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게시판
글 수 19,481
마초적인 푸틴을 조롱하고 푸틴에게 조종받는 메드베데프를 조롱하기 위해 러시아의 한 화가가 그 둘을 크로스드레싱시킨 그림을 그렸었다. 자유주의 사회에서 이러한 정치인에 대한 모욕, 조롱은 표현의 자유로 기본적 인권으로서 보장된다. 러시아같은 나라는 당연히 압수하고.
일베라는 사이트에서 나온 것으로 보이는 '노알라'와 '운지'가 논란이 됐다. 친노 깨어있는 시민들은 '쥐박이'는 괜찮지만 '노알라'는 안된다는자기모순적인 태도를 보였다.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 "자유를 내가 탄압하면 착한 탄압, 남이 탄압하면 나쁜 탄압"
* 참고 : ‘쥐박이’라는 단어까지 금지어로 설정한 건 좀 지나친 것 같습니다.-노하우 운영자 (http://bit.ly/19MEjYx)
영국의 유명한 팝 가수 조지 마이클은 슛 더 독 (Shoot the dog)이라는 싱글에서 하우디 푸들(howdy poodle)이라는 노래를 발표하면서 조지 워커 부시를 맹종하는 블레어 총리를 푸들에 비유하고 마이클이 총리 부인을 유혹해서 간음하는 내용을 담았다. 당연히 아무 문제 없다.
정치인이 살아있건 죽어있건 상관 없이 시민들은 정치인을 모욕할 자유가 있다. 노직류의 자유주의를 받아들인 대처 전 수상이 사망하자 영국의 사민주의자들은 "개잡년 잘 죽었다"는 플래카드를 내걸고 대처를 부관참시 하는 화형식을 대대적으로 거행했다. 아무 문제 없다.
친노 깨시들은 '노알라'와 '운지'라는 표현에 분노하는 동조자들을 보면서 "아직 우리 사회가 건강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하지만 수구꼴통보다 못한 친노 깨시들의 착각이다. 세상이 어떻게 진보해왔는지 표현의 자유를 위해 얼마나 많은 사람이 피흘렸는지 그들은 모른다.
자유주의 국가에서 정치적 입장이 다른 이들의 정치인이나 정치집단에 대한 정치적 조롱이나 모욕은 감수해야한다. 이것은 시민인 일 개인에 대한 조롱, 모욕이나 토론장에서의 구체적인 토론 상대방에 대한 조롱, 모욕과는 다르게 평가된다. 사회적 명예와 정치적 명예는 구별된다.
표현의 자유 중에서 정치적 표현의 자유는 가장 고도로 보호된다. 일반인에 대한 모욕은 자연인 그 자체에 대한 모욕이지만 정치인에 대한 모욕은 정치인의 자연인 그 자체가 아니라 정치인의 정치적 입장, 정견에 대한 거부의 의사를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르게 평가된다.
다만, 표현의 자유는 무제한이 아닌 것인데 '펭귄'이나 '쩔뚜기' 같은 표현은 장애인을 차별하는 가치관이 담겨있고, '홍어'라는 표현은 인종차별적 가치관이 담겨있고, '김치년'은 성차별적 가치관이 담겨 있어서 그러한 정치적 표현들은 표현의 자유의 보장 범위 밖이다.
'운지'라는 표현은 '펭귄' '쩔뚜기' '홍어' '김치년' 등의 표현과는 다르다. '펭귄' '쩔뚜기' '홍어' '김치년' 등은 헌법에 반하는 가치가 들어있다. '운지'는 고인에 대해서는 과오를 덮어주는 관습에 반하는 것이어서 논란이 있을 수 있지만 반헌법적인 것이 아니라고 보기에 허용된다고 본다.
'노알라'는 친노 지지자들의 광신적이고 배타적이며 자기당착적인 태도를 비판하기 위해서 노무현을 '알라'에 비유해서 알라를 코알라에 환유시켜 '노알라'로 표현한 것이다. 여기에는 반헌법적 가치관이 없다. '쥐박이'와 '닭근혜'가 허용돼야 하듯이 '노알라'도 당연히 허용돼야 한다.
개인적으로 문재인을 '문제인'으로, 깨어있는 시민을 '몽유병 환자'라고 지칭하며 특정 정치인과 정치집단을 모욕한 기억이 있는데 물론 그런 정치적 표현으로서 특정 정치인이나 정치집단에 대한 모욕을 할 때 그 집단으로 부터 구별의 불이익을 받는 것은 감수하면서 모욕했다.
정치적 입장이 다른 이들의 정치인, 정치집단에 대한 정치적 조롱이나 모욕에 대해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시민이라면 당연히 감수해야한다. 그런 조롱이나 모욕을 감수하지 못하고 그 표현에 분노한다는 것 자체가 시대착오적인 삶을 살고 있다는 것을 방증한다. 부끄러운줄 알아야지.
