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게시판
글 수 20,653
새벽에 잠이 깨서 더 들지 않는 바람에, 인터넷언론 프레시안을 보다 열 받게 하는 글이 있어 반박 댓글 하나 달았습니다.
Tweet
에효 거기도 소위 달레반들 투성이더군요. 최소한 댓글다는 이들 중에서는요..
박지원은 'DJ의 영혼'을 저버렸나?
http://m.pressian.com/m/m_article.html?no=156602
이글에 대한 제 반박 댓글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야기꺼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 같아 올려 봅니다.
무개념 좌우진영논리에 찌든 글이다. 젊은 기자님인데 왜이러실까? 색깔론 공세와 전 정권에서 후보자 본인이 관여한 사실에 대한 거짓말 여부가 검증대상이라는 것은 구분되어야 하지 않을지? 대북 조치를 북한의 반응을 기준으로 해서 결정하는 것이 과연 온당한가의 문제는 좌우의 문제가 아니라 한 나라의 중요 의사결정 프로세스와 관련한 자존심의 문제 아닌가? 송 전 장관도 이를 지적하고 있는 것이고...
그리고 북한이 분단 대치상황에서 주적이라는 건 통일의 상대방이라는 특수한 지위를 갖는다는 것과 함께 상식 아닌지? 오히려 이에 대해 애매한 답으로 피해 나가는 것은 안보적 현실을 인정하고 그속에서 진전을 얻기 위해 노력하는 자세에 비해 너무도 불성실한 자세 아닌지? 또는 북한에 대해 지나치게 경도된 일부 진보진영 일파로부터 지지를 얻고 유지하기 위한 정치공학이 아닐지?
그리고 북한이 분단 대치상황에서 주적이라는 건 통일의 상대방이라는 특수한 지위를 갖는다는 것과 함께 상식 아닌지? 오히려 이에 대해 애매한 답으로 피해 나가는 것은 안보적 현실을 인정하고 그속에서 진전을 얻기 위해 노력하는 자세에 비해 너무도 불성실한 자세 아닌지? 또는 북한에 대해 지나치게 경도된 일부 진보진영 일파로부터 지지를 얻고 유지하기 위한 정치공학이 아닐지?
2017.04.24 09:32:37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52&aid=0001001380
북한을 주적이라 지정해야 안보가 철저해 지나요? 상식이란게 그렇게 군사적 대치가 심했던 과거가 아니라 1995년도에 생겨서 십년도 못가 사라졌는데 왜 주적에 주적주적 거리는건지 모르겠네요. 우리보다 더 심하게 대치하고 있는 이스라엘도 주변국을 주적이라 지칭하지 않습니다. 이래저래 다 따져봐도 주적은 상식이 아니라 그냥 안보팔이에 불과한 프레임입니다.
2017.04.24 14:05:03
이스라엘이야 휴전중인 상태가 아니니 주적이니 적이니 가릴 이유가 없는거죠. 각각 처한 상황이 다른 나라를 예로 들건 아니라 봅니다.
그리고 원글은 주적이란 표현 보다는 대북 정책을 정하는 절차의 정당성에 관한거니 그 부분에 대해 이야기 하는게 맞을것 같습니다.
2017.04.24 16:02:56
위에 링크 내용을 보시면 국방부 조차 주적과 적의 차이를 명확히 말하지 못합니다. 휴전이 되면 상대국을 주적이라고 하고 아니면 적이라고 한다는 기준도 국방부에서 제시한게 아닙니다. 그리고 주적이라는 개념 자체가 애초에 1995년도에 만들어진 개념입니다. 적화통일의 위협속이서도 북한은 주적이 아니였던 과거에 비해 이제와서 주적을 정한다는게 뒷북인가죠. 이미 6.15 선언이후 주적개념이 의미 없다라여 2004년에 삭제되었습니다. 그걸 이제와서 왜 다시 언급하는지 썩어빠진 안보프레임은 좀 그만 했으면 좋겠네요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