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게시판
요즈음 기자들 하는 짓을 보니 가관도 아닙니다.
일전에는 세계일보 기자가 사실관계도 확인하지도 않고 찌라시에 나온 내용이 사실이라고 단정하는 기사를 써 정국을 소용돌이 치게 했지요. 자신의 보도 때문에 정보를 제공한 경찰(최 경위)는 자살해 죽었는데도 아무 죄책감도 없는 것 같았습니다. 기사를 보도 하기 직전에는 박관천 한테 내일 기사 내보낸다고 카톡을 날리고 서로 킥킥거리는 문자를 주고 받기도 했죠.
몇일 전에는 이완구가 사석의 저녁 자리에서 기자들과 나눈 대화를 한국일보 기자가 몰래 도청해서 녹음파일을 야당 의원에게 건네주고, 그 녹음 파일을 KBS에 보내 KBS가 보도하는 일이 있었지요. 이 기자는 기자정신은 안드로메다에 보내고 생양아치 짓을 서슴치 않고는 그것이 공익을 위한 것인 양 당당해 합니다.
오늘은 현직 부장판사가 익명으로 포털사이트에 올린 글을 문제 삼아 전 언론들이 난리도 아닙니다. 이것들이 제 정신들인가요?
부장판사가 어떤 글을 올렸는지 모두 보지 않아 평가하기 곤란합니다만, 그 내용을 떠나 현직 부장판사가 익명으로 포털 사이트에 글을 올리면 안됩니까? 그 내용이 진보진영이나 야당을 편들면 괜찮고, 여당이나 보수진영의 시각을 보이면 문제가 되나요? 어차피 부장판사 계급장을 떼고 대한민국의 일개 국민으로써, 일개의 네티즌으로 익명으로 글을 쓰는 것이 왜 문제가 됩니까? 자신이 현직 부장판사라는 직위를 이용해 네티즌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려 한 것도 아니고 일개 네티즌 입장에서 자신의 생각을 쓴 것이 무엇이 문제가 됩니까?
양심과 표현의 자유를 그렇게 강조하는 사람들이 다른 진영이나 자신과 다른 입장의 사람들의 양심과 표현의 자유는 없다고 생각하는 것인가요?
이 부분은 유시민이 제대로 이야기하고 있네요. 아래는 유시민의 말입니다.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판사라고 할지라도 익명의 계정에선 마음대로 표현해도 된다. 그걸 어느 신문사가 추적해서 그 아이디 이용자가 현직 판사라는 것을 들춰내지만 않았으면,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수 많은 글 중 하나에 불과한 것이다."
부장판사가 익명으로 쓴 글을 어떻게 그 부장판사가 쓴 것이라고 알았는지가 더 심각한 것이 아닐까요? 어떻게 현직 부장판사의 글인 것을 알았을까요? 갑자기 섬뜩해지기 시작하네요. 인터넷에서 자신의 신상이 보호되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하면 누가 글을 쓸 수 있겠습니까?
이번 사건은 이 자체만으로도 심각한 양심과 표현의 자유 억압으로 작용합니다. 현직 부장판사의 글이라고 기사를 쓴 기자는 어떤 경로나 방법을 통해 부장판사의 글이라는 것을 확인했는지 반드시 밝혀야 하고, 검찰은 이 사건을 단순하게 보지 말고 철저하게 수사해 이런 사태가 다시는 벌어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현직 부장판사가 범죄를 저질러 수사 중에 불가피하게 온라인 사용 내역을 조사하다 그런 글을 발견했다 하더라도 그것은 범좌와 무관하기 때문에 개인의 프라이버시로 보호해 주어야 하는데, 하물며 범죄수사와 관련 없는 상황에서 글을 쓴 사람의 신분을 추적하거나 밝히는 것은 심각한 범죄입니다.
진짜 요즈음 기자들은 생아치 새끼들입니다. 이런 기사를 버젓이 기사화 하고 방송하는 언론들도 양아치이기는 마찬가지이구요.
이완구의 부적절한 발언, 현직 부장판사의 글 내용의 평가와는 이 문제는 별개의 건이고 저는 그것을 두둔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완구의 부적절한 발언이나 현직 부장판사의 글 내용보다는 기자들이 한 행위는 법적으로나 도덕적으로나 심각한 것으로 도저히 용서해서는 안되는 것입니다.
저는 이완구의 부적절한 발언이나 현직 부장판사의 댓글에 대해 옹호하는 것이 아니죠.
