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게시판
글 수 19,481
내가 제일 싫어하는 화법의 형식은 '뭐뭐는 뭐다'라면서 특정 사안을 가지고 일반화를 시키려는 시도이다. 인간으로서는 당연히 해서는 안될 짓이지만, 화법만으로도 호남차별을 증오하는 이유이고 아래 글도 '대구사람 전체'를 일반화시킨다는 면에서는 마득치 않은 논조이다.
그리고 일베충의 핵심이 TK라는 주장에도 공감은 하지만 그리고 형사처벌된 일베충들의 사례들을 보면 일베충의 핵심이 TK라는 주장의 신빙성을 더해주고 있지만 '증명되지 않은 것'이니 '그렇다'라고 단정 지을 수 없다는 것이다.
더우기 아래 기술하는 내용들은 우리나라 사람들, 지역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기질들일 것이다. 문제는 그런 '공통적인 기질들'에 권력이라는 항목을 합치면 아래 글들 중 내가 파란색으로 마킹한 부분은, 516 쿠테타를 일으킨 박정희, 그리고 좋던 싫던 사적 믿음 및 이익 때문에 박정희를 옹호하는 부류들, 특히 TK 지역 사람들 그리고 지역차별을 극단적으로 표현하는 일베충들에게 반드시라고 할만큼 적용되는사안들이다.
[데스크칼럼] 대구사람 기질은…
두달전 경제인 A씨와 식사를 하는데 문득 그 분이 재밌는 얘기를 끄집어냈다. 당시 한나라당 대구시장 후보였던 김범일씨에 대한 인물 평이었다."김 후보는 조해녕 시장의 절반이고, 조 시장은 문희갑 전 시장의 절반이다." 비중과 함량 면에서 차이가 난다는 그런 얘기였다.
물론 그 분의 개인적인 느낌이 아니고 경제계에서 나도는 우스갯소리일 뿐이다. 그후 김범일 시장이 취임하고 나서도 비슷한 뉘앙스의 얘기를 사석에서 두어번 더 들었다. 그 우스개를 접할 때 마다 의욕적으로 새 출발하는 시장에게 너무 가혹한 것 아니냐는 생각도 들었지만 솔직히 거기에는 대구 사람의 氣質(기질)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이 사례를 통해 대구사람의 기질을 한번 짚어보면 어떨까 싶다.
그 우스개에는 먼저 겉보기를 중시하는 대구사람 특유의 평가 잣대가 숨어있다. 벼슬의 크기가 그 사람에 대한 평가 자체를 좌우하고 있는 듯 하다. 김시장은 차관급인 산림청장 출신이니 내무부장관 출신의 조 전시장이나 청와대 경제수석비서관과 국회의원을 지낸 문 전시장과 비할 바가 아니다. 거기에다 多血質(다혈질)의 문 전시장이나 신중한 조 전시장에 비해 발걸음이 빠른 김 시장은 아무래도 중량감이 떨어지는 것으로 비쳐질 수 있다. 폐쇄적인 사회에서는 그 사람이 갖고 있는 철학이나 내용은 그리 중요하지 않고 맨 나중에 고려될 사안일 뿐이다.
둘째는 뒤에 숨어서 남 비판하길 좋아하고 무엇이든 일단 否定的(부정적)으로 보고 난후 일을 벌인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상당수가 익명의 가면을 쓰고 다른 사람을 씹어 돌리는데 일가견이 있다.
검찰 관계자들은 대구에 부임하면 멀쩡한 사람을 헐뜯는 巫告性(무고성) 민원이 쏟아지는데 맨먼저 놀라게 된다고 한다. 그것도 자기 이름을 밝히고 정정당당하게 고발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편지 겉봉에 '선량한 시민' '정의를 사랑하는 시민' 따위의 명칭을 쓴다고 한다. 젊은 사람도 기성세대를 닮은 듯 인터넷에서 다른 사람을 욕하는데 대구 출신들이 맹위(?)를 떨치고 있다. 그렇게 생채기가 난 사람들이 '다시는 대구(혹은 자신이 속했던 조직)쪽으로 오줌도 누지 않겠다'며 떠나가는 장면을 심심찮게 봐왔다.