Tweet

일베라는 사이트에서 나온 것으로 보이는 '노알라'와 '운지'가 논란이 됐다. 친노 깨어있는 시민들은 '쥐박이'는 괜찮지만 '노알라'는 안된다는자기모순적인 태도를 보였다.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 "자유를 내가 탄압하면 착한 탄압, 남이 탄압하면 나쁜 탄압"
* 참고 : ‘쥐박이’라는 단어까지 금지어로 설정한 건 좀 지나친 것 같습니다.-노하우 운영자 (http://bit.ly/19MEjYx)
영국의 유명한 팝 가수 조지 마이클은 슛 더 독 (Shoot the dog)이라는 싱글에서 하우디 푸들(howdy poodle)이라는 노래를 발표하면서 조지 워커 부시를 맹종하는 블레어 총리를 푸들에 비유하고 마이클이 총리 부인을 유혹해서 간음하는 내용을 담았다. 당연히 아무 문제 없다.
정치인이 살아있건 죽어있건 상관 없이 시민들은 정치인을 모욕할 자유가 있다. 노직류의 자유주의를 받아들인 대처 전 수상이 사망하자 영국의 사민주의자들은 "개잡년 잘 죽었다"는 플래카드를 내걸고 대처를 부관참시 하는 화형식을 대대적으로 거행했다. 아무 문제 없다.
친노 깨시들은 '노알라'와 '운지'라는 표현에 분노하는 동조자들을 보면서 "아직 우리 사회가 건강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하지만 수구꼴통보다 못한 친노 깨시들의 착각이다. 세상이 어떻게 진보해왔는지 표현의 자유를 위해 얼마나 많은 사람이 피흘렸는지 그들은 모른다.
자유주의 국가에서 정치적 입장이 다른 이들의 정치인이나 정치집단에 대한 정치적 조롱이나 모욕은 감수해야한다. 이것은 시민인 일 개인에 대한 조롱, 모욕이나 토론장에서의 구체적인 토론 상대방에 대한 조롱, 모욕과는 다르게 평가된다. 사회적 명예와 정치적 명예는 구별된다.
표현의 자유 중에서 정치적 표현의 자유는 가장 고도로 보호된다. 일반인에 대한 모욕은 자연인 그 자체에 대한 모욕이지만 정치인에 대한 모욕은 정치인의 자연인 그 자체가 아니라 정치인의 정치적 입장, 정견에 대한 거부의 의사를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르게 평가된다.
다만, 표현의 자유는 무제한이 아닌 것인데 '펭귄'이나 '쩔뚜기' 같은 표현은 장애인을 차별하는 가치관이 담겨있고, '홍어'라는 표현은 인종차별적 가치관이 담겨있고, '김치년'은 성차별적 가치관이 담겨 있어서 그러한 정치적 표현들은 표현의 자유의 보장 범위 밖이다.
'운지'라는 표현은 '펭귄' '쩔뚜기' '홍어' '김치년' 등의 표현과는 다르다. '펭귄' '쩔뚜기' '홍어' '김치년' 등은 헌법에 반하는 가치가 들어있다. '운지'는 고인에 대해서는 과오를 덮어주는 관습에 반하는 것이어서 논란이 있을 수 있지만 반헌법적인 것이 아니라고 보기에 허용된다고 본다.
'노알라'는 친노 지지자들의 광신적이고 배타적이며 자기당착적인 태도를 비판하기 위해서 노무현을 '알라'에 비유해서 알라를 코알라에 환유시켜 '노알라'로 표현한 것이다. 여기에는 반헌법적 가치관이 없다. '쥐박이'와 '닭근혜'가 허용돼야 하듯이 '노알라'도 당연히 허용돼야 한다.
개인적으로 문재인을 '문제인'으로, 깨어있는 시민을 '몽유병 환자'라고 지칭하며 특정 정치인과 정치집단을 모욕한 기억이 있는데 물론 그런 정치적 표현으로서 특정 정치인이나 정치집단에 대한 모욕을 할 때 그 집단으로 부터 구별의 불이익을 받는 것은 감수하면서 모욕했다.
정치적 입장이 다른 이들의 정치인, 정치집단에 대한 정치적 조롱이나 모욕에 대해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시민이라면 당연히 감수해야한다. 그런 조롱이나 모욕을 감수하지 못하고 그 표현에 분노한다는 것 자체가 시대착오적인 삶을 살고 있다는 것을 방증한다. 부끄러운줄 알아야지.
2014.01.10 12:17:43
(추천:
0 / -1)
ps: 푸틴 등을 크로스드레서로 표현한 것에는 성적소수자에 대한 차별적 가치관이 담겨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견이 있을 수 있는데... 크로스드레서라는 성적소수자에 대한 차별적 의식이 담겨있다기 보다는 머리 매만져주는 모녀 사이에서 어머니의 딸에 대한 간섭 상황을 비유하고 푸틴의 마초성향, 성적소수자에 대해서 억압적인 가치관 등을 비판하고 푸틴을 약올리기 위해서 성적소수자가 한 번 돼보라는 것이기에 허용되는 표현이라고 봅니다.
