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로 편집실 - 아크로 주요 논쟁 Archive, 좋은 글 다시 보기
글 수 1,331
민주노동당을 지지하던 시절이었습니다.
Tweet
하루는 만주노동당 게시판에 가보았더니 뜬금없는 동성애 찬반 논란 때문에 게시판에 난리가 났더군요.
뭐, 진보 스탠스를 취한다고 동성애를 꼭 옹호하지는 않겠죠. 동성애 찬반을 가지고 보수/진보를 나누는 것이 웃기는 일이지만 동성애에의 터부가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고 진보적 스탠스를 취한다고 모든 사안에서 진보적 스탠스를 취할 수는 없으니 말입니다.
그런데 게시물들을 읽어보다가 경악을 했습니다. 동성애를 반대하는 이유가 '북한에서는 동성애가 없기 때문'이었기 때문이고 이 것이 논란의 시발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동성애를 반대하는 진영은 NL. 반박하는 진영은 PD. 반박하는 PD 진영도 동성애는 뒷전, NL을 공격하는 소재로 활용하는 것 같더군요.
코메디도 이 정도면 국보급이죠. 주체사상? 종교의 자유가 있으니 뭐라할 수 없지요. 그런데 동성애 반대 이유가 '북한에는 없기 때문'이라니요? 북한이라고 없겠습니까? 당시, 당장 개신교 진영에서도 동성애를 엄격처벌하는 북한을 옹호하는 주장들이 나왔었고 그래서 제가 그런 주장을 읽으면서 '거룩함이 지나쳐 거북하기까지 한 국공합작'이라고까지 비야냥 대었는데 말이죠.
더욱 한심한 것은 북한에서 유독 동성애를 엄격하게 금지하는 이유가 중세시대의 기독교가 동성에를 억압한 이유와 같은, 생산량을 증가시킬 인구수 확보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이라는 전근대적인 이유 때문인데 진보를 참징하는 사람들이 '동성애 반대 이유가 바로 북한 떄문'이라니... 그 조야함에 참 뭐라 할 말이 없었습니다.
오래동안 잊어버렸던 민주노동당의 동성애 찬반논란 사건을 떠올린 것은 바로 메갈 사태를 불러 일으킨 정의당의 심상정 때문입니다. 논란의 이유가 너무 후졌기 때문입니다. (메갈에 대한 언급은 이 글에서는 생략하겠습니다.)
심상정에게 메갈 회원들 팬이 꽤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정치적 스탠스의 문제이고 지지층이 천차만별이니 뭐 딱히 시비거리는 되지 않겠죠. 그런데 메갈 사태는 참 이상한 것에서 촉발이 됩니다.
게임업체 넥슨이 '메갈리아' 후원 티셔츠를 입은 자사 게임의 성우를 교체하면서 '메갈리아 티셔스 논란'으로 알려진 사건이 터집니다. 넥슨에서는 해당 성우를 교체했고 그러자 인터넷 상에서는 '여성 혐오를 반대하는 이유가 불이익의 원인이 될 수 없다'라는 옹호론과 '남성혐오를 조장하는 메갈리아를 지지한 행위'라는 비판론이 첨예하게 대립했습니다.
그러자 정의당 문회예술위원회가 뜬금없는 성명을 발표합니다.
"기업의 노동권 침해"
이해 되십니까? 메갈 사태의 원인과는 전혀 관계없는 이 뜬금없는 성명의 내용이? 어쨌든, 이 성명이 발표된 후 정의당 당원들의 항의가 빗발쳤고 그 항의를 진화하기 위해서 당대표 심상정은 해명성명을 냈습니다. 그런데 해명성명은 간단하게 한 문장이면 되었습니다.
"우리는 모든 차별에 반대한다"
그런데 심상정의 참 긴 성명서에는 정작 필요한 문구는 없고 오히려 메갈을 옹호하는듯 한 모호한 내용으로 가득찼습니다. 그러자 분개한 정의당 당원들이 탈당 러시를 합니다. 그 탈당 러시에 위기감을 느낀 노회찬이 진화에 나서면서 비로소 '모든 차별을 반대한다'라는 성명을 냈습니다.
차별이라는 이슈를 가지고 '노동권 침해'라는 생각이 어떻게 떠올려질까요? 민주노동당을 지지하던 시절에 수차례 목도하면서 들었던 '한국 진보의 실력이 이 정도 밖에 안되나?'라는 생각이 다시 떠오르게 되더군요.
한국의 모든 정치적 진영은 왜 다들 이렇게 한심한지 모르겠습니다. 정말 대한민국호가 어떻게 침몰하지 않고 버텨내는지 의아하니 말입니다. 어쨌든, 정의당의 메갈 사태를 지켜보면서 그 메갈 사태를 촉발한 심상정을 한 때 지지했던 입장에서 진작에 손절매하기를 잘했다는 생각이 저절로 들더군요.
백이숙제는 "以暴易暴"를 남겼고 한그루는 "以寂易騷"를 남기고 간다.
2017.02.17 09:25:35
위키릭스님/그 여성분을 보고 형법을 고친 국회의원은 뿌듯했겠습니다. 왜냐하면, 노무현 정권 때 이슈가 되었던 '부부강간' 논란 당시, 부부강간이 법제화는 되지 않았지면 형법의 성폭행 처벌 조항에서 '가해자'를 '남성으로 특정'했던 것을 가해자를 '자연인'으로 고쳤으니까요.
