걸 다 제공할순 없고요. 또 infra 에 드는 비용도 그에 비례하니까 더더욱 종류를 제한할꺼구요. 그래서 다른 거래소들과 공생하기 위해 잘 알려지지 않은 Altcoin 들은 적당히 나눈거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러다가 벌써 System 이 포화상태가되어 종목확장은 커녕 추가가입도 제한적이죠.
중국의 Binance 거래소도 처음엔 하루에 하나씩 추가하겠다고 하더니 이제는 가입도 안되요.
물론 나름대로 성장할수있는 Altcoin 들을 골랐다고 하지만 현재시점에서 특정 거래소에 상장되었다고 꼭 우량 Altcoin 들이라고 보기도 어렵고 상장이 안되었다고 나쁘다고 볼 수없는게 이 포화상태가 순식간에 일어났고 아직도 새로운 Crypto 들이 개발되고있는 중이기 때문입니다.
coinmarketcap.com 에는 약 1400 개의 Crypto 들을 시가총액 순으로 정리해놓았는데요 그걸 다 합하면 Toronto stock exchange 와 비슷하다고 하거든요. 근데 지금 거래소들이 Toronto stock exchange 의 infra 에 비교하면 너무 작은거죠. 올해 Deutsche Bank 가 투자하여 유럽에 대형 Crypto Exchange 가 생긴다는 루머가 있었는데요. 아마 그렇게 되면 더 많은 종류의 Altcoin 들이 빛을보고 전체적으로 또한번 가격이 상향조정되겠죠.
2018.01.08 20:46:23
albina님
답변 감사합니다. 역시 아직은 좀 부족한, 그리고 규정의 영역이라기 보다는 임의적으로 선택되는 부분이 있는것 같네요. 시장이 초기(?)라는걸 생각하면 당연한 일이긴 합니다.
사실제가 저게 궁금했던것이 albina님 처럼 어디서 어떤 권리가 파생된다. 라는 구체적인 생각 없이. 어쨋든 소프트 웨어이니 장기적인 안목 혹은 선호로 크립토를 보유 하려면 해당 크립토의 기능 구현이 정말로 최초인가? 부분이 가장 중요할것 같다는 막연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궁금했거든요.
만약에 어떤 거래소든 해당 거래소에 상장된 크립토에 대해서는 해당 크립토가 기술을 구현한 방식이 다른 어떤 크립토의 구현 방식과 법적인 충돌을 일으키지 않는다고 한다는 보장을 거래소가 하는가? 아닌가가 중요하고, 만약 그런 보장을 한다면 정말로 보장할 자산이 있는가? 부분도 중요하다고 생각을 해서 질문을 드렸습니다. 사실상 거래소가 변리사의 역활을 해주길 기대한 건데, 제가 거래소들을 보면 그럴 능력이 부족한게 아닌가 싶더라구요.
흥미로운 크립토를 보면, 나름대로 상상할 수 있는 영어 표현으로 소스 커뮤니티들에 검색을 해보긴 하는데 당연히 제가 놓치는것이 더 많을 테니까요. albina님은 개인적으로 지금의 거래소가 상장된 크립토에 대해서 구현기능에 대한 독점성을 판단하는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된다고 생각하시나요? 질문만 드려서 죄송합니다만 아직은 독학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경로가 다양하지 않다보니 질문만 드리게 되네요. 엄밀하지 않은 수준이라도 간단하게 개인적 평가 수준에서라도 답변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역시 아직은 좀 부족한, 그리고 규정의 영역이라기 보다는 임의적으로 선택되는 부분이 있는것 같네요. 시장이 초기(?)라는걸 생각하면 당연한 일이긴 합니다.
사실제가 저게 궁금했던것이 albina님 처럼 어디서 어떤 권리가 파생된다. 라는 구체적인 생각 없이. 어쨋든 소프트 웨어이니 장기적인 안목 혹은 선호로 크립토를 보유 하려면 해당 크립토의 기능 구현이 정말로 최초인가? 부분이 가장 중요할것 같다는 막연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궁금했거든요.
