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게시판
글 수 20,654
남의 발제글에 계속 댓글달기 그렇고... 보실지 안보실지 몰라서 따로 뺍니다.
비행소년님께서는
<<대략 편의를 위해서 국민연금의 삼성물산, 제일모직 지분을 10%, 5%라고 합시다. 각 회사의 시가 총액을 100씩이라고 합시다. (ISS가 제시한 기준입니다.) 이것을 IS가 말한데로 1:1로 바꾸면 국민연금한테는 전혀 손해가 없습니다. 그런데, 이것을 1:3으로 바꾸면 무슨 일이 생기는가 하면, 바꾸기 전에는 국민연금이 두 회사를 상대로 가진 총자산이 100*0.1 + 100*0.05 = 15 인데, 합병 후에는 100*0.1*2/4 + 100*0.05*6/4 = 12.5 가 되어서 2.5가 내려갑니다.>>
이런식의 해괴한 논리로 국민연금의 가치가 줄어든다는 주장을 하고 계십니다. 국민연금의 합병법인에서의 상대적인 지분변화가 아닌... 단순한 주식수를 계산하고 있습니다. 이게 무슨 의미가 있나요? 합병법인에서 국민연금의 지분이 어떻게 변화하는지가 중요한거죠...
그래서 제가 국민연금의 합병법인에서의 지분율 변화를 맨처음 링크했던 기사 http://www.fnnews.com/news/201701041736313443를 근거로 추정해보았습니다.
합병 직전 국민연금은 삼성물산 지분 11.2%는 물론 제일모직 지분도 4.8%를 갖고 있었다. 금액으로는 삼성물산이 9768억원, 제일모직이 1조399억원으로 오히려 제일모직이 많았다
결과는 이렇습니다. 합병비율 1:0.35일때 합병법인에서 13%의 지분을 갖게 됩니다. 합병비율이 1:1인 경우 지분율은 12.4%로 떨어지구요. 합병비율이 1:0.46일 경우는 12.9% 입니다.
이는 국민연금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지분을 모두 보유하고 있고 제일모직 지분율은 낮지만 금액이 크기 때문에 발생하는 결과 입니다. 비행소년님께서 위에서의 말도 안되는 주장을 좀 철회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비행소년님의 대답을 기다리겠습니다.
액셀자료를 첨부하니 다른 분들도 재미삼아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Tweet
비행소년님께서는
<<대략 편의를 위해서 국민연금의 삼성물산, 제일모직 지분을 10%, 5%라고 합시다. 각 회사의 시가 총액을 100씩이라고 합시다. (ISS가 제시한 기준입니다.) 이것을 IS가 말한데로 1:1로 바꾸면 국민연금한테는 전혀 손해가 없습니다. 그런데, 이것을 1:3으로 바꾸면 무슨 일이 생기는가 하면, 바꾸기 전에는 국민연금이 두 회사를 상대로 가진 총자산이 100*0.1 + 100*0.05 = 15 인데, 합병 후에는 100*0.1*2/4 + 100*0.05*6/4 = 12.5 가 되어서 2.5가 내려갑니다.>>
이런식의 해괴한 논리로 국민연금의 가치가 줄어든다는 주장을 하고 계십니다. 국민연금의 합병법인에서의 상대적인 지분변화가 아닌... 단순한 주식수를 계산하고 있습니다. 이게 무슨 의미가 있나요? 합병법인에서 국민연금의 지분이 어떻게 변화하는지가 중요한거죠...
그래서 제가 국민연금의 합병법인에서의 지분율 변화를 맨처음 링크했던 기사 http://www.fnnews.com/news/201701041736313443를 근거로 추정해보았습니다.
합병 직전 국민연금은 삼성물산 지분 11.2%는 물론 제일모직 지분도 4.8%를 갖고 있었다. 금액으로는 삼성물산이 9768억원, 제일모직이 1조399억원으로 오히려 제일모직이 많았다
결과는 이렇습니다. 합병비율 1:0.35일때 합병법인에서 13%의 지분을 갖게 됩니다. 합병비율이 1:1인 경우 지분율은 12.4%로 떨어지구요. 합병비율이 1:0.46일 경우는 12.9% 입니다.
이는 국민연금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지분을 모두 보유하고 있고 제일모직 지분율은 낮지만 금액이 크기 때문에 발생하는 결과 입니다. 비행소년님께서 위에서의 말도 안되는 주장을 좀 철회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구분 | 보유율 | 연금 보유액(억) | 시가총액(억) | 총주식수 | 국민연금보유주식수 추정 |
삼성물산 | 11.20% | 9,768 | 87,214 | 156,217,764 | 17,496,283 |
제일모직 | 4.80% | 10,399 | 216,646 | 135,000,000 | 18,626,520 |
1. 합병비율 1:0.35일 경우 합병법인에서의 국민연금 지분율 | |||||
총주식수 | 국민연금주식수 | 국민연금지분율 | |||
삼성물산 | 54,676,217 | 6,123,699 | |||
제일모직 | 135,000,000 | 18,626,520 | |||
계 | 189,676,217 | 24,750,219 | 13.0% | ||
2. 합병비율 1:1일 경우 | |||||
총주식수 | 국민연금주식수 | 국민연금지분율 | |||
삼성물산 | 156,217,764 | 17,496,283 | |||
제일모직 | 135,000,000 | 18,626,520 | |||
계 | 291,217,764 | 36,122,804 | 12.4% | ||
3. 합병비율 1:0.46의 경우 | |||||
총주식수 | 국민연금주식수 | 지분율 | |||
삼성물산 | 71,860,171 | 8,048,290 | |||
제일모직 | 135,000,000 | 18,626,520 | |||
계 | 206,860,171 | 26,674,811 | 12.9% |
비행소년님의 대답을 기다리겠습니다.
액셀자료를 첨부하니 다른 분들도 재미삼아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2017.02.08 19:39:30
바스티아님/아래 내가 글타래와 뉴스 캡쳐해서 올려요. 무리겠지만 이해하도록 노력해 보아요. 모르면 모른다고 이야기해요. 그럼 귀찮아도 설명해줄테니까.

