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게시판
글 수 20,976
이제 지옥 같은 계절학기도 끝나고.. 여행 일정이 시작되기 전 한 주 정도가 비는군요.
실로 오랜만에 부담없이 컴퓨터 앞에 앉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당장은 공부할 것이 산더미같은 처지이기 때문에 뭔가 글을 쓰는 입장이 되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만,
간간이 시간을 내서 자유게시판이라도 자주 올 수 있으면 좋겠네요.
=
지금까지 제가 활동했던 모든 웹 커뮤니티를 통틀어 음악에 관련된 글을 쓰는 건 이번이 처음이군요.
심신이 온통 지친 상태라서.. 딱히 무슨 글을 쓰겠다고 생각한 게 아니었기 때문에,
편하게 올릴 수 있는 컨텐츠를 찾다가 이것으로 하게 되었습니다.
곡은 노르웨이의 심포닉 블랙 메탈 밴드인 Enslavement of Beauty의 And still I wither입니다.
※ 메탈 계열의 저음으로 긁어대는 사운드(Growling)을 싫어하시는 분은 주의. 그저 소음처럼 들릴 수 있습니다.
My mind is wrapped in winds of enslavement
"I'm sorry I blasphemed thy beloved kingdom"
With a kiss of grace thou besmear my soul
Nothingness can now be seen mirrored in my feeble eyes
내 가슴은 굴종의 기류에 감겨 들었다네
"내가 그대의 사랑스런 왕국을 모욕해 버렸군요, 안됐지만…"
우아한 키스로 그대가 나의 영혼을 더럽혔으니
나의 희미한 시계에는 어떠한 빛도 가 닿을 수 없으리
This is the coldest hell...
이 곳이야말로 가장 차디찬 지옥…
So now I experience a void I know so well
A song of emptiness are fed again
Thorns arise with the breeze of cold insanity
I am alive but yet so dead
이것은, 바로 언제나처럼 익숙한 공허
텅 빈 노랫소리가 또다시 메아리치고
차디찬 광기 어린 부드러운 숨결로부터 가시들이 피어오르는구나
나는 살아 있지만 ㅡ 하여 이미 여기서 죽었지
So fucking dead...
그렇지, 빌어먹을, 죽어 버렸다네…
(여기서 다시 처음으로, 그리고 This is the coldest hell... 이후 바로 다음 부분으로)
Written in blood over a wasteland of bones
Reflected upon a frozen horizon
Sinister and terminal this hope of desolation
With a whiff of desecration and hate
뼛더미들만 펼쳐진 황무지 위로 피로써 써내리니
얼어붙은 지평선 너머로 반사되어 가네,
신성 모독과 증오의 연기가 자욱하게 드리운
불길하고 가망 없는, 이 황량한 희망만이
So let my burned out mind fall dead to the ground
And rape my soul with a demoniacal smile
Stab these thorns deeper into my heart
And free me from these depressive thoughts
그러니, 내 불타 버린 가슴조차 바닥에 쓰러뜨리고 도려내 주오
저 악마적인 미소로 내 영혼을 능욕해 줘,
이 가시들을, 내 가슴에 좀더 깊숙이 찔러 넣어 주오!
그리하여 이 절망스런 오뇌에서 나를 해방시켜 주시오…
Cleanse me...
Cleanse me...
정화해 줘…
정화해 줘…
Ah...
아아…
This is the coldest hell...
이 곳이야말로 가장 차디찬 지옥이리…
=
제가 원체 사람 목소리를 싫어하는 이상한 성격이라;
완전히 기악으로 된 곡이 아니면 거의 메탈 스타일의 곡만 듣게 되는군요.
메탈이야 뭐 요즘에는 꽤 일반화되었다고는 해도, 아직도 많이 마이너한 스타일이지요.
요즘에는 인더스트리얼이나 그라인드코어 쪽도 조금씩 건드리고는 있습니다만…
주 취향으로는, 고딕이나 블랙 메탈 중에서 밝은 선율이 거의 없는 곡을 선호합니다.
심포닉이나 바로크 쪽도 가끔 듣지요. 쓰래쉬는 별로였고…
이 그룹(Enslavement of Beauty)의 곡은,
다른 메탈과 비교해 보면 선율이나 음악성은 평균적인 수준(혹은 그에 약간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만,
가사가 비교적 좋아서 가끔 듣는 편입니다.
그룹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성적인 퇴폐가 주요한 테마로 사용되고 있지요.