기자들에 의해 밝혀진 내용으로 보면 두 사람은 부적절한 발언과 글을 올린 것은 비판 받아야 하죠.
하지만 기자들이 한 짓은 이완구와 부장판사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들에 의해 정치가 좌우되고, 그들에 의해 우리의 신상이 벌거벗겨져 양심과 표현의 자유를 누릴 수 없기 때문입니다.
만약 누군가가 우리나라 판사들의 인터넷 활동을 모두 조사해서 그에 따라 처분하자고 하면 어떠 하시겟습니까? 그래도 이것은 모두에게 공정한 처분이지만, 기자들이 한 짓은 자신들의 정치적 편향이나 자신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취사선택할 수 있다는 더 큰 함정이 있습니다.
님께서는 이완구나 부장판사의 잘못만 보일지 모르지만, 제 눈에는 더 심각한 것은 기자들의 행위입니다.
기자들의 저런 짓을 가만히 놔두면 님이나 저나 피해자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사건의 대상은 판사입니다. 연예인이나 일반인도 아니고요. 판사는 공정해야하며 선고의 대상에게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사림입니다. 그리고 저 사람은 일개 판사가 아닌 부장판사이죠. 그런 부장판사가 판사로서의 자질에 문제가 있는 사람이라면 이것을 밝혀야할까요. 말아야할까요.
좀 더 극단적인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대통령 후보자가 있는데 이 사람이 (국보법에 위반되지 않는 선에서)김정은과 북한을 찬양하는 글을 올리고 다녔습니다. 또는 한국과 한국인에 대해 경멸이 담긴 글을 올리고 다녔습니다. 이 사실을 밝혀야할까요, 표현의 자유와 개인의 인권을 존중해야할까요?
밝혀야한다고 말할 수도 있고 개인의 인권을 존중해야한다고 말할 수도 있다고 봅니다. 이것은 가치의 문제니까요.
물론 부장판사건에 한해서는 기자의 행동이 과하다는 생각도 듭니다. 기사화까지 할 필요없이 사법부에 해당 사실을 알려서 해당 판사에게 제재를 가함으로써 개인의 인권을 최대한 존중할 수도 있었으니까요.
그리고 이완구 의원의 경우는 본인이 자초한 것이죠. 국무총리가 되겠다는 사람이 그런 말들을 한 것에대해 기자들이 사실을 밝혀야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고요.
공직자라는 한 저질인격체가 자신의 지위를 이용해
니들 나한테 걸리면 니들도 모르게 뒤지는 수가 있다고 협박한게
어떻케 사석에서 한 얘기가 된다는 건지 모르겠네요
얘기와 협박질 좀 구분하고 글을 씁시다.
사적인 얘기를 한 것도 아니고
당에서 있었던 비밀스런 얘기를 한 것도 아니고
그냥 기자들을 불러다 똘마니 취급하며 겁을 줬다는게 본질인데
여기에 왜 취재윤리란게 나오냐구요
tv조선 어떤 앵커놈이 한국일보 기자를 쓰레기라고 했다는 소리듣고 아연했네요
'취재윤리'라는게 그런 같잖은 일에 침묵하라고 있는게 아닐텐데 말이지..
기자들이 그런 모욕을 당하고도 비굴하게 뉑뉑~ 할 수밖에 없는 현실의 참담함을 보고
공직자의 부당행위를 고발한 기자가 죄를 뒤집어 쓰는걸 보고
어김없는 길벗씨의 글을 보고... 이곳이 어쩔 수 없는 대한민국임을 또 한번 실감하네요
부장판사가 익명으로 쓴 글을 어떻게 그 부장판사가 쓴 것이라고 알았는지가 더 심각한 것이 아닐까요? 어떻게 현직 부장판사의 글인 것을 알았을까요? 갑자기 섬뜩해지기 시작하네요. 인터넷에서 자신의 신상이 보호되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하면 누가 글을 쓸 수 있겠습니까? //
언론사에서 이용자들의 신상을 까발린다는게 말이 돼?
도대체 뭘 근거로 그런 상상을 한다는 거지? 생각했는데 역시나 길벗씨의 오버네요.
이분의 망상적 분기탱천 오버는 정말 못말리겠더라구요
구글링 3번 만에 ‘막말 댓글 판사’ 신상 다 나와
http://joongang.joins.com/article/aid/2015/02/14/16730365.html?cloc=nnc&total_id=17165147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