만약에 어떤 거래소든 해당 거래소에 상장된 크립토에 대해서는 해당 크립토가 기술을 구현한 방식이 다른 어떤 크립토의 구현 방식과 법적인 충돌을 일으키지 않는다고 한다는 보장을 거래소가 하는가? 아닌가가 중요하고, 만약 그런 보장을 한다면 정말로 보장할 자산이 있는가? 부분도 중요하다고 생각을 해서 질문을 드렸습니다. 사실상 거래소가 변리사의 역활을 해주길 기대한 건데, 제가 거래소들을 보면 그럴 능력이 부족한게 아닌가 싶더라구요.
흥미로운 크립토를 보면, 나름대로 상상할 수 있는 영어 표현으로 소스 커뮤니티들에 검색을 해보긴 하는데 당연히 제가 놓치는것이 더 많을 테니까요. albina님은 개인적으로 지금의 거래소가 상장된 크립토에 대해서 구현기능에 대한 독점성을 판단하는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된다고 생각하시나요? 질문만 드려서 죄송합니다만 아직은 독학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경로가 다양하지 않다보니 질문만 드리게 되네요. 엄밀하지 않은 수준이라도 간단하게 개인적 평가 수준에서라도 답변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2018.01.09 00:03:25
안티노님
먼저 Intellectual Property (IP) 보호에 대한 법적 구속력, 강제성 등에관한건데요.
Open Source Licence 의 대부분은 Free Software Foundation (FSF) 에 등록이 되어있습니다. FSF 는 비영리 재단으로 그 구성원으로 전세계의 거의 모든 대학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부금으로 운영하는데 IRS 기록을 보면 1년 USD 1M 이상의 기부금을 받고 별도로 대학들의 지원도 받는데요 웬만한 Crypto 거래소들 보다 재정이 튼튼합니다. FSF 산하의 Task Force 팀들과 gpl-violations.org 처럼 그들과 제휴하는 독립적인 기관들이 Software 들이 Open Source Licence 에 명시된 조건을 지키는지 monitoring 하고, 법률 상담해주고, 심지어는 제소도 대리해주고 있습니다. 변리사보다 더 많은 일을 해주죠. 더군다나 이들에 참여하는 많은 전문 프로그래머들의 반대편에 있다는것 자체로도 큰 위협이죠. 때문에 그런 Licence 를 가지고 상장한 Crypto 들의 IP 보호를 거래소가 책임지지 않아도 되리라 생각합니다.
위에 예시한것 처럼 한컴-Artifex 의 경우 IP 소유자인 Artifex 가 제소한 경우도 있지만 2009년 Cisco-Linksys 처럼 FSF 가 대리로 제소해 승리한 경우도 있습니다. 미국 뿐만아니라 유럽에도 FSF 의 Task Force 가 있답니다.
두번째로 상장된 Crypto 들의 IP 의 적법성에 관한 내용인데요.
Crypto 개발하는 사람들 이라면 Open Source Licence 를 오래도록 사용한 사람들이라서 그들이 남의 IP 를 도용할 경우 어떤 불이익이 따르는지는 잘 알거라 생각하는데요. 공공의 적이 될 수 있거든요. 물론 개발자의 양심과 pride 가 우선이고요. 때문에 다른 Software 를 사용할 경우 acknowledge 를 해야하고 그 Software Licence 를 준수하지 않고는 절대로 성공할 수 없다고 믿을것 같습니다. 실제로 많은 Altcoin 중 Etheuem 을 이용했다고 명시한것도 있고 다른걸 이용했다고 명시한것도 있고 합니다.
IP 에 관한 모든 일이 마찬가지겠지만 Software 를 개발할때 survey 를 합니다. 비슷한게 있는지. 논문 쓸때나 노래만들때 표절하면 안되듯이 Open Source 라고 표절하면 안되죠.
2018.01.08 10:35:13
애초에 코인이 화폐로써의 가치가 없다는건 나중에 점점 더 확실해 질꺼고 이더리움을 비롯한 다양한 블록체인 접목 코인들의 최종점은 결국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는 사용료를 지불하는데 코인을 활용하는 정도겠죠. 이더리움도 최종단계에서 바라는건 이더리움으 모두에게 골고루 흩어져서 원활한 유통이 되는것 즉 이더리움이 일종의 사용매개체로의 역활을 하길 바라는건데 지금이야 너도 나도 투기를 바라고 코인을 만들겠지만 처음부터 투기가 아닌 최종단계의 유통매개체의 코인을 만드는 사람이 나온다면 지금까지의 코인은 그냥 다 망하는거죠. 누가 그걸 하느냐의 문제일뿐.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