2014.01.10 16:48:01
운지는 모르겠고, 노알라는 이슬람교에 대한 비하를 담은 표현이니 한국사회의 무슬림 인구가 문제를 제기한다면 또 다른 면에서 논의되어야 할 지도 모르겠네요.
2014.01.10 16:59:45
(추천:
0 / -1)
조금만 생각하면 당연한 가치들이고 분별할 수 있는 것을 특정인을 중심으로 사고를 하다보니 헛발질을 하는겁니다
그냥 친노쪽은 정치인부터 지지자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관통하는 정신이 내가하면 로맨스 남이하면 불륜 착나 구분 그리고 무책임입니다
진절머리나는 행태입니다
솔직이 이명박이나 박근혜에 대한 저주는 무시무시 합니다
여성 대통령에게 성적인 쌍욕이 공공연히 저질러지고
이명박에게도 쥐박이는 양반일 정도로 무시무시한 증오적 언어가 쏱아졌습니다
그런데 노무현이나 문재인은 그냥 일반적으로 비판을 하거나 비난을 하면 난리가 납니다
아주 인간이하 취급하고 증오로 머리가 돈 사람 취급하더군요
저는 비속어나 노알라 노구리 운지 이런말 하나도 안쓰고 그냥 사실을 중심으로 비판했을 뿐인데 말이지요
그러면서 핵팽권에 대해서는 옹호가 일체 없더군요
펭귄은 정적에게 린치당하여 장애를 입은 것에 대한 비하인데 그 말을 만들어 쓰는 진영의 인간들도 인간 이하지요
자신들이 지지하는 정치인이 테러를 해서 장애가 되었는데 그 지지자들은 그걸 가지고 비아냥을 하고 참
그리고 다리저는걸 펭귄이라고 하는건 장애인에 대한 모독이지요
저는 수꼴이나 일베충과 노빠를 비교하라면 노빠들이 더 비인간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노빠들의 자부심 자신들만이 깨어있다는 오만함
봉건시대에도 백성이 하늘이라고 했는데 민주주의 시대에 자기 맘에 안드는 국민을 개새끼라고 서슴없이 말하는
그 개새끼에는 자기 부모님 친척 친구도 다 들어가는데
데모할때 대한민국은 민주주의 공화국이다
모든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에게서 나온다라고 노래는 잘 부르더군요
이게 모든 국민은 평등하다 그러나 어떤 국민은 더 평등하다 뭐 이런 것이지요
어우구스트스가 프린켑스라는 말을 사용한 것처럼
2014.01.10 16:59:47
(추천:
0 / -1)
대니크레인 / 종교는 비판할 수 있습니다. 판례 경향은 종교 비판에 비하의 표현이 들어있어도 허용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슬람, 특히 근본주의들이 배타적 성격이 강해서 바람직하지 않다고 자기 양심이 생각하여 표현하는 것을 막을 수는 없습니다. 게다가 노알라 말고도 노수 그리스도 등등의 표현들이 같이 나오는 것을 봤을 때 노알라라는 표현이 특별히 이슬람을 차별적으로 비하하는 전제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도 알 수 있고요.
장애인 차별, 성차별, 인종차별 등과는 다르다는 거 분명하잖아요. {여자는 나쁘다, 장애인은 나쁘다, *인종이나 *지역사람들은 나쁘다}와 {이슬람은 나쁘다, 기독교는 나쁘다} 주장들 다 구별되고 뭐가 허용되는지 뭐가 허용되지 않는지는 자명합니다.
장애인 차별, 성차별, 인종차별 등과는 다르다는 거 분명하잖아요. {여자는 나쁘다, 장애인은 나쁘다, *인종이나 *지역사람들은 나쁘다}와 {이슬람은 나쁘다, 기독교는 나쁘다} 주장들 다 구별되고 뭐가 허용되는지 뭐가 허용되지 않는지는 자명합니다.
2014.01.10 17:06:16
(추천:
0 / -1)
우리나라는 물론 북한도 종교의 자유가 있고 종교의 자유에는 포교의 자유 예배의 자유와 함께 비판의 자유가 있습니다
그래서 개신교 이단들이 정통교단에 대하여 낸 소송이 줄줄이 패소를 하였습니다
종교간 상호 비판의 권리는 법적으로 보장되어 있습니다
그러니 인터넷에 개신교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가 강물을 이루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상한게 개신교에 대한 엄청난 비난에는 당연하다고 생각하는데 생뚱맞게 이슬람을 비판하면 문제가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하는 그 사고방식
저도 그 댓글을 읽고 어 그런가?
할 정도였지요
뭔가 우리 생각에 소수자에 대한 비판에 대한 자기검열이 있지 않나 하는 생각
또는 미국의 패권주의에 대한 반감으로 이슬람에 대한 무조건적인 호감이나 옹호가 있지않나하는 생각이 드는군요
정치/사회게시판 최신댓글