셋째는 자신이 속해있는 공동체에 대한 자부심이 아예 없거나 그다지 높지않다는 점도 두드러진다. "대구사람은 안돼" "XX출신 때문에 망했어." "우리 회사(조직)는 오래 못가." 술자리 같은 데서 참석자들이 서로 자기 卑下(비하)를 하느라 바쁘다. 그것도 다른 사람의 말이 끝나기가 무섭게 경쟁적으로 자기 고백에 열을 올리는게 흔한 풍경이다.
대구사람들은 자기가 속해있는 조직을 욕하고 책임을 타인에게 떠넘겨야만 정신적 위안을 얻을 수 있는 모양이다. 오죽하면 '대구에서 살아 남으면 어디가든 성공할 수 있다'고 했을까. 모양새가 좋지 않은 부문에서는 최고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얘기다. 정말 '大邱病(대구병)'이다. 예전부터 대구사람을 둘러싸고 있는 전통과 가족애, 정치권력 등 여러 환경 가운데 정작 필요한 것은 쏙 빠지고 부정적인 요소만 남아 사고를 지배하고 있는게 아닐까.
요즘 경제살리기가 화두다. 경제는 개방적인 사고와 역동적인 문화에서 나온다. '먹고 살자'는 구호보다는 우리들의 의식을 고치는데서 출발해야 한다. 지금부터 자그마한 것이라도 동료나 상사를 칭찬하고 자신의 共同體(공동체)에 대한 자부심을 가져보는게 어떻까. 그것이 정신건강에도 좋다. 이를 하나씩 실천하다 보면 대구사람도 살고 결국은 경제도 산다.
매일신문사는 지난 7일 창간 60주년기념으로 대구지역 리딩그룹 211명에 대한 사회연결망(Social Network Analysis)조사를 했다. 당초의 先入見(선입견)과는 달리 상당수 엘리트 그룹은 대구사람들의 의식이 바뀌어야 지역의 발전과 미래를 담보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점이 고무적이었다. 특히 40, 50대 그룹은 강하고도 빠른 변화를 요구하고 있었다.
거기에서 희망의 단초를 봤다. 대구도 살아남을 길이 있는 모양이다. 그다지 머지 않은 시기에 이뤄질 것이라고 믿는다면 섣부른 바람일까.
박병선 기획탐사팀장 lala@msnet.co.kr
백이숙제는 "以暴易暴"를 남겼고 한그루는 "以寂易騷"를 남기고 간다.
2014.05.10 12:17:14
대구에도 이런 칼럼을 쓰는 사람이 있군요
쓰고나서 돌 많이 맞았을 듯
이 컬럼의 필자가 쓴 대구의 부정적인 이야기들은 사실상 조선시대의 유물이지요
입신양명의 유일 최고의 가치였던 시대 그리고 당쟁으로 나와 다른 사람을 헐뜯고 비판하는 것이 일상화된 시대의 유물이지요
이게 다른 지역은 현대사회로 접어들면서 많이 약화되거나 사라졌는데 대구는 좀 더 많이 남아있는듯 합니다.
특히 벼슬의 크기 체면을 중시하는 것등 말이지요
아마도 박정희 군사정권이래 권력을 쥔 것이 이런 생각의 정체를 가져온 듯 싶습니다.
2014.05.11 01:28:33
흐강님/저는 이런 현상을 '동종교배' 탓이라고 생각합니다. TK가 권력을 잡되 그 권력의 행사가 일부에게 집중되어 있는 경우 나머지 사람은 수동적인 사람으로 변하여 자생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박근혜의 TK 예산 몰아주기 역시 TK를 살리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생력을 잃어 죽이는 방향으로 작동할겁니다. 권력을 소수가 독점하고 그 권력 주변인으로 남되 그 기간이 오랫동안 유지되면 아마도... 회생불가능한 수준까지 갈겁니다.
민주주의가 여러 단범에도 불구하고 좋은 이유는 바로 권력 독점으로 인한 동종교배의 폐해를 막는 것인데 한국에서는 그 민주주의의 장점이 죽어 있는게 현실이지요.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