뭐, 여성이 가해자인 성폭행의 경우에는 영국에서 실제 사례를 통한(그 여성은 총을 들고 남성 3명을 성폭행 했습니다.) 거센 논란을 거쳐 이제는 많은 나라에서 성폭행 가해자를 '자연인'으로 규정하니 여성이 성폭행을 하는 것은 특별히 새로울 것도 없죠.
메갈의 문제는 아마 '좆린이'에서 심각하게 보여주지 싶습니다. 남성도 공개적으로 언급 못하는 아동성애 성적 취향을 공개적으로 드러내니 말입니다.
2017.02.20 11:23:34
위키릭스님.그 메갈 대표로 나온 웹툰 작가는 '일베를 포함한 여성혐오 세력에게 악플을 받은 무고한 작가'인 것처럼 포장됐고 그로 인해 자신은 고소를 했다고 뉴스에서는 말했지만, 실제로는 자신에게 공손한 어조로 질문한 사람에게도 "니애미한테 물어봐"같은 말을 서슴없이 했던 사람입니다. 그래서 결국 그 사람이 했던 고소는 제가 아는 바에서는 거의 모두 무혐의 처리됐어요.


JTBC는 이 사건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왜곡 보도를 했습니다.
하여간 저 작가는 한 때 페미니스트들이 '페미닌 전사'라면서 칭송하다가, 결국 지금은 입 씻고 있죠.
- 14696232478f20bc36f0ba40b290803b5f61d6924a__mn641477__w800__h272__f20385__Ym201607.jpg (10.4KB)(11)
- 1469624929456d63ef4ae64415b8e76e9ff61bfa06__mn200104__w425__h492__f60454__Ym201607.jpg (62.4KB)(11)
- 4e330b2638efcaca41cfca3cce6c89b2.jpeg (269.7KB)(9)
- 936e68fee04a9ff72a9b9baea7de0fc3.jpeg (236.5KB)(10)
- a201d362c2f80483fae65e44b0ae3ca3.jpeg (317.8KB)(10)
- b3c636ab9172ec6a1deb47c1025ee595.jpeg (282.4KB)(10)
2017.02.17 02:18:20
(추천:
1 / 0)
심상정은 이번에 대선후보 선언을 했습니다. 만약 끝까지 완주한다면 미워도 다시 한번 해줄 수는 있는데, 또 당원들이 시키지도 않고 원하지도 않는 통합 어쩌고 저쩌고 하면서 중도사퇴하면 앞으로 심상정에 대해서는 일말의 미련도 버리기로 했습니다. 더민주당 (또는 친문) 시다바리는 그만하고 자기 실력을 쌓고 제 갈 길을 가는 진보정당이 되기를 바랍니다.
실상 노동자 탄압했던 일, FTA 추진했던 것, 참여정부때부터 지금까지 삼성과의 커넥션등등을 보면 친문들이나 현재의 586들은 이념적으로 진보라고 부를 수 있는 건덕지가 별로 없습니다. 그런데, 심상정, 노회찬같은 이들이 586, 친문들과 별 거리낌 없이 함께 행동하는 것을 보면 장탄식이 나옵니다.
여러번 말했지만 대한민국의 진보정당이 이 모양 이꼴이 된 이유는 심상정, 노회찬 이런 사람들이 옛 운동권 동료들과 친목질 하느라 히히낙낙하고 다니면서 이렇게 되었다고 봅니다. 이것이 바로 운동권 전체의 한계이고, 진보를 가장한 실상은 보수패권주의자들인 586이 죽은 후에야 대한민국 진보가 다시 태어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2017.02.17 09:51:45
(추천:
1 / 0)
비행소년님/저는 경기도 지사 선거에서 심상정이 유시민과 단일화하는 것을 보고 지지 끊었습니다. 유시민과 단일화해서가 아니라 단일화 자체는 특히 진성당원 체제인 민주노동당 당원들을 기만하는 행위니까요.
2002년 총선에서 비례대표 지지율을 13% 거두었던 민주노동당. 당시 울산만 20% 가까이 득표를 올렸을 뿐 전국에서 골고루 10% 내외의 득표율을 올려서 진도가 양양했죠. 당시 적지 않은 한나라당(현재 새누리당) 지지자들도 '미래의 보험용으로 비례대표는 민주노동당에 투표했다'는 유권자들 많았으니까요.라고 했으니까요.
그래서 10명의 비례대표 당선자를 낸 민주노동당 소속 의원들이 당선된 후 제일 먼저 한 것이 뭔지 아십니까?
바로 선거 전 공약이었던 '직계 및 비계의 재산 공개'를 '직계에 한해서'라고 입장을 바꾸었습니다.
그들이 망한 이유는 제가 민주노동당을 지지하면서 목도한 것에 의하면, 바로 진영논리입니다. 님께서 말씀하신 친목질이 바로 진영논리의 부분 집합이고요.
조선의 역사를 살펴본다면.... 대한민국에서 진보는 구조적으로 탄생할 수 없다고 봅니다. 저는 민족성이라는 표현을 혐오합니다만 굳이 쓰자면 대한민국의 종특이라고 보니까요. 진영논리에 대하여는 나중에 좀 상세히 거론할 날이 있을겁니다.
추천게시판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