2017.02.08 19:42:07
한그루//
제가 쓴 본문이 양쪽 주식을 동시에 가지고 있을때 주주(국민연금)가 취해야 할 전략을 간략히 표로 설명한건데... 이해가 안되나 봐유? 투자금액이 많은 쪽의 주식 가치가 높게 평가되는 것이 무조건 유리한데.......
2017.02.08 19:51:37
바스티아님/푸하하하. 아직도 논점을 이해 못하는가 보네요. 정말 측은합니다. 같은 이야기예요. 비행소년님이 어떻게 답변할지 모르겠지만 아래 좀 보세요.
님은 예로, 도둑질해서 부자가 되어 자선을 하면 훌륭하다는 논리입니다. 그걸 양상논리라고 해요. 이해 안되면 외우세요. 고법 판결 보세요. 국민연금이 삼성물산 주식을 계속 팔았다고 한 것 (이 부분이 비행소년님이 잘못 기술한 것)

그래서 내가 이 이야기를 한겁니다. 그런데 갑툭튀 엑셀로 뭔. 푸하하하. 코메디도 이런 코메디가 없네.

2017.02.09 09:45:20
바스티아님/
경제 부문에 있어 님의 고견을 듣고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님께서 엑셀 파일로 올려주신 것에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문의 드립니다.
국민연금 보유분 제일모직 주식수 계산식을 보면, (연금의 보유액 시가 10,399억원/55,829*100,000,000)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55,829라는 숫자가 어떻게 나온 것이며, 왜 이런 산식이 나오는지 설명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국민연금이 제일모직 주식을 4.8%가지고 있다면 총주식 135,000,000*4.8 = 6,480,000주를 보유하고 있다고 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요? 그런데 님은 18,626,520주를 보유한 것으로 했는데, 이는 13.8%에 해당해 실제 국민연금이 보유한 주식수와 다릅니다.
이에 대해 보충 설명 부탁 드립니다.
경제 부문에 있어 님의 고견을 듣고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님께서 엑셀 파일로 올려주신 것에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문의 드립니다.
국민연금 보유분 제일모직 주식수 계산식을 보면, (연금의 보유액 시가 10,399억원/55,829*100,000,000)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55,829라는 숫자가 어떻게 나온 것이며, 왜 이런 산식이 나오는지 설명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국민연금이 제일모직 주식을 4.8%가지고 있다면 총주식 135,000,000*4.8 = 6,480,000주를 보유하고 있다고 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요? 그런데 님은 18,626,520주를 보유한 것으로 했는데, 이는 13.8%에 해당해 실제 국민연금이 보유한 주식수와 다릅니다.
이에 대해 보충 설명 부탁 드립니다.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