위의 곡을 나쁘지 않게 들으셨다면,
같은 밴드의 <The fall and rise of vitality>, <The poem of dark subconscious desire>도 추천합니다.
좀 듣기 쉬우면서 음악성도 탄탄한 곡을 원하신다면,
Lacrimas Profundere의 <A fairy's breath>와 <Black swans>, <Adorer and somebody>를 추천합니다.
중학생 때부터 좋아하던 독일 밴드 Lacrimas Profundere가 요즘에는 상업적 노선으로 선회해서,
듣기 쉬운 곡들만 발표하는 게 아쉬워 죽겠네요.. 흑흑.
Sicut erat in principio, et nunc, et semper,
et in saecula saeculorum.
et in saecula saeculorum.
2009.07.27 08:20:56

저도 한때 목소리를 싫어해서 연주곡만 골라서 듣곤 했을때가 있었는데, 요즘에는 그리 가려듣는 편은 아닙니다. 취향이라는게 바뀌기 마련이라.
메틀쪽은 잘 모르고 아주 가끔씩만 듣는데, 스칸디나비아쪽은 멜로디가 어두운게 많은거 같다는 생각이었습니다. 한편 드라이한 느낌이 드는것도 적었고요. 그라울링하는거 별로 안 좋아하기는 하는데 Cannibal Corpse 음악을 몇 개 듣다가 좀 시껍한 이후로 이 정도라면 말랑말랑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메틀쪽은 잘 모르고 아주 가끔씩만 듣는데, 스칸디나비아쪽은 멜로디가 어두운게 많은거 같다는 생각이었습니다. 한편 드라이한 느낌이 드는것도 적었고요. 그라울링하는거 별로 안 좋아하기는 하는데 Cannibal Corpse 음악을 몇 개 듣다가 좀 시껍한 이후로 이 정도라면 말랑말랑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2009.07.27 10:04:58
Cannibal Corpse라.. 데스쪽에서 적응 안 되는 그룹이 좀 있는데, 그 중 하나군요. ㅠㅠ
좋다는 분들은 좋다십니다만.. 저는 그다지 끌리질 않아요. 차라리 Cock and Ball Torture 같은 그라인드코어류를 듣는 편을 좋아하지요.
저는 개인적으로 보컬 자체보다는 선율과 가사의 비중이 절대적인 편이라,
쓰래쉬/펑키 메탈 같은 것보다는 데스/블랙을, 또 이것보다는 고딕/심포닉을 좋아합니다.
잘 갖춰진 어두운 선율이 흐르면서 보컬이 그로울링을 펼치는 부분에서 피어나는 절망적인 아름다움?을 즐긴달까요.
이것만 써놓고 보니 좀 유치한 감상 같지만요. 하하;; 아마 고어물 좋아하는 사람들의 심리하고 비슷할지도 모르겠네요.
아직 식견이 넓지 않아서 뭐라 말하기 어려운 부분이긴 한데, 제 경험상으로도 스칸디나비아계 밴드가 확실히 어두운 면이 있는 거 같기는 합니다. 반면에 라틴계 언어권의 밴드는 비교적 메탈을 하는 경우가 적은 것 같더군요. 물론 이탈리아의 ROF나 Eldritch같은 예외는 상당수 존재하긴 하지만요.
좋다는 분들은 좋다십니다만.. 저는 그다지 끌리질 않아요. 차라리 Cock and Ball Torture 같은 그라인드코어류를 듣는 편을 좋아하지요.
저는 개인적으로 보컬 자체보다는 선율과 가사의 비중이 절대적인 편이라,
쓰래쉬/펑키 메탈 같은 것보다는 데스/블랙을, 또 이것보다는 고딕/심포닉을 좋아합니다.
잘 갖춰진 어두운 선율이 흐르면서 보컬이 그로울링을 펼치는 부분에서 피어나는 절망적인 아름다움?을 즐긴달까요.
이것만 써놓고 보니 좀 유치한 감상 같지만요. 하하;; 아마 고어물 좋아하는 사람들의 심리하고 비슷할지도 모르겠네요.
아직 식견이 넓지 않아서 뭐라 말하기 어려운 부분이긴 한데, 제 경험상으로도 스칸디나비아계 밴드가 확실히 어두운 면이 있는 거 같기는 합니다. 반면에 라틴계 언어권의 밴드는 비교적 메탈을 하는 경우가 적은 것 같더군요. 물론 이탈리아의 ROF나 Eldritch같은 예외는 상당수 존재하긴 하지만요.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