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게시판
글 수 19,958
현정부 이명박대통령?이 인천공항 민영화를 해서
브랜드화 시키고 일본에 넘기려함 동시에 이득을 취하는거라는데
이 정책이 옳은것인지 나쁜것인지 궁금해서 글을 올립니다.
네이버 지식검색을 통해 읽어보면 안좋은 쪽으로만 가고있어서
꼭 그런것인지 알려주세요!!
Tweet
브랜드화 시키고 일본에 넘기려함 동시에 이득을 취하는거라는데
이 정책이 옳은것인지 나쁜것인지 궁금해서 글을 올립니다.
네이버 지식검색을 통해 읽어보면 안좋은 쪽으로만 가고있어서
꼭 그런것인지 알려주세요!!
2009.09.11 02:37:57
저가 듣기로 민영화는.. 딱히 그 모델에서 순이익을 극대화 시키는 것보단..
정부의 예산 증대용이라는데요?
민영화 한다고 딱히 좋아지는것은 없을지도.. 뭐
임금깍아서 그 기업의 순이익은 올라갈수있어도..
그 순이익 증가분이 정부에 들어가는 것도 아니고..
만약에 공기업이 적자보고 있어서 정부에서 매꿔주는 거면 모르겠는데..
적자를 본다는 말이.. 어느정도 요금이 비현실적이란 이야기가 되어서..
민영화후 요금인상은 불보듯 뻔한건데.. 요금인상은 결국 국민들의 부담..
그래서 민영화는 쥐쥐인거 같아요-_-;;; ㅎㅎ
그냥 4대강 삽질하려고 하는거죠 그래서 ㅎㅎㅎㅎ
정부의 예산 증대용이라는데요?
민영화 한다고 딱히 좋아지는것은 없을지도.. 뭐
임금깍아서 그 기업의 순이익은 올라갈수있어도..
그 순이익 증가분이 정부에 들어가는 것도 아니고..
만약에 공기업이 적자보고 있어서 정부에서 매꿔주는 거면 모르겠는데..
적자를 본다는 말이.. 어느정도 요금이 비현실적이란 이야기가 되어서..
민영화후 요금인상은 불보듯 뻔한건데.. 요금인상은 결국 국민들의 부담..
그래서 민영화는 쥐쥐인거 같아요-_-;;; ㅎㅎ
그냥 4대강 삽질하려고 하는거죠 그래서 ㅎㅎㅎㅎ
2009.09.11 06:21:34
민영화의 필요성은 공기업의 비효율성 극복, 정치적인 이유등으로 제기되고
보통은 민간에 의한 사업수행이 더 효율적인 경우, 즉 능률성을 높이기 위해 하곤합니다.
민영화 자체가 좋다, 나쁘다. 라는 것보다는..
어떤 공기업을 어떤 방법으로 누구에게 매각시키는 것등을 보는게 중요한데요.
자세히 모르지만, 인천공항은 민영화를 시킬만한 정도는 아니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일본에 매각은 처음 듣는데요.(좀 관심이 없어서;;)
얼핏 정치적인 이유등이 주요인이 아닐까 싶네요..
그리고, 민영화 방법이 크게 세가지로 나뉘는데요.
1. 특정인이나 특정기업에게 매각
2. 다수인에게 주식매각
3. 국민주방식에 의한 주식매각
인천공항 민영화의 방법이 1이 된다면.. 의심해 볼 여지가 많겠네요.
그외에도 부분적 민영화인지 완전 민영화인지와 인수자의 국적(국내기업, 외국기업, 합작기업)등도 고려해봐야겠지요.
잠시 검색해보니 우선 49% 매각하고, 완전 민영화는 추후 고려. 라고 나와있네요.
그렇게 보면 완전민영화가 된다고 봐도 큰 무리가 없어 보입니다;;;;
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view.html?cateid=1041&newsid=20080811154108090&p=newsis
http://sisun.tistory.com/180?srchid=BR1http%3A%2F%2Fsisun.tistory.com%2F180
요금인상이야 불보듯 뻔한일인데요.
세세히 알지 못해 인천공항 민영화, 그 자체만 봤을때..
그것이 옳은 판단인지 틀린 판단인지는 확신을 못하겠습니다. (틀렸다는 쪽에 기울긴 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어떻게, 누구에게 매각하고, 얼마에 팔고.. 추후 요금인상등의 관리는 어찌할 것이냐등등.. 이겠죠.
헌데, 4대강을 고려해보면.. 재정수입을 어디에 쓰려고 그러느냐.. 이것이 가장 큰 문제가 될수도 있겠네요.
+ 전에 어디선가 MB 친인척과 관련된 회사에 매각한다. 라는 글을 본 기억이 있는데요.
그것의 사실여부는 모르겠네요. 사실이라면 뭐..... -_-;;;
보통은 민간에 의한 사업수행이 더 효율적인 경우, 즉 능률성을 높이기 위해 하곤합니다.
민영화 자체가 좋다, 나쁘다. 라는 것보다는..
어떤 공기업을 어떤 방법으로 누구에게 매각시키는 것등을 보는게 중요한데요.
자세히 모르지만, 인천공항은 민영화를 시킬만한 정도는 아니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일본에 매각은 처음 듣는데요.(좀 관심이 없어서;;)
얼핏 정치적인 이유등이 주요인이 아닐까 싶네요..
그리고, 민영화 방법이 크게 세가지로 나뉘는데요.
1. 특정인이나 특정기업에게 매각
2. 다수인에게 주식매각
3. 국민주방식에 의한 주식매각
인천공항 민영화의 방법이 1이 된다면.. 의심해 볼 여지가 많겠네요.
그외에도 부분적 민영화인지 완전 민영화인지와 인수자의 국적(국내기업, 외국기업, 합작기업)등도 고려해봐야겠지요.
잠시 검색해보니 우선 49% 매각하고, 완전 민영화는 추후 고려. 라고 나와있네요.
그렇게 보면 완전민영화가 된다고 봐도 큰 무리가 없어 보입니다;;;;
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view.html?cateid=1041&newsid=20080811154108090&p=newsis
http://sisun.tistory.com/180?srchid=BR1http%3A%2F%2Fsisun.tistory.com%2F180
요금인상이야 불보듯 뻔한일인데요.
세세히 알지 못해 인천공항 민영화, 그 자체만 봤을때..
그것이 옳은 판단인지 틀린 판단인지는 확신을 못하겠습니다. (틀렸다는 쪽에 기울긴 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어떻게, 누구에게 매각하고, 얼마에 팔고.. 추후 요금인상등의 관리는 어찌할 것이냐등등.. 이겠죠.
헌데, 4대강을 고려해보면.. 재정수입을 어디에 쓰려고 그러느냐.. 이것이 가장 큰 문제가 될수도 있겠네요.
+ 전에 어디선가 MB 친인척과 관련된 회사에 매각한다. 라는 글을 본 기억이 있는데요.
그것의 사실여부는 모르겠네요. 사실이라면 뭐..... -_-;;;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