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게시판
이해찬 후보를 제외한 김한길 후보 등 후보 전원(7명)은 27일 정책 대의원을 추가 증원하려는 당 비상대책위원회의 움직임에 제동을 걸었다.
앞서 당 전당대회준비위원회는 지난 24일 이번 경선에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는 대의원에 2600명의 정책 대의원을 추가하기로 잠정 확정했다.
정책 대의원 제도는 올해 초 민주당과 ‘혁신과 통합’ 등이 통합하는 과정에서 ‘대의원의 균형을 맞추자.’는 취지로 도입됐으며, 이번에 양대 노총 2300명과 친노무현계 문성근 전 대표대행이 이끌던 ‘백만민란’과 ‘내가꿈꾸는나라’ 300명 등이 추가됐다.
그러나 비대위가 정책 대의원을 전체 대의원 1만 7000명의 30%인 5000명까지 둘 수 있다는 이유를 들며 전대준비위에 더 늘릴 것을 요구한 것이다.
<iframe src="http://www.seoul.co.kr/ad/googleAD@innerNews.html" topmargin="0" leftmargin="0" marginwidth="0" marginheight="0" frameborder="0" scrolling="no" width="250" height="250" style="border-width: 0px; border-style: none;"></iframe> |
윤호중 당 사무총장은 25일 "지난 21일 부산지역 대의원 투표에 참여한 수영구 소속 대의원 14명이 실제로는 수영구에 거주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들은 지난 총선에서 수영구에 출마한 허진호 후보(현 지역위원장)를 돕는 등 수영구 지역에서 활동해 온 당원"이라고 밝혔다.
변호사 출신인 허 위원장은 이번 총선에서 단수 공천을 받아 부산 수영구에 출마했고, 친노(親盧)계로 분류된다.
한편 민주당 지도부가 한국노총 및 문성근 대표가 이끄는 '국민의 명령', 김기식 당선자가 주축인 '내가 꿈꾸는 나라' 등에 정책대의원 총 2600여명을 배정하려는 것과 관련해 공정성 시비가 일고 있다.
이해찬·우상호 후보를 제외한 김한길·강기정·추미애·조정식·이종걸·문용식 후보 등 6명은 이날 성명을 내고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선거는 사전에 정해진 유권자를 후보들에게 알리고 치러야 하는 것이 대원칙"이라며 "이미 지역별 순회경선이 상당히 진행된 상황에서 선거결과를 뒤집을 수도 있는 상당 규모의 유권자군을 추가하려는 것은 선거의 공정성에 심각한 훼손을 야기할 수 있다"고 했다. /김경화 기자 (조선일보 5.26일)
민주통합당은 24일 당대표 선출 경선에 참여할 정책대의원으로 노동계와 시민사회단체에 2600명을 배정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1만7000여명의 전체 대의원 중 약 15%에 해당한다.
민주당 임시전당대회준비위원회는 이날 회의를 열고 한국노총 추천 대의원을 포함해 노동부문 정책대의원 2300명을 두기로 결정했다.
http://news1.kr/articles/?680312
후보들은 성명서에서 “당 비상대책위원회와 전당대회준비위원회가 정책 대의원 추가 선정 여부를 놓고 논의를 하고 있다.”면서 “이미 지역별 순회경선이 상당히 진행된 상황에서 선거 결과를 완전히 뒤집을 수 있는 상당 규모의 유권자군을 추가하려는 것은 선거의 공정성에 심각한 훼손을 야기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
오전 비대위는 전대준비위가 전날 양대 노총과 ‘백만민란’ ‘내가꿈꾸는나라’ 등에 정책 대의원 2600명을 할당하기로 결정한 것과 관련, 회의를 열고 ‘정책 대의원 구성안’ 결정이 당헌·당규의 원칙과 기준에서 벗어났다며 재논의할 것을 요구했다.
●“어떤 기준·원칙따라 배정됐는지 제시하라”
이에 대해 후보들은 “선거는 사전에 정해진 유권자를 후보들에게 알리고 치러야 하는 것이 대원칙이다. 각 후보의 유불리나 논의 대상 단체의 적합성 여부와는 무관하다. 경선에서 확인된 대의원들의 표심을 존중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한 후보 측은 “흥행대박이 아닌 ‘쪽박’이 될 것이며 경선 집단 보이콧까지 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물뚝심송은 친노로 알고 있는데 흠 재미있는 글이네요
인용
난 어느 쪽인지 모르겠어. 하지만 강력한 추정이 하나 있긴 해.
총선 경선 때 있었던 일 하나. 경선에서 진 쪽이 법원에 소송을 내서, 경선과정의 자료를 조사하러 법원이 나갔는데, 민주당의 답변이.. 자료는 일찌감치 다 파기를 했다, 라는 거였어. 이건 좀 수상하지.
그리고 끊임없이 흘러 나오는 얘기는, 이 모바일 선거 관련 자료들을 양측이 다 보긴 했는데, 이거 까발리면 민주당이 망하니까 그냥 덮자고 합의를 했다는 거야. 선거에서 패배한 쪽에서도 덮자고 합의를 해 줄 정도였다면 도대체 그 자료에는 무엇이 담겨 있었을까? 선거를 진행한 자료에 아무런 이상이 없었다면 이런 얘기는 안 나오지.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